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나를 있게한 그 사람]박재갑 서울대 醫大 外科學敎室 敎授|東亞日報

[나를 있게한 그 사람]박재갑 서울대 醫大 外科學敎室 敎授

  • Array
  • 入力 2011年 12月 16日 03時 00分


코멘트

큰바위처럼 든든했던 여덟 살 위 큰형님…‘인술의 길’로 이끌어

일러스트레이션 김수진 기자 soojin@donga.com
일러스트레이션 김수진 記者 soojin@donga.com
먹고사는 게 걱정이던 時節이 있었다. 10代를 보낸 1960年代만 해도 너나없이 그렇게 어려웠다. 아버지는 恒常 “배곯지 않으려면 技術을 배워야 한다”고 말씀하셨다. 5兄弟 中 맏이였던 재길 兄이 醫大에 進學했다. 사람 고치는 技術이 最高라는 아버지 바람대로였다. 나보다 여덟 살이나 많은 큰兄은 큰 바위처럼 든든했다. 아버지는 무뚝뚝하고 무서워 곁에는 가지도 못했고 어머니는 仁慈하기만 하셨기에 그 사이에서 내가 믿고 따를 언덕은 큰兄이었다.

나도 따라 醫大에 支援했다. 兄은 내게 “醫師는 優秀한 사람보다 꾸준히 努力하는 사람에게 적합한 職業이다. 그러니 너에게 잘 맞을 거다”라고 했다. 하지만 大學 入試에서 1志望이었던 醫大에 不合格했다. 비록 2志望이지만 서울대에 合格했으니 다니려 했다. 그런 나를 큰兄이 말렸다. “人生 工夫를 한다고 생각해라. 내가 周圍에서 보니 경기고 出身은 스스로 잘난 척하는 사람들이 많더라. 再修하면서 너도 그런 者만을 버려라.” 내겐 하늘 같던 兄의 말이었다. 未練 없이 再修를 擇했다. 그리고 이듬해 目標였던 서울대 醫大에 進學했다.

醫大生이 됐지만 特出한 學生은 아니었다. 當時엔 故鄕에 내려가 開業을 할 생각이었다. 그런데 서울대병원의 規模가 커지며 내게도 敎授 자리가 주어졌다. 敎授가 된 뒤 指導敎授님의 勸誘에 따라 大腸癌 分野 工夫를 始作했다. 1980年代에는 只今처럼 大腸癌의 發病率이 높지 않았다. 注目받던 疾病이 아니다 보니 내게 硏究 機會가 돌아온 셈이었다.

그때부터 細胞株 開發을 始作했다. 사람 組織으로부터 樹立한 細胞주는 살아있는 細胞의 代謝 作用을 硏究할 수 있고 여러 實驗을 해 볼 수 있어 癌 硏究를 위해 必須的이다. 하지만 當時 韓國人 細胞주는 全無했다. 努力 끝에 1984年 처음으로 韓國人 胃癌患者의 細胞주를 開發했다. 이어 大腸癌 細胞주를 包含해 數百 種의 細胞주를 開發했다. 只今은 世界에서 4番째로 큰 規模로 자리 잡은 韓國細胞주銀行이 그렇게 始作됐다.

한창 大腸癌 專門敎授로 活動하고 있을 때 서울對 癌硏究所 所長에 指名됐다. 내가 갈 자리가 아니었다. 癌 分野에서 우리에게 神 같은 存在인 김노경 敎授님을 모시려 先後輩들이 나섰다. 하지만 金 敎授님은 오히려 8年이나 어린 後輩인 나를 指目했다. “박재갑이한테 맡기면 잘할 거다.” 이 한 말씀만 하셨다고 傳해 들었다.

그렇게 해서 1995年 서울대 癌硏究所 所長이 됐다. 그 자리에서 ‘암 征服 10個年 計劃’을 立案했다. 10個年 計劃을 土臺로 政府는 國家 癌檢診事業을 推進했고, 地域癌센터度 세웠다. 癌管理法이 制定되는 데도 힘을 보탰다. 國立癌센터 設立도 主導했다. 새로 門을 연 國立癌센터에 金 敎授님을 모시고 싶었지만 이番에도 亦是 맡지 않으셨다. 그래서 맡게 된 國立癌센터 院長으로 在職하면서 담배의 弊害를 數없이 눈으로 確認했다. 禁煙運動을 하게 된 契機였다.

돌이켜 보면 只今의 나를 만든 건 수많은 因緣이었다. 어린 時節엔 큰兄이 나를 이끌었다. “네가 잘난 사람이 아니다”라는 兄의 말은 내 人生을 바꾼 한마디였다. 德分에 다른 사람의 생각과 意見에 귀를 기울이는 習慣이 자연스럽게 몸에 뱄다. 醫大에 進學해 癌을 硏究하고 있는 내 삶의 軌跡은 모두 周邊의 助言을 살핀 結果였다. 그렇게 依支했던 兄이 美國에서 醫師로 生活하다 다른 病도 아닌 大腸癌으로 눈을 감은 건 마음속 悔恨으로 남아 있다.

두 番째 因緣은 김노경 敎授님이다. 서울대 癌硏究所 所長과 國立癌센터 院長 모두 金 敎授님이 내게 넘긴 자리였다. 金 敎授님 德分에 癌征服 事業을 始作하고 只今 禁煙運動까지 펼치고 있다. 그 믿음이 아니었다면 不可能했을 일이다.

세 番째는 現在進行形인 나의 後輩들과의 因緣이다. 韓國細胞주銀行에서 細胞株 硏究를 이어가고 있는 後輩들, 大腸肛門學 分野를 이끌고 있는 後輩들, 서울대 癌硏究所와 國立癌센터를 世界的인 機關으로 만든 後輩들 모두 단단한 因緣의 끈으로 이어져 있다. 앞으로는 이들이 主役이 돼 癌 硏究를 이끌어 줄 것이다.

박재갑 서울대 醫大 外科學敎室 敎授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