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正義連 “지난 1週, 苦痛·挫折·絶望·슬픔의 時間…이 할머니께 悚懼”|東亞日報

正義連 “지난 1週, 苦痛·挫折·絶望·슬픔의 時間…이 할머니께 悚懼”

  • 뉴스1
  • 入力 2020年 5月 27日 15時 24分


코멘트
제1441차 수요집회 © 뉴스1
第1441次 水曜集會 ⓒ 뉴스1
‘正義記憶連帶’(正義連) 會計管理 不實과 前 理事長인 尹美香 더불어民主黨 當選人의 後援金 私的 流用 疑惑이 擴散되는 가운데 正義連이 27日 열린 日本 性奴隸制 問題解決을 위한 需要集會(水曜集會)에서 이나영 正義連 理事長은 이날 “지난 1週는 苦痛과 挫折, 絶望과 슬픔의 時間이었다”며 울먹였다.

特히 資料를 提出하겠다고 밝혔음에도 押收搜索을 强行한 檢察을 批判한 이 理事長은 “檢察은 20日 約 12時間 동안 押收搜索을 進行했고 21日에는 몸이 便치 않으신 길원옥 할머니가 계신 麻浦 쉼터에 들이닥쳤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 理事長은 “押收搜索 終了 이틀 後 檢察 出席을 通報받았으며 어제 (會計擔當者가) 첫番째로 出席했다”며 “쉼터資料를 (正義連이) 提出하기로 檢察에 合意한터라 슬픔과 衝擊을 이루 말할 수 없었다”고 밝혔다. 이 理事長은 “그럼에도 正義連은 檢察의 모든 搜査에 協調的이었으며 言論의 各種 疑惑 提起에 最大限 성실하게 答辯하려고 했다”며 “공정한 搜査와 迅速한 疑惑 解消를 期待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어 이 理事長은 25日 慰安婦 被害者 이용수 할머니가 2次 記者會見을 大邱에서 開催해 正義連 等을 批判한 것과 關聯해 “안타깝게 지켜봤고 마음이 아프고 眞心으로 送球하게 생각한다”며 “그 깊은 苦痛과 鬱憤, 서운함의 뿌리를 무겁게 받아들인다”고 말했다.

이 理事長은 “지난 30年間 鬪爭에서 (被害者들의) 苦痛이 只今도 解消되지 않은 原因을 스스로 돌아보고 再點檢하라는 뜻으로 받아들였다”면서도 “單獨이라는 이름下에 歪曲과 짜깁기 言論報道가 쏟아지고 傷處가 아물길이 없다”며 돌팔매질을 멈춰달라고 呼訴했다.

正義連도 “運動의 自省과 變化를 要求한 被害者의 목소리는 日本軍性奴隸制 問題의 眞實을 外面하고 被害者들의 아픈 歷史를 짓밟고 名譽를 毁損하고 있는 사람들에 依해 加工돼 우리 곁으로 돌아왔다”며 “그 화살은 正義連 運動 自體에 對한 否定으로 向하고 있다”고 指摘했다.

正義連은 “무엇이 問題인지 判斷하고 類推할 時間이 必要하고 아직도 解法을 찾지 못하고 있지만 우리는 입을 열어 이番 問題의 本質을 찾아가고 있다”며 “늘 그래왔듯 그 속에서 答을 찾을 것이며 그렇게 더욱 단단한 連帶를 構築하려 한다”고 밝혔다.

正義連은 이날 서울 종로구 옛 주한일본대사관 앞 少女像 隣近에서 第1441次 水曜集會를 豫定대로 進行했다. 지난 7日 慰安婦 被害者 이용수 할머니(92)가 大邱에서 正義連의 寄附金 使用이 不透明했고 水曜集會에 더 以上 參與하지 않겠다는 記者會見을 開催한 以後 需要集會에는 正義連 支持者들과 反對派들이 結集해 맞불 集會를 열고 있다.

正義連 支持團體 100餘名은 이날 少女像 옆에 모여 ‘正義連을 應援한다’‘수요시위를 함께 지켜달라’‘언론개혁’이라고 적힌 피켓(손牌말)을 들고 示威했다. 同時에 少女像 건너便 印度에는 自由大韓護國團, 엄마部隊, 班一同上眞實糾明共同委員會 等이 ‘少女像을 撤去하라’‘윤미향을 拘束하라’며 맞불集會를 열었다.

(서울=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