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아廣場/서하진]對話가 必要해|동아일보

[동아廣場/서하진]對話가 必要해

  • 入力 2009年 1月 24日 02時 56分


어느 봄날, 무언가 尋常찮은 소리가 나를 깨웠다. 소리의 震源地는 옆집, 아름드리나무가 茂盛한 庭園이었다. 아침부터 뭐야, 투덜거리며 나가 보니 巨大한 포클레인이 길고 凶測한 팔을 뻗어 담牆 안의 나무를 들어내고 있는 거였다. 멀뚱하니 쳐다보는 내게 옆 빌라의 警備아저씨가 이랬다. “저 집 팔렸어요. 빌라 짓는대요, 5層짜리.”

세상에나, 5層이라니, 게다가 열 家口라니. 3層 建物의, 햇살이라고는 午前 한때 잠깐 스쳐갈 뿐인 1層에 살던 나는 애가 달았다. 探問 끝에 나는 建築業者의 連絡處를 알아냈다. 번쩍거리는 大型 乘用車를 타고 나타난 業者는 징징거리는 내게 이렇게 提案했다. “이참에 그 집도 헐고 같이 짓자. 헌 집 代身 멋진 새 집을 한 채씩 드리겠다.”

마당 있는 집을 찾아 移徙한 지 고작 3年. 아쉬움이 없지 않았으나 終日 어두컴컴한 居室, 內服을 입고 스웨터를 껴입고도 달달 떨며 지낸 겨울을 두 番 난 터였으므로 나쁘지 않은 提案이다 싶었다. 나는 卽時 2層과 3層의 主人에게 電話를 걸었다. 間間이 漏水 問題 때문에 골머리를 앓는 2層, 貰入者가 나가고 半 年째 비어 있던 3層의 主人을 說得하는 일이 뭐 그리 힘들겠는가라고 했지만 그건 全的으로 내 생각이었을 뿐.

“아유, 理事를 어떻게 해. 난 못해.” 中堅 탤런트인 2層 主人의 反應이었다. 그즈음 視聽率 높은 드라마에 出演 中이던 그와는 通話조차 쉽지 않았다. 3層 主人과의 對話는 그보다 좀 더 어려웠다. “그런 뜨내기 業者를 뭘 믿고…”라고 한마디 한 後로는 끝이었다.

師母님→할매→魔鬼로 呼稱 變해

혼자 일을 始作하겠다는 業者를 說得해서 어렵사리 세 家口의 主人이 만난 자리, 첫 만남은 相當히 점잖았다. 우리는 서로를 社長님, 敎授님, 師母님으로 불러가면서 몇 坪으로 지을지, 設計는 어찌할지, 旣存 主人에게는 어떤 惠澤을 줄지 等等에 對해 議論했다.

2次 만남, 業者가 設計圖를 내밀면서 問題는 始作되었다. 우리가 要求한 坪數는 充足되었으나 집은 複層으로 設計되어 있었다. “갑갑해서 못산다, 이걸 집이라고 짓느냐”라는 詰難에 業者의 얼굴이 불그죽죽해졌다. 세 番째 만났을 때의 問題는 移徙費用이었다. 그 돈으로 大體 어디 가서 2年을 살란 말이냐고 따지는 2層, 3層의 두 女子 앞에서 業者는 폭폭 한숨을 내쉬었다. 艱辛히 意見 接近이 이루어졌을 무렵 3層 主人이 딴죽을 걸었다. 3層 位, 다락처럼 딸린 十餘 坪의 空間에 對한 補償을 따로 받아야겠다는 거였다.

모임이 거듭되면서 3層 主人의 不滿은 漸漸 커지고 그 女子의 나에 對한 呼稱도 敎授님에서 아기 엄마로, 젊은 사람으로 바뀌어갔다. 팬이라며 반색하던 2層 탤런트에 對한 好感도 싹 거두어졌다. 알고 보니 天下에 相從 못할 女子라는 말도 서슴지 않았다. 그 女子에 對한 다른 이들의 呼稱도 그에 걸맞게 바뀌어갔다. 師母님에서 3層 主人으로, 3層 할매에서 다시 3層 魔鬼할멈으로.

그 사이 業者와 3層 主人은 肉頭文字를 섞은 싸움을 몇 次例 벌였고 興奮한 業者가 웃통을 벗어젖히는 바람에 말로만 듣던 龍 文身을 目睹하는 일도 생겨났다. 그 男便의 抗議 電話에 期於이 暴發한 業者는 組暴 水準의 言辭를 퍼부었으며 마침내 둘은 警察을 부르네, 告訴를 하네 하는 地境에 이르고 말았다. 그때마다 사람들은 내게 電話를 걸어와서는 일의 始作과 끝을, 中間의 모든 事緣을 시시콜콜, 携帶電話가 뜨끈해지고 배터리가 다할 때까지 일러주고 따지는 거였다. “그냥 조용히 있을걸.” 後悔莫及이었다. 집값이 떨어지든지, 貰入者가 안 들어오든지, 물이 줄줄 새든지 죄다 無視하고 죽을 때까지 퍼질러 삽시다라는 말이 목젖까지 차올랐다.

입만 있고 귀는 없는 사람들 많아

그 後로도 거의 長篇 分量의 迂餘曲折 끝에 집을 허물고 새집으로 들어온 지도 이미 몇 해가 지난 이 겨울, 移住 問題를 둘러싸고 벌어진 용산의 慘事를 보며 다시 그때의 일을 생각한다. 우리들은, 우리의 社會는 왜 제대로 된 對話라는 걸 가르치지 못한 것일까. 사람들은 어쩌면 그렇게 입만 있고 귀라는 건 없는 듯 굴까. 목소리 크면, 過激하면, 힘으로 밀어붙이면 이긴다는 믿음이 어째서 사라지지 않는 것일까. 누군들 처음부터 火焰甁을 들었겠는가. 누구라서 물大砲와 棍棒을 들이대고 싶었겠는가. 모두 누군가의 아버지, 누구의 아들인데…. 大學에, 아니 高等學校 過程에 對話의 技術, 說得의 話法 같은 講座를 開設해야만 하지 않을까.

서하진 小說家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