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輿論마당]손대현/월드컵때 `IT코리아` 浮刻시키자|동아일보

[輿論마당]손대현/월드컵때 'IT코리아' 浮刻시키자

  • 入力 2002年 5月 1日 18時 48分


韓國의 월드컵 開催 都市들의 서비스 인프라 中 競技場 等 機能的 인프라(하드웨어)는 世界的 水準인데 비해 情緖的 인프라(소프트웨어)는 如前히 脆弱한 것으로 最近 열린 ‘韓日 월드컵 開催都市 觀光서비스 水準 分析’이라는 主題의 國際 세미나에서 나타났다. 韓國의 월드컵 開催 都市인 서울 仁川 釜山 大邱를 對象으로 한 外國人 調査員의 現地調査와, 日本의 開催都市인 오사카 고베 요코하마에 對한 現地 벤치마킹 等을 土臺로 월드컵의 成功的 開催를 위한 프레월드컵 段階의 緊急對策 열 가지를 提案한다.

첫째, 월드컵 開催期間 동안 觀覽客과 觀光客이 가장 많이 利用하는 施設인 空港, 터미널, 中央驛, 호텔 等에 地域 特性과 國家的 特性을 돋보이게 하는 象徵物이 必要함에도 거의 全無한 狀態다. 只今이라도 그림이나 寫眞 等을 設置할 必要가 있다.

둘째, 2002 韓國 월드컵을 인터넷 월드컵으로 浮刻시켜야 한다. 韓國은 世界的으로도 數위에 있는 超高速通信網 普及과 情報技術(IT) 强國이라는 强點을 利用해 國家的 미디어 戰略 次元에서 韓國의 魅力을 全 世界에 알릴 수 있도록 해야 한다. 全國 10個 都市에 包括的인 取材 支援과 開催都市의 웹사이트 디자인 補强, 創意的인 콘텐츠 開發이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나 開催 都市의 弘報能力에는 限界가 있으므로 國家的 次元의 도움이 必要하다.

셋째, 淸潔과 衛生, 安全 强化에 더 細心하게 神經을 써야 할 것이다. 中央驛과 高速버스 터미널의 化粧室과 쓰레기桶 周邊 淸潔은 아직도 未洽한 篇이다. 淸潔問題 하나만이라도 世界 最高로 만들겠다는 姿勢에서 徹底한 對策을 마련해야 한다. 化粧室 配置도, 非常口의 標示, 消防機器의 位置와 機能이 재점검되어야 한다.

넷째, 輸送 서비스 面에서 開催 期間中의 交通混雜 緩和와 效率的인 輸送을 위해 전주시와 같이 自轉車 타고 競技場 가기, 徒步 利用 等이 積極 勸奬되어야 한다. 地下鐵 出入口에 驛員을 한 名이라도 반드시 配置하고 筆談 案內를 위한 메모紙 準備도 必要하다.

다섯째, 携帶電話 使用禁止 및 禁煙의 標示 問題다. 公共場所에 死因 附着을 徹頭徹尾하게 해야 한다. 日本은 이미 말끔하게 整理해놓고 있다.

여섯째, 1級 호텔의 利用 便宜를 위해 外國人 旅行者에게 宿泊과 觀光 情報 等을 提供하는 웹사이트의 構築을 支援해야 한다. 取材陣과 네티즌에게 머물게 될 都市와 近處 觀光地의 主要 施設을 案內하는 한便 周邊 背後都市로의 宿泊 連繫도 積極 誘導해야 할 것이다.

일곱째, 從事者의 外國人 應對를 위해 出戰國의 比較文化 敎育을 疏忽히 해서는 안될 것이다.

여덟째, 1級 對象 호텔의 大部分 食堂들의 메뉴에 外國人을 위한 패스트푸드의 追加가 必要하다.

아홉째, 入場券 販賣狀況이 時急히 公開되어야 한다. 入場券 販賣量의 50%가 海外 販賣 분이므로 外來 訪問客 數와 이들의 國籍 狀況을 豫測할 수 있어야 宿泊과 輸送 對策이 可能하다. 海外 僑胞의 母國訪問 캠페인도 보다 積極的으로 展開할 必要가 있다.

열番째는 훌리건 對策이다. 事件發生 豫防과 突發的인 事件 發生 後의 對處라는 두 가지 觀點에서의 보다 徹底한 對策 樹立이 必要하다.

손대현 漢陽大 國際觀光大學院長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