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寄稿/이향정]左衝右突 우당탕탕! 新入社員 버티기|동아일보

[寄稿/이향정]左衝右突 우당탕탕! 新入社員 버티기

  • 東亞日報
  • 入力 2012年 12月 4日 03時 00分


코멘트
이향정 백석문화대 관광학부 교수
이향정 白石文化臺 觀光學部 敎授
스물두 살이 되던 해 1月, 나는 大韓航空 유니폼을 입었다. 세련되고 멋진 스튜어디스로 핑크빛 未來만 꿈꿨던 스물두 살의 社會 初年生이었다.

그러나 나의 職場生活은 우당탕탕 左衝右突 失手와 卵管의 連續이었다. 學生 時節 便安하고 자유롭게 살았던 내게는 會社에서 지켜야 하는 많은 規律이 엄청난 스트레스였다. 乘務員이라는 職業의 不規則한 生活에 익숙해지기도 쉽지 않았다. 午前 3, 4時에 일어나야 하는 勤務가 이어지면 每番 떠지지 않는 눈꺼풀을 억지로 열어야 했다. 너무 졸려 잠깐 더 자다가 헐레벌떡 空港으로 뛰어가기 일쑤였다.

흔들리는 飛行機 안에서 일하다 보니 멀미에 시달렸다. 속이 울렁거리는데도 억지로 웃으면서 乘客들 앞에 서 있으려니 괴로웠다. 飛行機 通路를 지나는데 갑작스러운 氣體 搖動으로 넘어지면서 男子 乘客의 무릎에 앉아 버리기도 했다. 얼마나 부끄럽고 猖披하던지….

失手도 많이 했다. 乘客의 옷에 주스나 와인을 쏟기도 하고, 乘客에게 注文을 받고도 깜박 잊고 안 가져가 魂쭐이 나기도 했다. 飛行機에서 일하다가 이리저리 부딪쳐서 온몸에 멍이 떠날 날이 없었다. 무엇보다 괴로웠던 것은 발이다. 學生 때야 便한 신발을 신고 다녔지만, 乘務員이 되니 딱딱하고 不便한 구두를 신고 15∼20時間을 왔다 갔다 해야 했다. 發은 퉁퉁 부어오르고 뒤꿈치는 까지機 일쑤였다.

게다가 막내 乘務員인 나는 化粧室 淸掃를 맡아야 했다. 率直히 그때까지 우리 집 化粧室도 한 番 淸掃해 본 적이 없었다. 그랬던 내가 多國籍 乘客들이 使用한 化粧室을 들락날락해야 했다. 第一 참기 힘든 것은 嘔吐를 치우는 일이었다. 아기, 어른, 술 먹은 사람 嘔吐物을 냄새를 참아 가며 種類別로 치워야 했다.

“아! 너무 힘들다. 어렵다. 발 아프다. 더 자고 싶다. 못 해 먹겠다!” 華麗하고 멋진 일이라고만 여겼던 내 생각과 너무도 달라 이 일을 繼續해야 할지 여러 番 苦悶도 했다. 그렇게 否定的인 생각도 했지만, 乘務員으로 合格만 시켜 준다면 힘든 일은 다 하겠다는 親舊를 만나면서 마음을 바꾸어 나갔다. ‘나보다 더 힘든 環境에서 일하는 사람도 많을 텐데…. 그래, 忍耐해 보자! 언젠가 좋은 날이 오겠지!’

나는 社會生活의 危機와 倦怠期를 그렇게 克服했다. 그리고 18年間 無事故·無罰點으로 勤續했고, 最年少로 選任事務長으로 進級했으며, 일하면서 學業에도 熱中해 現職 女乘務員 最初로 博士學位까지 받았다. 乘務員이라는 不規則한 職業 環境에서 學位를 받는다는 것은 누구도 생각 못했던 일이다. 그리고 이제는 敎授로서 第2의 人生을 걷고 있다.

힘겨웠던 時節이 있었기에 人生의 貴重한 敎訓을 배우고 깨달았다. 그러면서 成長했고 어려움을 깨닫고 忍耐를 배웠다. 失手도 아픔도 資産이 됐고 또 다른 挑戰의 밑거름이 되었다.

就業의 季節이다. 나는 힘들었던 職場 生活을 學生들에게 자주 얘기해 준다. 그럼에도 不拘하고 社會生活에서 겪는 어려움을 忍耐하지 못하고 한 달, 아니 一週日을 못 버티고 일을 그만두는 學生이 너무나 많다. 特히 觀光 外食 및 서비스 業種에 勤務하는 사람은 여러 가지 悲哀와 感情 勞動을 이겨 내야 하기 때문이다. 卒業班 學生들을 좋은 職場에 就業시켰는데 忍耐하지 못하는 모습을 볼 때마다 안타깝다. 自身을 넘어서지 못하고 쉽게 抛棄하는 것이다. 참고 忍耐하는 게 쉽지 않은 것은 事實이지만, 고비를 넘어서면 엄청나게 成長한 스스로를 發見하면서 自信感과 判斷力을 가질 수 있다. 젊은이들이여, 멋진 未來와 좋은 結果가 기다리고 있다는 것을 믿고 忍耐瑕疵!

이향정 白石文化臺 觀光學部 敎授
#新入社員 #社會生活 #就業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