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弟子들 얼굴을 볼 수 있는 스승의 날![이기진 敎授의 만만한 科學]|東亞日報

弟子들 얼굴을 볼 수 있는 스승의 날![이기진 敎授의 만만한 科學]

  • 東亞日報
  • 入力 2022年 5月 13日 03時 00分


코멘트
이기진 교수 그림
이기진 敎授 그림
이기진 서강대 물리학과 교수
이기진 西江大 物理學科 敎授
나에겐 멋진 스승이 한 분 계시다. 留學 時節 指導敎授 硏究室은 내 硏究室과 같은 層에 있었다. 平素에 많이 疏通하고 지냈지만, 서로 바쁠 때는 便紙와 메모로 對話를 나누곤 했다. 집에 가기 前 長文의 硏究 리포트를 指導敎授 硏究室 門 앞에 붙여놓으면 答狀이 그다음 날 硏究室 門 앞에 붙여져 있었다. 萬年筆로 쓴 멋진 答狀이었다. 내가 한 實驗 結果에 對한 꼼꼼한 코멘트는 恒常 기다리던 즐거운 便紙와 같았다.

어느 날이었다. 여느 때처럼 새벽까지 實驗하고 있었다. 새벽녘 指導敎授가 實驗室 門을 조용히 열고 들어왔다. 그날 그분과 아침이 올 때까지 이야기했다. 사는 問題, 硏究, 硏究費, 物理學, 家族, 人生 等等. 葬禮式을 치르고 잠이 오지 않아 새벽에 學校에 나왔다고 했다. 많은 이야기가 오고갔다. 나는 主로 듣는 쪽이었다. 指導敎授에게 들었던 것들은 些少한 이야기들이었다. 하지만 아직도 내 마음속에 있다. 어떻게 物理學者가 되고 어떻게 좋은 어른이 되는지에 關한 이야기. 그날 以後 나는 더 熱情的으로 硏究에 臨했던 것 같다. 한 사람에 依해 또 다른 次元의 世界에 들어선 靑年의 物理學者처럼.

서울에 敎授가 되어 돌아왔다. 아침 일찍 硏究室에서 學生들과 커피 한 盞을 마시며 하루를 始作했다. 硏究室의 規則 같은 重要한 意識이었다. 硏究에 對해 시시콜콜한 것에서부터 硏究室 運營 이야기, 앞으로 해야 될 硏究 等等. 이 아침 時間이 하루의 重要한 始作이기도 했고, 第一 기다려지는 時間이기도 했다. 잠들기 前 實驗室을 지키는 學生들을 만나러 간다는 생각에 가슴이 두근거렸다. 그 親舊들이 卒業을 하면 마치 마음을 다 준 愛人과 헤어진 사람처럼 속앓이를 하곤 했다.

量子力學의 門을 연 닐스 보어와 不確定性 原理를 밝힌 獨逸의 最高 物理學者 베르너 하이젠베르크는 師弟之間이었다. 1922年 6月 어느 날, 노벨賞을 받은 補語는 講演을 하기 위해 獨逸 괴팅겐 大學을 찾았다. 그날 그곳에 聽衆의 한 사람으로서 大學 3學年인 스무 살 하이젠베르크度 있었다. 發表가 끝나자 하이젠베르크는 補語에게 銳利한 質問을 던진다. 質問을 받은 補語는 當場 答辯하기 곤란하니 나중에 別途로 만나 이야기를 나누자고 提案한다. 두 사람은 郊外에서 만나 散策을 하며 긴 討論을 벌인다. 補語와 하이젠베르크의 師弟 關係는 이렇게 始作되었다.

그로부터 2年 後, 補語는 하이젠베르크를 自身의 硏究所로 招請했고, 두 사람의 共同 硏究가 始作됐다. 이 두 사람의 硏究로 原子 構造를 밝히는 量子力學의 體系가 完成된다. 10年이 흐른 後 1932年 하이젠베르크는 陽子力學을 발전시킨 功勞로 노벨賞을 받았다. 아버지 같은 스승과의 만남이 이뤄낸 結實이었다.

올해 미루던 스승의 날 行事를 弟子들과 하기로 했다. 場所는 學校 앞 단골 三겹살 집. 이젠 結婚해서 아이를 키우는 父母, 社會의 重要한 位置에서 責任을 다하는 어른이 된 弟子들. 그날이 기다려지기도 하지만 애틋해지기도 한다. 마치 헤어진 옛 戀人을 만나는 것처럼.

이기진 西江大 物理學科 敎授



#스승의 날 #弟子들 얼굴 볼 수 있는 날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