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文學藝術]朝鮮 王들은 왜 몰래 蘭을 쳤나|동아일보

[文學藝術]朝鮮 王들은 왜 몰래 蘭을 쳤나

  • Array
  • 入力 2011年 5月 21日 03時 00分


코멘트

◇王과 國家의 會話/박정혜 윤진영 황정연 강민기 지음/372쪽·2만8000원·돌베개

1872년 이한철 조중묵 박기준 등 화사 10명이 그린 태조 어진(御眞). 영희전(永禧殿)의 어진을 범본으로 한 그림이다. 돌베개 제공
1872年 이한철 조중묵 박기준 等 화사 10名이 그린 太祖 御眞(御眞). 永禧殿(永禧殿)의 御眞을 梵本으로 한 그림이다. 돌베개 提供
1866年 丙寅洋擾 때 프랑스 軍隊에 掠奪當했던 외규장각 圖書가 지난달부터 네 次例에 걸쳐 韓國에 돌아오고 있다. 외규장각 圖書의 大部分은 朝鮮王室 儀軌. 重要한 王室 行事의 過程과 儀禮節次 等을 記錄한 冊이다. 儀軌의 價値가 더욱 빛나는 것은 여기에 各種 時刻資料가 彩色畫로 收錄돼 있기 때문이다. 외규장각 圖書가 돌아오면서 硏究者들뿐 아니라 一般人 사이에서도 儀軌에 對한 關心이 커졌다. 하지만 儀軌에 對한 一般의 理解度는 그다지 높지 않다. 이 冊은 다양한 視覺資料와 꼼꼼하면서도 쉽게 풀어 쓴 解說로 一般人의 궁금症을 풀어준다.

儀軌에 그려진 그림, 卽 懿軌圖는 17, 18世紀를 거치면서 內容과 表現樣式 色彩 面에서 다양해졌다. 各種 儀禮에 使用되는 儀物 製作의 샘플 그림이라 할 수 있는 견양도, 王室의 主要 行事와 儀禮 때 背馳되는 官員, 儀物의 位置와 順序 等을 表示한 班次圖 等이 儀軌에 收錄됐다. 現傳하는 最高(最古)의 儀軌는 1600年 義人王后의 國喪과 關聯된 懿軌들이다.

著者들이 다룬 것은 懿軌圖뿐 아니다. 王室에서 享有했거나 王室이 主管해 製作된 모든 그림을 ‘宮中會話’라는 틀 안에서 總體的으로 살폈다.

王의 肖像인 御眞(御眞)은 宮中會話 가운데 特히 重要한 그림이었다. 尊嚴과 權威의 象徵이었으며, 御眞을 實은 가마 行列이 宮 밖으로 나와 進展(御眞을 모시는 殿閣)으로 移動하는 奉安 旅程은 그 自體로서 百姓들을 한데 모으는 社會的 機能을 했다. 그런 重要性 때문에 御眞을 그릴 때는 當代 最高의 肖像畫 實力者를 圖畫署 안팎에서 폭넓게 選拔했다. 또 御眞을 그릴 때는 ‘터럭 하나만 달라도 그 사람이 아니다’라는 理論에 根據해 精巧하고 緻密한 描寫와 事實的 表現을 追求했다. 歷史의 結果를 알고 御眞을 봐서 그런지 冊에 실린 御眞 가운데 太祖의 御眞에선 堂堂함이 엿보이고 高宗, 純宗의 御眞에선 왠지 모를 悽然함이 느껴진다.

國家의 行政에도 많은 그림이 쓰였다. 왕이 全國 구석구석 다닐 수 없으니까 王에게 業務 報告를 할 때 視覺 資料를 곁들인 것이다. 地方官이 業務를 報告할 때, 邊方의 일을 아뢸 때, 酸性이나 行宮을 造成할 때 該當 地域에 對한 地形圖와 算數形勢度 軸聖徒 等을 그려 함께 報告한 것. 이 亦是 宮中繪畫에 屬하는 것으로 著者들은 說明했다.

著者들에 따르면 宮中繪畫는 製作 目的과 用途, 製作者와 享有層을 考慮할 때 이 밖에 네 種類가 더 있다. 王室 行事를 再現하고 記念하기 위해 그려진 宮中行事度, 敎育과 減髻(鑑戒)를 위해 그려진 감계화, 王과 王族이 趣味로 直接 그리거나 鑑賞했던 그림, 宮闕의 안팎을 裝飾했던 그림 等이다.

이 가운데 特히 貴한 資料는 王이 直接 그린 그림들. 朝鮮時代 王들은 늘 臣下들로부터 玩物喪志(玩物喪志·하찮은 것에 마음을 빼앗겨 큰 뜻을 잃음)하는 것에 對해 警戒를 받는 바람에 내놓고 그림을 그리지 못하고 隱密하게 그렸다. 그런 가운데서도 世宗 文宗 成宗 人種 宣祖 仁祖 肅宗 英祖 憲宗 等은 直接 그림을 그렸다. 이 가운데 傳해지는 그림은 많지 않으며 大部分 記錄으로만 남아 있다.

王의 性向에 따라 그림에 對한 趣向도 달랐다. 世宗은 裝飾靴와 議長用 그림에 關心이 많았다. 特히 細部 描寫가 格式과 理致에 맞는가를 꼼꼼히 따지는 便이었고, 난 그림과 대나무 그림을 즐겨 그렸다는 記錄이 있다. 正祖는 어릴 적부터 文藝와 書畫에 남다른 素養을 지닌 것으로 記錄되어 있다. 特히 花園들의 長短點을 一一이 品評할 만큼 細心한 眼目을 지니고 있었다. 憲宗은 ‘平素에 書畫를 사랑하여 古今 名家의 遺筆을 內部에 모아 두셨다’는 墓地門에서 볼 수 있듯 20代 初盤의 나이에 厖大한 分量의 書畫를 直接 모아 收藏했다. 現在 傳하는 王의 그림은 人種이 그렸다는 ‘묵죽도’의 板刻本, 先祖의 ‘墨蘭圖’와 ‘묵죽도’, 正祖의 ‘묵매도’를 비롯한 水墨畫 여섯 點, 그리고 憲宗의 ‘山水圖’ 等이다.

감계화는 朝鮮時代에 가장 頻繁하게 그려져서 王室에 올려졌던 그림이다. 農事의 어려움과 所重함을 일깨우기 위한 그림, 옛 聖君과 선비의 告祀를 그린 그림이 主流를 이뤘다. 寫眞처럼 行事 場面의 瞬間을 그대로 담는 宮中行事도는 記錄과 記念이라는 두 가지 役割을 했다. 大部分의 意識을 마친 뒤에는 그 內容과 形式을 補完해 記錄하고, 行事道를 그려 關係者들로 하여금 나눠 갖도록 했다. 淸溪川 浚渫工事를 完了한 뒤 製作한 ‘濬川戒牒’, 世子의 成均館 入學 意識을 그린 ‘王世子入學度牒’ 等이 代表的이다.

이 冊은 韓國學中央硏究院이 進行하고 있는 王室 文化의 總體的 硏究 가운데 첫 成果物을 엮은 冊이다. 앞으로 ‘王室文化叢書’라는 이름 아래 ‘王室의 美術’ ‘王室의 日常’ ‘王室의 行事’ 세 分野에 걸친 冊이 잇따라 나올 豫定이다. 王室 文化는 朝鮮時代 最高級 文化가 集約된 報告(寶庫)라는 點에서 앞으로 나올 다른 結果物도 期待된다.

금동근 記者 gold@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