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먼 東亞日報] 風聞으로 들었소~ 出演陣에게 直接 들었소!|동아일보

[우먼 東亞日報] 風聞으로 들었소~ 出演陣에게 直接 들었소!

  • 우먼東亞日報
  • 入力 2015年 5月 11日 22時 24分


코멘트

大韓民國 最上類層의 俗物 意識을 諷刺한 블랙코미디 ‘風聞으로 들었소’가 날로 人氣를 더해가는 데는 俳優들의 熱演이 한몫하고 있다. 撮影이 臨迫해 臺本이 나오는 狀況 속에서도 演技 內功을 發揮하고 있는 유준상 · 유호정, 고아성 · 李儁, 장현성 · 윤복인 커플과 ‘뜻밖의 主演’ 甘草 백지연을 만났다.

‘甲질의 固守’ 유준상 · 유호정
유준상(46)이 맡고 있는 劇 中 配役인 國內 最强 로펌 代表 辯護士 한정호는 겉으로는 能力과 智慧, 人品을 다 갖춘 사람이지만 아내와 祕書 앞에서는 俗物 意識과 野慾을 서슴없이 드러내는 二重人格者다. 어디 그뿐인가. 最高의 人材풀과 政財界 主要 人事의 弱點을 틀어쥐고 權府의 人士에까지 關與하는 甲 中의 甲이요, 100% 勝訴를 위해 抑鬱한 被害者를 加害者로 만들고 첫사랑이던 아내의 親舊 지영라(백지연)와 몰래 데이트를 즐기기도 한다.

그럼에도 ‘風聞으로 들었소’ 愛聽者들은 한정호를 두고 “밉지 않다”는 反應을 보인다. 한정호를 延期하는 유준상을 보면서 낄낄거리는 이들도 적잖다. 한정호를 默默히 內助하면서도 隱然中에 눈치 보게 만드는 아내 최연희로 出演 中인 유호정(46)도 “유준상 氏와 演技 呼吸을 맞출 때는 웃음을 참는 것이 苦役”이라고 말했다.

“웃기려고 애드리브를 한 적은 없어요. 臺本에 充實할 뿐이에요. 大使 옆에 指紋이 詳細하게 쓰여 있어서 하나하나 안 살릴 수가 없어요. 撮影 當日 現場에서 ‘쪽臺本’을 받더라도 바로 俳優들끼리 모여 數도 없이 大使를 맞춰보죠. 劇 中에서 한정호가 코믹하고 귀엽게 보이는 건 作家님이 當初 意圖했던 바가 아닌가 싶어요. ‘甲질’ 自體가 아닌, 사람들의 心理 狀態를 細密하게 보여주는 게 이 作品의 포인트거든요. 드라마에서 한정호 같은 最强 甲乙 演技하는 건 처음이라 每回 그의 假面을 벗기는 재미가 쏠쏠해요.”

節制力을 誇張한 그의 말套도 視聽者의 웃음을 자아내는 要素 中 하나 . 그는 “臺本을 보며 말套가 떠올랐다. 諷刺性이 剛한 作品이라 뮤지컬을 할 때처럼 若干 꾸민 듯한 말套로 臺詞를 했더니 作家와 監督 모두 좋아 했다”고 傳했다. 東西 苦戰을 通達해 該博한 知識을 갖고 있고, 어디로 튈지 모르는 공처럼 豫測하기 힘든 한정호 캐릭터는 유준상을 知的 號機
沈이 充滿한 學究派로 만들었다.

“그동안 했던 役割 中 가장 知的인 캐릭터라서 한정호 臺詞에 나오는 歷史的 人物이나 事件을 다 調査해보고, 法律에 關한 電子冊을 購入해 틈틈이 읽고 있어요. 그랬더니 知識이 엄청 늘었어요. 하루를 24時間 以上으로 쓰는 느낌이에요.”

그에게 發言의 主導權을 줬던 유호정은 “유준상 氏가 劇 中 第 걸음걸이도 고쳐줬다”며 “撮影 初盤에는 걸음이 빨라 貴婦人의 포스가 나오지 않았는데, 유준상 氏가 천천히 餘裕를 부리며 걷는 모습에 刺戟을 받아 걷는 姿勢와 速度를 調節할 수 있게 됐다”고 고마워했다. 유준상은 自身보다 生日이 빠른 同甲내기 유호정을 平素 ‘戶正 언니’로 부른다. 그는 “戶正 언니가 中心에서 튀려고 하지 않고 平靜心을 維持하며 모든 演技者를 받쳐 주고 있어서 드라마가 빛날 수 있는 것”이라며 “戶正 언니와 함께할 수 있어서 幸福하다”고 귀띔했다.

두 사람은 最近 웅진식품의 주스 CF에 同伴 出演해 話題를 모았다. 유준상은 “劇 中 相對 俳優와 함께 CF를 찍은 건 처음이다. 이 氣勢로 다음엔 둘이 通信社 廣告에 出演하기를 期待한다”며 豪宕하게 웃었다. 두 사람은 나이가 같다는 點 外에도 演技하는 配偶者를 뒀다는 共通點을 갖고 있다. 유준상의 아내 홍은희와 유호정의 男便 이재룡은 ‘風聞으로 들었소’를 每回 빠지지 않고 보는 熱血 팬이라고 한다.

“男便이 저와 유준상 氏가 잘 어울린다고 하더라고요. 제가 안판석 監督님 作品에 懇切히 出演하고 싶어한 걸 아니까 激勵의 말과 모니터링을 곧 잘 해줘요(웃음).”

한정호 못지않은 華麗한 집안 背景에 재色까지 兼備한 貴婦人으로 熱演 中인 유호정은 每回 高雅한 패션으로 눈길을 끌고 있다. 남다른 패션 센스의 祕訣이 뭘까.

“衣裳과 헤어, 메이크업을 도와주는 분들이 알아서 다 해주는 德分이에요. 特히 스타일리스트 정윤기 氏가 協贊받기도 힘든 貴한 옷들을 求해와 마음껏 입어보는 豪奢를 누리고 있어요.”

現在 劇 中 최연희의 最大 關心事는 아들 韓印象(李儁)의 司法考試 合格 與否. 유호정은 “引上이는 떨어지고, 함께 司法考試를 準備 中인 며느리 鉏봄(고아성)은 最年少 合格하는 最惡의 狀況이 될까 걱정”이라며 “둘 다 合格할 수 있게 應援해달라”고 말했다. 유준상은 “引上이와 봄이보다 孫子 진영이가 눈에 밟힌다. 아기가 갈수록 演技를 잘한다. 얼굴도 漸漸 잘 생겨진다”며 “이러다 한정호 內外가 셋째를 낳을 수도 있을 것 같다”고 期待感을 나타냈다.

‘純情派 도련님’ 李儁, ‘작은 師母님’ 고아성
‘風聞으로 들었소’의 첫 放送부터 視聽者들에게 衝擊을 던진 ‘婚前 妊娠 ’ 事件의 두 當事者 한인상과 鉏봄. 서로 全혀 다른 環境에서 자란 이들은 사랑에 책임지기 위해 아이를 낳았고, 結婚을 反對하던 한정호와 최연희를 婚姻申告로 굴복시켰다. 또 한정호가 下達한 司法考試 合格의 特命을 遂行하려고 課外도 함께하고 있다. 태어날 때부터 貴族 待遇를 받으며 特權의 인큐베이터에서 水災로 키워진 한인상과 形便이 어려운 庶民 家庭에서 學習能力도, 스펙도 自己 主導的으로 쌓아온 鉏봄은 果然 父母의 바람대로 同伴 合格의 기쁨을 맛볼 수 있을까.

“앞으로 가장 期待되는 일이 司法考試 合格이에요. 鉏봄과 印象이 모두 熱心히 工夫하고 있으니 좋은 結果가 있을 거라 믿어요.”(고아성)

“引上이는 司法考試에서 떨어질 것 같아요. 視聽者들이 內容을 類推해서 올린 글을 읽어보니 作家가 숨겨둔 祕密 兵器가 引上이일 것이라고 하더라고요. 過하다 싶을 程度로 착해서 乙의 處地를 代辯하는 人物로 成長하지 않을까 싶어요.”(이준)

鉏봄을 만나기 前까지 한인상은 父母의 말을 法처럼 따르는 順從的인 아들이었지만 鉏봄과 함께 살면서 많은 變化를 겪고 있다. 어려운 環境에서도 서로 도우며 和睦하게 살아온 鉏봄과 妻家 食口들의 모습을 보며 父母와 課外 先生님에게서는 배우지 못한 人間味와 自立心의 重要性을 알게 됐고, 말대꾸할 엄두도 내지 못하던 父母에게 自身의 意思를 表現할 수 있을 만큼 大膽해졌다. 다만 모든 面에서 完璧해 보이는 아버지 앞에서는 如前히 주눅이 들어 보는 이를 안타깝게 한다. 아이돌 그룹 엠블랙 出身 俳優 李儁(27)은 한인상을 “겉모습은 답답하고 모자라 보일 때도 있지만, 責任感이 强하고 行動도 멋있게 하는 賞男子 스타일”이라고 評價 했다.

“事實 引上이와 저는 닮은 點이 別로 없어요. 劇 中 比重을 떠나 저 나름대로 재미있게 延期하고 있는데, 팬들이 이 드라마를 왜 했느냐고 不滿을 쏟아내 精神的으로 打擊이 커요. 스마트폰을 안 보면 되는데, ‘멘탈’李 弱해 남의 얘기에 神經을 많이 쓰는 便이에요. 눈에 보이는 것만 믿어요. 그런 面은 引上이와 비슷해요.”

主觀이 뚜렷하고 英敏한 鉏봄 役을 맡아 ‘工夫의 新’ 以後 5年 만에 안房 劇場에 復歸한 고아성(23)은 “나 亦是 鉏봄과 닮은 點이 別로 없다”며 “平素에는 할 말도 잘 못하고 사람 다룰 줄도 모르는데 봄이를 延期하면서 代理 滿足을 느낀다”고 털어놨다.

放映 初盤 滿朔의 몸으로 媤집에 들어갔던 賤덕꾸러기 鉏봄은 어느새 大邸宅의 ‘작은 師母님’으로 자리 잡았다. 劇 中에서 고아성이 媤어머니의 手足 노릇을 하는 이 祕書(서정연)를 不過 몇 마디로 무릎을 꿇게 만들고, 親언니에게 ‘怨 나이트 스탠드’의 侮蔑感을 안긴 財閥家 子弟를 ‘스리쿠션’으로 制壓한 ‘甲질’ 演技는 보는 이에게 痛快한 즐거움을 膳賜하는 한便 西봄의 純粹性이 變質된 것 아니냐는 憂慮를 낳기도 했다.

“안 그래도 臺本이 나왔을 때 監督님에게 이렇게까지 變해도 되느냐고 물었더니 제 演技를 보면서 사람들이 더 熱狂할 거라고, 不便하면서도 痛快할 거라고 하시더라고요. 監督님의 豫想이 的中한 거죠. 放送에는 나오지 않았지만, 이 祕書가 제 앞에서 무릎을 꿇었을 때 實은 저도 무릎을 꿇었더랬어요(웃음).”

베드신이나 出産 場面보다 고아성을 더 힘들게 한 場面은 10代 未婚母가 된 自身을 悲觀하며 漢江으로 걸어 들어가는 新. 그는 “10年 前 映畫 ‘怪物’을 撮影할 當時처럼 漢江에 또 들어가려니 그때 苦生했던 記憶이 떠올랐다”며 “이番에는 춥지 않은 날 찍어 그나마 多幸이었다”고 말했다. 이준은 大使를 熟知하지 못한 狀態로 撮影에 들어가 NG를 많이 냈던 일을 가장 힘들었던 瞬間으로 記憶했다.

“臺本이 늦게 나올 때가 많다 보니 臺詞를 完璧하게 외우지 못하고 撮影할 때가 있어요. 老鍊한 俳優는 瞬發力을 發揮해 센스 있게 넘어갈 텐데, 저는 아직 그 境地에 이르지 못해 NG를 곧잘 내요. 問題는 드라마를 元辰, 원 컷으로 찍는 境遇가 많아 臺詞 한마디가 틀려도 처음부터 다시 찍어야 하는 거예요. 代身 臺本이 늦게 나와 좋은 點도 있어요. 잠을 하루 8時間씩 잘 수 있으니까 體力的으로는 아주 좋아요. 앞으로는 죽 演技에만 邁進하고 싶어요. 觀客에게 實際 狀況을 훔쳐보는 듯한 느낌을 줄 程度로 자연스럽게 演技하는 俳優가 되는 것이 目標랍니다.”

‘特別 管理 對象’ 장현성 · 윤복인
서봄이 한인상과 夫婦의 緣을 맺은 後 鉏봄의 父母는 한정호가 運營하는 로펌의 特別 管理 對象이 됐다. 鉏봄의 엄마 役을 맡은 俳優 윤복인(46)은 “봄이네 親庭은 引上이네와 삶의 質이 하늘과 땅 差異”라면서 “리얼한 걸 좋아하는 監督님이 나더러 直接 세트를 꾸며보라고 하셔서 감 껍질 말린 것을 비롯해 웬만한 小品은 집에서 죄다 가져왔다. 세트를 짓는 데 든 費用도 引上이네의 10分의 1 水準”이라고 밝혔다. 그는 處地가 바뀐다면 甲질을 하겠냐는 물음에 조금도 망설이지 않고 고개를 끄덕였다. 鉏봄의 아빠 役을 맡은 장현성(45) 亦是 共感을 나타냈다.

“歷史的으로 보면 사람이 자리를 만드는 境遇도 있지만 자리가 사람을 만드는 境遇도 있어요. 타고난 英雄도 있지만 어느 程度는 位置가 사람 캐릭터를 構築하지 않나 싶어요. 또 ‘甲질’ 옆에는 ‘乙질’도 있게 마련이에요. 이 作品을 하면서도 그걸 느껴요. 東西洋을 莫論하고 어린아이가 보는 童話에서는 富者가 恒常 惡役을 맡고, 가난한 사람은 限없이 착하게 그려지지만 實際도 그런 건 아니거든요. 甲질과 乙質에 對한 視線이 立體的일 必要가 있다고 생각하는데, 그런 面에서 안판석 監督님의 人文學的 接近 方式이 마음에 들어요.”

안 PD의 演出 技法에 對해 윤복인은 “映畫처럼 찍어서인지 畵面도 映畫 같이 나온다”고 評價했다. 윤복인처럼 演劇 舞臺에서 잔뼈가 굵은 장현성은 “映畫가 반드시 高級스러운 藝術 形態는 아니라고 생각한다”며 다른 見解를 내놨다.

“映畫는 한마디로 勞動 集約的인 作業이죠. 미니시리즈가 映畫와 다른 건 一週日에 70分짜리 두 篇을 만들어야 하는 것뿐이에요. 안 監督님의 演出 方式은 오히려 演劇에 가깝게 느껴져요. 觀客이 舞臺에 오른 俳優들의 演技를 觀察하듯 日常 風景을 담아낸다는 點에서요. 俳優가 스마트폰으로 들여다보는 게 뭔지 클로즈업해서 보여주면 좋겠는데 그러시지 않으니까 不親切하게 느껴질 수도 있을 거예요. 하지만 살면서 우리가 보고 싶은 걸 다 보며 살 수 없듯이 監督님도 그 程度는 視聽者의 想像力에 맡기시는 거예요. 다 보여주면 재미도 없고요.”(장현성)

“저희 드라마는 畵面이 어둡다는 얘기를 많이 듣는데 그 亦是 리얼리티를 살리기 위한 監督님의 戰略이에요. 이 作品이 블랙코미디여서 일부러 어두운 照明을 쓴 側面도 있죠. 처음엔 그게 異常했는데, ‘大部分의 드라마가 밤 神에서 畵面을 희끄무레하게 만들어놓고 밤이라고 우긴다’는 監督님의 얘기를 듣고 나니 무슨 말씀인지 理解가 되더라고요.”(윤복인)

장현성은 劇 中에서 옷을 자주 갈아입지 않는 理由도 안 監督의 事實的인 演出 技法에 一助하려는 깊은 뜻이 담겨 있다고 했다.

“中年 男子들은 옷을 자주 갈아입지 않아요. 그런 細心한 部分의 리얼리티까지 살리려는 저 나름의 努力에도, 날짜가 바뀌면 스태프들이 어김없이 衣裳을 바꿔 입으라고 하니 難堪할 따름이에요(웃음).”

名品 ‘트러블 메이커’ 백지연
‘單벌’ 장현성과 反對로 神이 바뀔 때마다 새로운 패션을 선보이는 俳優가 있다. 30年 知己인 안판석 PD의 提案으로 演技에 挑戰한 放送人 백지연(51). 實際로는 유준상, 유호정보다 5歲 年上이지만 劇 中에서 그는 최연희의 大學 同窓이자 結婚 前 유준상의 女子親舊였던 지영라로 登場해 童顔 美貌를 뽐내고 있다. 放送人 特有의 硬直된 이미지를 벗고 每回 세련된 패션感覺을 보여주고 있는 스타일링은 그가 直接 하고 있다.

“오랫동안 함께 일한 스타일리스트가 있는데, 이 드라마에서는 第 캐릭터에 맞는 옷을 잘 具現해낼 사람이 없을 것 같아서 直接 스타일링을 해요. 衣裳 協贊을 도와주는 팀이 있지만 어떤 옷이 必要한지는 제가 指定하죠. 그랬더니 10回가 넘어가면서 옷을 잘 입는다는 反應이 올라오더라고요. 全혀 豫想하지 못한 反應인 데다 럭셔리 룩의 完成이라는 말까지 나오니까 氣分이 좋아요.”

지영라는 財界 2位 그룹 會長의 아내. 최연희와 자주 어울리지만 둘은 마음까지 나누는 親舊 사이는 아니다. 親庭이 地下 市場에서 負傷한 金融 財閥인 지영라는 흠잡을 데 없는 名門家의 一員인 최연희를 事事件件 猜忌하고 嫉妬한다. 또 自身의 딸이 鉏봄과 結婚한 韓印象을 짝사랑한다는 事實을 알고 自尊心이 傷하자 韓人上衣 아빠이자 최연희의 男便인 한정호에게 誘惑의 손길을 뻗는 일도 서슴지 않는다. 캐릭터 自體는 밉相이지만 그의 演技에 對한 評價는 好評 一色이다.

“正말 100% 좋은 얘기뿐이라서 놀랐어요. ‘물오른 演技’ ‘왜 이제야 延期했나?’ 같은 友好的인 評價가 演技하는 데 힘이 되더라고요. 實際 性格이 지영라 캐릭터와 恰似할 것 같다는 얘기를 들을 때도 있는데 그만큼 演技를 잘한다는 稱讚이니까 조금도 氣分 나쁘지 않아요. 實際 저와 지영라는 많이 다르거든요. 한 가지 닮은 點은 내숭 안 떨고 率直하게 말하는 거예요. 하지만 지영라 같은 사람이 實際로 있을까 싶어요. 延期하면서도 納得이 안 되는 狀況이 많으니까 ‘얘들은 親舊끼리 왜 이러고 사나’ 싶어요.”

延期 好評이 끊이지 않아서일까, 아니면 歲月과 더불어 그가 變한 것일까. 10年 前 인터뷰했을 때와 달리 그의 表情이나 말套에 愛嬌가 섞여 있었다.

“집안의 막내로 자라 元來 愛嬌가 있어요(웃음). 앵커를 할 때는 도도하고 똑 부러져 보인다는 말을 많이 듣는데 그건 일할 때 性格이고, 親舊나 家族과 있을 때는 便하게 해요. 只今은 여러 俳優들과 함께 어우러지니까 便한 모습이 나오는 것 같아요.”

그는 ‘風聞으로 들었소’에서 演技 呼吸이 가장 잘 맞는 俳優로 유준상을 꼽으며 “한정호 代表를 놀려먹는 게 가장 재미있다”고 밝혔다. 그가 登場한 場面 中 가장 높은 照會數를 記錄한 것도 로펌 建物 맨 위層에 있는 社交클럽에서 그가 한정호에게 “魅力 없거든”이라고 쏘아붙이는 대목이다.

“안판석 監督이라는 變數가 있었지만 앞서 小說을 쓰지 않았다면 演技에 挑戰하지 못했을 거예요. 小說을 쓰면서 虛構의 世界가 주는 魅力에 깊이 빠진 德分에 ‘虛構의 世界가 더 깊은 眞實을 말할 수 있다. 드라마도 小說처럼 魅力 있지 않을까’ 하는 期待感을 갖게 됐죠.”

延期 初年兵임에도 俳優로서의 可能性을 제대로 보여준 백지연은 “무슨 일이든 하기로 마음먹으면 最善을 다하지만 이 일을 繼續할지는 모르겠다. 只今은 드라마가 最終 30部까지 無事히 끝나길 바랄 뿐”이라고 말했다. 앵커, 인터뷰어, 作家에 이어 演技者까지 새로운 타이틀에 挑戰을 거듭해온 그의 다음 行步가 자못 궁금하다.

글 · 김지영 記者|寫眞提供 · SBS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