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6·2 選擇’ 그 後]한나라, 오만-分裂-失言에 울었다|동아일보

[‘6·2 選擇’ 그 後]한나라, 오만-分裂-失言에 울었다

  • 東亞日報
  • 入力 2010年 6月 4日 03時 00分


코멘트

[傲慢] 一方通行 國政-舊態 公薦
[分裂] 野單一化 對抗戰略 不在
[失言] ‘天安艦 多幸히…’ 等 連發

‘왜 이렇게 虛無하게 무너졌을까.’

6·2地方選擧 敗北의 衝擊이 채 가시지 않은 3日 한나라당 안팎에선 選擧 敗因을 놓고 다양한 分析이 나왔다. 黨 關係者는 “이番 選擧 敗北를 一過性으로 넘길 것이 아니라 그동안 與圈의 國政運營 方向을 根本的으로 再點檢하는 契機로 삼아야 한다”고 말했다.

○ 傲慢으로 비친 國政運營 스타일

한나라黨 구상찬 議員은 3日 黨 인터넷 홈페이지에 글을 올려 “(政府와 與黨의) 傲慢함이 首都圈을 비롯한 講院 忠淸 慶南의 慘敗를 가져왔다”고 主張했다. 政府 與黨을 批判하는 勢力이 이런 傲慢의 代表的 事例로 드는 것이 世宗市 修正案과 4大江 살리기 事業 推進이다. 世宗市 修正案에 對한 忠淸 地域民과 黨內 親朴(親朴槿惠)系의 反對, 4大江 살리기 事業에 對한 野黨과 宗敎團體의 反對에 對해 與圈 主流는 그동안 “弘報가 不足했다. 더 說明하면 理解하게 될 것”이라는 式의 反應을 보였다. 이는 反對하는 側이 政策의 趣旨를 잘 理解하지 못하고 있다는 前提가 깔린 것이다.

○ 公薦 失敗

윤석용 議員은 이날 ‘國民과 黨員에게 드리는 글’이라는 報道 資料를 통해 “黨은 競爭力 없는 女性 區廳長을 强調하고, 國會議員들은 自己만을 따르는 區廳長을 심기 위해 現職 區廳長에게 公薦을 주지 않았다”고 公薦 過程을 批判했다.

事實 黨內에서는 慶南과 江原 道知事 候補 公薦을 놓고 選擧運動 期間 내내 問題 提起가 많았다. 傳統的으로 이들 地域이 한나라당에 유리하다는 點만 믿고 安易한 公薦을 했고 이 地域에 出馬한 候補들이 期待 以下의 消極的인 選擧運動을 했다는 것이다.

基礎團體長 公薦도 失敗라는 分析이 나온다. 特히 18代 總選에서 當選된 初選 議員들이 自己 사람을 심기 위해 潛在的 라이벌이 될 수 있는 旣存 基礎團體長들을 大擧 公薦에서 탈락시키면서 相當한 離脫 票가 생겼다. 一部 脫落者는 無所屬으로 出馬해 한나라당 候補를 곤란하게 만들었다. 一線 組織이 제대로 움직이지 않은 곳도 많았다.

公薦 實務 作業에 參與했던 한 黨職者는 “議員들이 親李(親이명박)系와 親朴系로 갈려 自己 사람 심기에 熱中했다”고 말했다. 그런데도 黨 指導部와 公薦審査委員會는 現役 議員들이 自己 利害關係를 爲主로 決定한 公薦 結果를 꼼꼼히 따지지 못한 채 追認만 한 境遇가 적지 않았다.

○ 支持層 結集 失敗

이番 地方選擧에서 野圈은 首都圈에서 野圈 單一化에 一部 成功했다. 野黨이 首都圈 基礎自治團體長 選擧에서 勝利하고 민주노동당이 처음으로 首都圈에서 基礎自治團體長을 낸 것도 單一化 效果에 따른 것이다.

反面 한나라당 支持層은 分裂됐으며 樂勝을 거둘 것이란 安逸한 豫測 아래 支持層을 投票場으로 끌어내려는 努力도 턱없이 不足했다. 敎育監 選擧에서 進步 陣營 候補가 大擧 當選된 것도 保守 候補의 分裂 때문이었다.

○ 잇단 말失手

한나라당은 選擧 初盤 ‘說話(舌禍)’ 警戒令을 내렸지만 말失手는 어김없이 나왔다. 國會 副議長인 이윤성 議員은 지난달 31日 仁川市長 판勢를 묻는 質問을 받고 “多幸히 천안함 事態가 바로 仁川 앞바다(에서 일어났)다. (그래서) 基礎團體長 한두 곳의 競合을 빼면 다 優勢 地域으로 軌道에 進入했다”고 말했다.

金起炫 記者 kimkihy@donga.com
박정훈 記者 sunshade@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