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最低賃金 1萬620원 vs 9785원… 勞使, 6次 修正案|東亞日報

最低賃金 1萬620원 vs 9785원… 勞使, 6次 修正案

  • 東亞日報
  • 入力 2023年 7月 13日 22時 45分


코멘트
13일 오후 세종시 정부세종청사 최저임금위원회에서 열린 제13차 전원회의에서 류기정 사용자위원이 최저임금 인상안에 대한 반대 의견이 담긴 손팻말을 자리에 게시하고 있다. 2023.7.13 뉴스1
13日 午後 世宗市 政府世宗廳舍 最低賃金委員會에서 열린 第13次 全員會議에서 류기정 使用者委員이 最低賃金 引上案에 對한 反對 意見이 담긴 손牌말을 자리에 揭示하고 있다. 2023.7.13 뉴스1
來年度 最低賃金을 決定하는 最低賃金委員會(最賃委)가 13日 政府世宗廳舍에서 午後 10時를 넘겨서까지 제13차 全員會議를 進行했지만 勞動界와 經營界의 異見을 좁히지 못했다. 이날 6次 修正案으로 勞動界는 1萬620원, 經營界는 9785원을 提示해 835원의 差異가 있었다. 最低賃金 決定이 18日에 열릴 14次 會議로 미뤄지면서 心의 期間만 109日이 될 것으로 보인다. 2016年의 108日을 넘어서면서 ‘歷代 最長期間 審議’를 記錄하게 됐다.

이날 勞動界와 經營界는 6次 修正案 提示에 앞서 5次 修正案으로 各各 1萬1040원과 9755원을 提示했다. 이틀 前 11日 會議에서 提示된 4次 修正案은 勞使 各各 1萬1140원, 9740원이었는데, 勞動界는 100원을 낮추고 經營界는 15원을 올린 것이다.

앞서 兩側의 最初 要求案은 勞使가 各各 1萬2210원과 9620원으로, 2590원 差異났다.

이날 6次 修正案에서 835원까지 差異가 좁혀졌지면 如前히 合意에 이르기는 間隙이 컸다. 最賃委는 午後 10時 半 幹事 運營委員會를 열고 다음 會議 日程을 論議했다.

當初 이날 會議에서 最低賃金이 決定될 것이라는 觀測이 支配的이었다. 歷代 最低賃金 決定 時限을 勘案하면 이番 週를 넘길 可能性이 적었고, 勞使가 合意하지 못했기 때문에 公益委員 仲裁案 票決 方式으로 決定될 것으로 내다보는 意見이 많았다.

하지만 막상 會議가 進行되면서 公益委員들은 ‘勞使 合意’를 强調하는 氣流로 바뀌었다. 公益委員들이 ‘審議促進區間’을 提示하고 勞使 間 合意를 誘導할 것이라는 展望과 다르게, 公益委員들 사이에서 ‘勞使 間 合意가 重要하다’는 立場이 强力히 提起된 것. 時間을 좀 더 들이더라도 勞使間 異見을 좁혀보자는 것이었다.

때문에 最終 決定은 18日 午後~19日 이른 午前 사이 決定될 可能性이 커졌다.

萬若 18日 會議에서도 勞使 合意에 이르지 못하면 例年처럼 公益委員들의 仲裁案을 票決해 來年度 最低賃金을 決定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이날 박준식 最低賃金委院長은 모두發言에서 “來年 適用할 最低賃金 審議에서 여러 次例 勞使 間隙을 좁히기 위한 努力이 이어졌지만, 아직 그 差異가 작지 않다”며 “勞使가 最大限 異見을 좁히고 合意를 통해 決定할 수 있도록 最善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公益委員 幹事인 권순원 淑明女大 經營學部 敎授도 “合意가 어려운 境遇 制度가 許容하는 時限까지 會議를 延長해 論議를 繼續하겠다”라고 덧붙였다.

權 敎授가 말한 制度가 許容하는 時限은 18日 會議를 念頭에 둔 것으로 보인다. 來달 5日까지 雇傭勞動部 長官이 來年度 最低賃金을 考試하기 위한 行政 節次를 거쳐야 하기 때문이다.

世宗=이문수 記者 doorwater@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