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橫說竪說]홍찬식/50年동안 쓴 詩|東亞日報

[橫說竪說]홍찬식/50年동안 쓴 詩

  • 入力 2002年 5月 1日 18時 56分


韓國人이 지니고 있는 슬픔의 情緖는 ‘韓(恨)’이라는 말로 表現된다. 恨을 다른 나라 말로 正確히 飜譯하기는 힘들다고 한다. 다른 民族에게는 우리의 恨과 같은 情緖가 없기 때문이다. 韓의 特徵은 남에게 抑鬱하고 원통한 일을 當했을 때 그것을 美國 西部劇에서처럼 똑같이 되갚음하기보다는, 가슴속 응어리로 떠안은 채 살아가는 것이다. 恨의 뿌리는 波瀾萬丈했던 우리 歷史에서 始作된다. 수많았던 外勢의 侵入과 內亂, 嚴格한 身分社會 等으로 인해 이 땅의 庶民들은 恨을 품으며 살아갈 수밖에 없었다.

▷하지만 韓銀 어떤 式으로든 밖으로 풀어내야 했다. 우리가 擇한 方法은 民俗信仰과 文化였다. 굿을 통해 마음을 삭이고 소리나 民謠를 부르며 憤怒를 달랬다. 옛 民謠와 소리의 句節句節에는 오랜 歲月에 걸쳐 濃縮된 津한 슬픔이 담겨 있다. 오늘날 韓國은 世界的으로 市(詩)를 많이 읽는 ‘詩의 나라’로 꼽힌다. 詩集이 어느 나라보다 많이 팔리고 詩人이 待接을 받는다. 이것 亦是 恨의 情緖와 關聯이 있다. 感情을 最大限 凝縮시킨 詩가 어떤 긴 文章보다도 우리 情緖에 맞기 때문이다.

▷20世紀 韓半島에는 기막힌 歷史的 事件들이 일어났다. 그中에서 가장 한 맺힌 일은 民族分團이 아닐 수 없다. 家族과 핏줄을 갈라놓은 채 分斷의 두꺼운 障壁이 쳐진 지 半世紀가 훌쩍 넘었다. 靑春의 나이에 헤어진 이들이 이젠 白髮의 老人이다. 이들이 期約없는 再會를 기다리며 不眠의 밤으로 지새운 날들이 그 얼마일까. 엊그제 金剛山에서 進行된 南北 離散家族 만남에서 52年 守節 끝에 北쪽의 男便을 만난 정귀업 할머니(75)가 相逢 期間 동안 내뱉은 말 한마디 한마디는 바로 詩였다. 그도 그럴 것이 男便을 만나게 되면 하려고 無慮 50餘年에 걸쳐 생각하고 골랐던 말이기 때문이리라.

▷“가시밭길도 그런 가시밭길이 없어라우. 꽃方席을 깔아줘도 가지 않을 길을 50年 넘게 혼자서 훠이훠이 걸어왔어라우. 눈물로 밥 삼아 살아왔지.” 어떤 이름있는 詩人도 그의 말처럼 切切하게 表現해 낼 수는 없을 것 같다. “牽牛織女는 한 해에 한 番이라도 만나는데. 時計바늘이 한 點도 쉬어주질 않아. 時間은 가고 있어. 내 人生도 가고.” 다시 男便과 헤어져 南쪽으로 발길을 돌린 그의 恨과 아픔을 풀 수 있는 날은 언제일까.

홍찬식 論說委員 chansik@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