•  


윤제균 “監督 平均 年俸 1800萬원…먹고 살 만큼만 달라”|동아일보

윤제균 “監督 平均 年俸 1800萬원…먹고 살 만큼만 달라”

  • 뉴스1
  • 入力 2023年 2月 9日 11時 32分


코멘트
윤제균 한국영화감독조합 공동대표가 9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저작권법 개정안 지지 선언회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2023.2.9/뉴스1
윤제균 韓國映畫監督組合 共同代表가 9日 午前 서울 汝矣島 國會 議員會館에서 열린 著作權法 改正案 支持 宣言會에서 人事말을 하고 있다. 2023.2.9/뉴스1
윤제균 監督이 著作權法 改正案을 支持하며 “먹고 살게 해달라는 付託”이라고 强調했다.

9日 午前 서울 汝矣島 國會議員會館 第1小會議室에서 DGK(韓國映畫監督組合)과 國民의힘 成一鍾·皇甫承希, 더불어民主黨 유정주 議員이 共同主催者로 ‘映像著作者의 正當한 補償! 著作權法 改正案 支持 宣言回’가 開催됐다.

DGK 共同代表인 윤제균 監督은 이날 “우리는 아르헨티나와 스페인으로부터 著作權을 받는데, 왜 國內에서는 못 받는지 모르겠다”며 “映像物을 만드는 사람들이 法을 잘 아는 사람들도 아니고, 우리 監督과 作家들이 正式으로 못 받고, 스페인과 아르헨티나에서 ‘힘내’라는 말을 듣는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尹 監督은 “K(케이)-콘텐츠가 全 世界에서 第一 앞서가는 文化 强國이 됐다는 것에 自負心을 느끼지 않나”라면서도 “하지만 500名이 넘는 監督組合의 平均 年俸이 1800萬원밖에 안 된다, 言論에서 浮刻되는 돈을 많이 벌었다는 監督님들은 500名 中에 몇 名 안 된다”고 밝혔다. 이어 “김은희 作家님 等 몇몇 少數의 스타 作家님들을 除外하고는 平均 年俸이 1000萬원이다”라며 “한 달에 100萬원도 안 되는 돈으로 K-콘텐츠 强國을 이뤄가고 있는 것”이라고 指摘했다.

그러면서 “그냥 많은 돈을 달라고 하는 게 아니다, 熱心히 일했으면 먹고 살게 해달라고 付託하는 것이고, 興行에 對한 金額을 많이 달라는 게 아니라 먹고 살게 해달라고 하는 것”이라며 “유럽, 南美 等 國家에서 作家와 監督한테 조금씩이라도 나눠주는데 우리도 나눠 달라고, 다른 나라에서 하는 만큼만 最小限으로 付託드린다”라며 “우리나라가 文化强國이 됐는데 法이 時代에 맞게, 世界 變化에 맞게 됐으면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한便 지난해 成一鍾, 유정주 議員이 各各 같은 趣旨로 發議한 著作權法 改正案은 映像著作者가 著作財産權을 讓渡했다 하더라도 映像物 最終供給者로부터 利用 收益에 따른 補償을 받을 權利를 保障한다는 內容이 담겼다. 現在 ‘寄生蟲’ ‘오징어게임’ 等 K-콘텐츠가 世界的 成果를 올리고 있음에도 韓國의 作家, 監督들은 著作者로서 作品 利用에 따른 收益을 分配 받을 權利가 없다. 그에 따라 海外에 쌓여가는 韓國 創作者들의 著作權料를 國內로 들여오는 데 어려움이 있어 이를 解決하기 위해 發議된 法案이다.

지난해 8月 法案 發意와 함께 ‘千萬映畫 監督들 마침내 國會로: 正當한 補償을 論하다’ 討論會가, 12月에는 皇甫承希 議員室 主催로 ‘K컨텐츠時代 著作權法上 監督 等 補償卷 關聯 討論會’가 열리는 等 公論化 및 關聯 論議가 이뤄지고 있다. 다만 常任委에서 法案 審査조차 始作되지 않은 狀況 속에서 映畫/映像業界 내 創作者 團體는 勿論 隣接 分野 創作者 團體들은 合心해 著作權法 改正案의 早速 通過를 促求하기 위해 열렸다.

(서울=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