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늘과 來日/정성희]“안아 봐도 돼요?”|동아일보

[오늘과 來日/정성희]“안아 봐도 돼요?”

  • Array
  • 入力 2012年 4月 21日 03時 00分


코멘트
정성희 논설위원
정성희 論說委員
앙겔라 메르켈 獨逸 總理는 2010年 포츠담에서 열린 基民黨 演說에서 “獨逸의 多文化 社會는 完全히 失敗했다”고 吐露했다. 그는 “獨逸은 移住民의 도움 없이는 꾸려갈 수 없는 社會지만 移住民들도 獨逸 社會의 一員이 되려면 獨逸語 工夫부터 하고 와야 한다”고 强調했다. 獨逸 人口 8200萬 名 가운데 外國系는 1600萬 名. 이 中 터키界 이슬람敎徒가 250萬 名이다. 이들은 獨逸 主流社會와 동떨어진 別個의 커뮤니티를 形成해 살면서도 獨逸 社會安全網의 惠澤을 다 누린다.

‘文化 共存’에 拒否感 많은 韓國人


니콜라 사르코지 프랑스 大統領은 지난해 한 放送과의 인터뷰에서 “當身이 프랑스로 왔다면 (프랑스라는) 한 社會에 녹아드는 것을 받아들여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부르카 禁止 法案을 통과시키고 집시를 追放하는 政策을 폈다. 메르켈 總理는 東獨 出身이고 사르코지 大統領도 헝가리 移民 2歲다. 非主流가 最高 指導者가 된 이 國家들의 톨레랑스(寬容)를 보여준다. 지난해 노르웨이에서 最惡의 銃器亂射 事件을 일으킨 亞네르스 베링 브레이비크의 心理는 班(反)移民 파시즘이었다. 經濟危機와 더불어 深刻해지는 反移民 情緖의 一端을 露出한 事件이다.

새누리당 比例代表가 된 이자스민에 對한 一部 누리꾼의 反感은 單純히 새누리黨 승리에 對한 一部 野圈 支持者의 不服(不服)이라기보다는 韓國人 마음 깊은 곳에 있는 異邦人에 對한 不安感의 發露다. 많은 사람이 그가 多文化 家庭을 위해 努力하는 모습을 따뜻한 視線으로 지켜보았다. 거기까지는 좋았다. 하지만 國會議員이 된다는 것을 다르게 받아들였다. 國會議員이란 個人에게는 成功神話요, 全體 多文化 家庭에는 韓國 主流社會로의 編入을 象徵한다. 不法滯留者 無料 醫療支援, 故鄕 歸國非 支援 等 인터넷에 떠도는 이른바 ‘이자스민 公約’은 虛構였지만 가까운 將來에 實現될 可能性이 높다. 美國의 差別撤廢政策(Affirmative action)처럼 早晩間 우리나라 大學들도 多文化 子女 特例入學 規定을 만들 것이고, 또 그래야만 한다. 異邦人들이 ‘내 몫’을 本格的으로 빼앗을 것이라는 憂慮와 恐怖가 이자스민 攻擊 心理에 깔려 있다.

最近 發表된 多文化受容性指數를 보면 우리의 多文化 受容性은 100點 滿點에 51.17點으로 中間 程度다. 어느 國家든 다양한 人種 宗敎 文化가 共存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하는 ‘文化 共存’에 對해 유럽 18個國은 贊成 比率이 74%인 데 비해 韓國은 36%에 不過했다. 一旦 韓國에 왔으면 韓國法을 따르라는 情緖는 獨逸式 多文化(多文化)보다는 프랑스式 童話(同化)主義에 가깝다. 韓國에서도 파리에서처럼 移民者그룹과 主流社會의 葛藤이 暴力으로 噴出될 可能性이 있는 것이다.

理性이 本能 눌러야 社會 發展해

生物學者들은 낯선 것을 警戒하는 習性이 遺傳子에 刻印된 生存 本能이라고 分析한다. 人間은 이런 本能에 抵抗하면서 낯선 것을 探險하고 包容하면서 文明을 일구었다. 歷史도 언제나 本能과 純粹性보다는 異性과 多樣性을 擇한 쪽의 손을 들어주었다. 世界化 時代에 異邦人을 排擊하고 “우리끼리 잘살자”며 發展한 나라는 없다.

多文化에 對한 抵抗感, 脫北者를 二流市民 取扱하는 韓國 社會, 級友에 對한 集團따돌림(王따)과 暴力. 우리 社會에 蔓延한 이런 現象을 貫通하는 脈絡은 ‘排除의 메커니즘’이다. 나와 다른 存在, 나와 다른 價値를 받아들이지 못하는 것이다. 톨레랑스 精神의 核心은 나와 다른 個人의 삶과 생각을 認定하는 데서 出發한다. 그런 意味에서 이자스민 攻擊은 單純한 제노포비아(外國人 嫌惡症)가 아니라 韓國의 톨레랑스를 銳利하게 試驗하는 事件이다. 映畫 ‘완得이’에서 이자스민이 演技한 ‘완得이 엄마’가 조심스럽게 던진 “안아 봐도 돼요?”라는 물음에 우리가 答할 次例다.

정성희 論說委員 shchung@donga.com
#오늘과 來日 #정성희 #똘레랑스 #多文化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