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文在寅 18億-洪準杓 25億-安哲秀 1196億-劉承旼 48億-沈想奵 3億 財産申告|東亞日報

文在寅 18億-洪準杓 25億-安哲秀 1196億-劉承旼 48億-沈想奵 3億 財産申告

  • 東亞日報
  • 入力 2017年 4月 17日 03時 00分


코멘트

[選擇 2017/大選 D-22]歷代 最多 15名 候補 登錄

第19代 大統領 選擧에 公式 出馬하는 候補者가 歷代 最多(最多)인 15名으로 最終 集計됐다고 中央選擧管理委員會가 16日 밝혔다. 이제까지는 제4대 및 17代 大選에 各各 出馬했던 12名이 가장 많은 數였다.

大選 候補들에게는 所屬 政黨의 國會 議席數 順으로 畿湖가 附與돼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大選 候補가 記號 1番을 받았다. 1987年 大統領 直選制 導入 以後 現 민주당 系列 政黨이 記號 1番을 받은 것은 2007年 大統合民主新黨 정동영 候補에 이어 두 番째다. 文 候補는 財産으로 慶南 양산시의 自宅과 建物 等 18億6403萬 원을 申告했다. 財産에는 包含하지 않았지만 冊 ‘大韓民國이 묻는다’로 7648萬 원의 所得을 올렸다고 밝혔다. 文 候補는 1975年 集會 및 示威에 關한 法律 違反 等 2件의 前科가 있다. 本人과 아들 모두 現役으로 軍 服務를 마쳤다.

記號 2番인 自由韓國黨 洪準杓 候補는 財産 25億5554萬 원을 申告했다. 本人과 次男이 所有한 서울 송파구 所在 아파트 두 채가 20億 원假量으로 財産의 大部分을 차지했다. 1998年 公職選擧法 違反으로 500萬 원의 罰金을 받았으나 2000年 赦免됐다.


記號 3番은 國民의黨 安哲秀 候補다. 財産(1196億9010萬 원)과 納稅實績(最近 5年間 202億7959萬 원) 모두 1位였다. 財産의 大部分은 安랩 株式(1075億800萬 원)이었다. 딸 설희 氏의 財産은 1億3688萬 원으로 申告했다. 安 候補는 海軍 軍醫官으로 兵役을 마쳤다.

바른政黨 劉承旼 候補, 正義黨 沈想奵 候補, 새누리당 조원진 大選 候補 順으로 記號 4∼6番을 받았다. 劉 候補는 48億3612萬 원을 財産으로 申告했으며 本人과 아들 모두 現役 兵長으로 除隊했다. 沈 候補는 1993年 서울 구로地域 勞組들의 同盟罷業 事件의 主動者로 執行猶豫를 宣告받는 等 2件의 前科 記錄이 있다. 韓國黨을 脫黨해 새누리당으로 出馬한 조 候補는 1992年 道路交通法 違反으로 罰金 150萬 원을 냈다고 申告했다.

國民大統合黨 장성민 候補, 늘푸른韓國黨 이재오 候補, 統一韓國當 남재준 候補 等 國會에 議席이 없는 政黨 候補는 政黨名 가나다順으로 記號를 配定한다. 無所屬은 김민찬 候補 한 名으로 記號 15番을 받게 된다.

中央選菅委가 월드리서치에 依賴해 10, 11日 調査한 結果 82.8%가 이番 大選에 반드시 투표하겠다고 答한 것으로 나타났다(자세한 內容은 中央選擧輿論調査審議委員會 홈페이지 參照). 2012年 大選 前에 實施한 같은 調査에서 나타난 結果(78.2%)보다 積極 投票層이 많아진 것이다. 特히 19∼29歲 應答者의 積極 投票 意向이 지난 大選 調査 當時 65.7%에서 84.2%로 18.5%포인트, 30代는 71.1%에서 80.9%로 높아지는 等 젊은층의 投票 參與 意向이 上昇했다. 反面 50∼70代 以上의 投票 參與 意向은 減少한 것으로 나타났다.

문병기 記者 weappon@donga.com
#財産申告 #大選 #選擧 #遊說 #文在寅 #洪準杓 #安哲秀 #劉承旼 #沈想奵 #候補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