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진핑-아베 ‘센카쿠 葛藤’ 一旦 제쳐놓고 頂上會談|東亞日報

시진핑-아베 ‘센카쿠 葛藤’ 一旦 제쳐놓고 頂上會談

  • 東亞日報
  • 入力 2015年 5月 6日 03時 00分


코멘트

[꽉 막힌 韓國 外交/新 實用의 길]中-日, 名分 執着않고 國益 챙겨
“日右翼 支持받는 아베 總理 있을때 朴大統領, 韓-日 突破口 만들 必要”

中國과 日本은 그동안 名分에 執着하지 않고 작은 犧牲을 甘受하더라도 더 큰 國益을 챙기는 外交 力量을 키워 왔다. 시진핑 國家主席이 美國과의 關係 設定을 하면서 ‘新型大國關係’라 主唱한 것은 敏感한 懸案에서는 分離 對應하겠다는 方針을 보여주는 것이다.

한 國家와의 協力이 다른 國家와의 關係를 妨害하거나 利害가 衝突하지 않도록 管理하는 外交도 두드러진다. 우크라이나 事態 當時 西方과 對立하던 러시아를 支持하면서도 具體的 協力은 에너지 等 經濟 協力에 局限한 것이 代表的. 美國 等 西方과 正面으로 맞서는 狀況은 만들지 않는 것이다.

中國은 아시아인프라投資銀行(AIIB) 創立會員國으로 美國의 盟邦인 英國을 끌어들여 外交的으로 美國에 勝利를 거뒀다. 領土 葛藤을 빚고 있는 필리핀과 베트남이 包含된 아세안 10個國도 AIIB 隊列에 合流했다.

共通點은 追求하고 差異點은 남겨두는 ‘求同存異(求同存異)’는 中國式 實用外交를 그대로 보여주는 말이다. 시 主席은 領土와 歷史 葛藤을 벌이고 있는 日本과 지난해 11月과 지난달 두 次例에 걸쳐 頂上會談을 가졌다.

지난해 11月 頂上會談 當時 日本은 最大 葛藤 原因이었던 센카쿠(尖閣) 列島(中國名 댜오위다오·釣魚島)를 놓고 ‘最近 緊張 狀態에 對해 서로 다른 見解를 가지고 있다’고 認定한 뒤 곧바로 中國側으로부터 頂上會談을 열겠다는 뜻을 傳達받았다.

日本 아베 신조 政權은 오키나와 現 州知事와 住民들의 反對에도 不拘하고 후텐마(普天間) 美軍基地 移轉을 밀어붙이고 있다. 美國은 후텐마 基地 移轉을 東아시아 美軍 再編의 重要 契機로 삼고 있다. 지난週 美國을 訪問한 아베 總理가 國賓 待接을 받은 背景에는 美國의 理解를 위해 日本이 讓步하는 模樣새를 持續的으로 取한 結果라는 觀測이 나온다.

아베 總理가 中國과 關係를 改善할 때 自身의 外交 策士를 活用한 點도 돋보였다. 그의 策士인 野致 쇼타로(谷內正太郞) 국가안전보장국(NSC) 局長은 지난해 11月 양제츠(楊潔지) 中國 外交擔當 國務委員과 만났다. 領土 紛爭 等 敏感한 懸案에 對한 批判을 憂慮해 冊肆를 앞세운 것이다.

日本 專門家들 사이에서는 韓日 懸案들을 아베 總理가 解決할 수 있는 潛在力이 있으므로 韓國이 오히려 이런 狀況을 機會로 만들어야 한다는 助言이 나오고 있다. 外務省에서 條約局長과 유라시아局長 等을 지낸 도고 가즈히코(東鄕和彦) 교토産業大 世界問題硏究所 所長은 “아베 總理가 있는 동안 오히려 韓日 間의 어려운 問題를 解決할 수 있다”면서 “日本 政界에서 아베 總理만큼 右派의 信賴를 받는 政治人은 없다. 日本軍 慰安婦 問題 等을 解決하려면 日本이 讓步해야 하는데 이렇게 할 수 있는 사람은 現在 아베 總理밖에 없다는 뜻”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아베 總理가 지난주 美國에서 고노 談話를 바꿀 생각이 없다고 말했는데 이 程度로 確實히 말한 政治人은 最近엔 없었다”며 “韓國이 이런 部分을 認定해줘야 惡循環의 고리를 끊을 수 있다”고 했다.

베이징=구자룡 bonhong@donga.com / 도쿄=朴亨埈 特派員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