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新聞과 놀자!/김선향 敎師의 ‘아하,클래식’]눈으로 보는 音樂, 樂譜의 世界|東亞日報

[新聞과 놀자!/김선향 敎師의 ‘아하,클래식’]눈으로 보는 音樂, 樂譜의 世界

  • 東亞日報
  • 入力 2016年 8月 17日 03時 00分


코멘트
音樂은 모두 알다시피 時間藝術입니다. 音樂의 아름다움을 百 마디 말로 說明한다 하더라도 한 番 들어보는 것만 못하고, 아무리 좋은 音樂이라도 演奏되는 時間이 지나버리면 다시는 들을 수 없기 때문이지요. 그래도 音樂을 눈으로 보는 方法이 있습니다. 흔히 ‘樂譜’라고 불리는 技保(記譜)에 依해서입니다. 記譜法은 時代나 地域, 作曲家나 學者에 따라 여러 方法으로 使用되어 왔으며 끊임없이 變化하고 發展해 왔습니다. 一般的인 樂譜는 5個의 線을 그어 그 線과 칸, 그리고 5選의 위아래에 덧줄을 그어 音자리標, 音標, 쉼標, 拍子標, 調標와 臨時標, 빠르기와 셈여림, 나타냄말 等을 記錄해 作曲家가 意圖하는 音樂을 表現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림 1] 쇼팽(Frederic Chopin·1810∼1849)의 연습곡 ‘흑건’(Etude Op.10 No.5) 자필 악보
[그림 1] 쇼팽(Frederic Chopin·1810∼1849)의 練習曲 ‘黑巾’(Etude Op.10 No.5) 自筆 樂譜

○ 五善 樂譜는 歷史의 産物

우리가 接할 수 있는 가장 오래된 音樂은 中世(4∼14世紀頃) 때 만들어진 그레고리오 聖歌(Gregorian Chant)입니다. 그레고리오 聖歌는 當時 여러 敎會에서 다양하고 散漫하게 불리던 聲價를 敎皇 그레고리우스 1歲(在位 590∼604年)가 整理한 것으로 每日 定해진 時間에 禮拜를 드리며 使用했습니다. 當時 修道士들은 이 聖歌들을 記錄으로 남기기 위해 ‘네우마(neuma)’라는 특수한 記號를 使用했습니다(8세기경). 네우마는 그리스어로 ‘符號’라는 뜻을 갖고 있는데요, 말 그대로 正確한 音높이를 나타내기보다는 相對的인 音의 높낮이를 單純한 符號로 表示했습니다. 音이 올라가면 /, 내려가면 \, 올라갔다 내려가면 ∧ 等 세 가지 符號를 써서 旋律의 形態를 적었던 것으로 音의 길이는 나타낼 수 없었습니다.

[그림 2] 성가의 가사 위에 표시된 음의 높낮이 기호 ‘네우마’
[그림 2] 성가의 袈裟 위에 標示된 音의 높낮이 記號 ‘네우마’
그레고리오 聖歌는 伴奏 없이 하나의 旋律만으로 불렸고, 또한 神(神)에게 讚美를 드리는 內容의 歌詞 傳達을 主目的으로 했기에 相對的인 音높이 技保만으로도 聖歌隊員들이 새로운 노래를 배우고 부르는 데 큰 問題가 없었습니다. 그러나 9世紀頃 하나의 旋律로만 불리던 聖歌에 옥타브나 4度, 5度 위로 똑같은 音程 關係로 같은 旋律을 부르는 方式의 多聲(多聲) 音樂이 登場하면서 單純한 相對的 音높이의 技保만으로는 複雜한 多聲 音樂을 배우고 익히기가 쉽지 않게 됩니다.

이러한 多聲 音樂의 發達은 結果的으로 音의 길이와 리듬, 拍子標와 音자리標의 發展, 卽 記譜法의 發展으로 이어졌습니다. 또 남겨진 樂譜를 通해 旣存의 音樂을 參考로 새로운 音樂을 創作하는 일을 可能하게 함으로써 敎會音樂과 함께 世俗音樂 또한 後代에 많이 傳해지는 契機가 됐습니다.

階이름이라는 훌륭한 音樂敎育 體系를 만들어 記譜法의 發達에 큰 影響을 준 귀도 다레초(Guido d‘Arezzo·992?∼1050?) 記憶하나요? 다레초는 階名唱을 만든 것 以外에도 現在 5仙步의 母胎가 된 4仙步를 정착시킨 人物로도 有名합니다. 相對的인 音높이만 알 수 있었던 ‘네우마’ 記譜法에서 絶對的인 音높이를 나타내주는 빨간色의 基準 선(F-계이름 ‘Fa’)이 나타나고, 뒤이어 그 위에 노란色(或은 綠色·C-階이름 ‘Do’)의 줄이 登場해 比較的 正確한 音의 높낮이를 알 수 있게 됐답니다.

一般的으로 階이름 ‘Do’가 더 먼저 생겼을 것 같고, ‘Fa’ 線이 ‘Do’ 線보다 높게 있을 것 같은데 그 反對인 理由는 當時 불린 그레고리오 聖歌가 男性만 부를 수 있었기 때문에 男性의 音域臺에 맞추었기 때문이지요. 그中에서도 特別히 이 두 音을 選擇한 理由는 F와 C 바로 아래 音들이 半音 關係이므로, 다른 音들을 選擇했을 때보다 어려운 半音 關係를 正確하게 表記할 수 있었기 때문이라고 생각됩니다. 그 뒤로 2個의 線을 더 追加하여 4仙步가 使用되었는데, 代身 처음 생긴 두 줄의 C와 F의 文字를 그 音程의 譜表選 앞에 明示했습니다. 이것이 오늘날의 높은音자리標(G clef)와 낮은音자리標(F clef), 그리고 가온音자리標(C clef)의 始作이었습니다.

[그림 3] 높은음자리표, 낮은음자리표, 가온음자리표 중 알토표
[그림 3] 높은音자리標, 낮은音자리標, 가온音자리標 中 알토표
西洋에서 5仙步가 막 定着하던 때인 15世紀에 이 땅에서도 세종대왕에 依해 井間譜(井間譜)라는, 音의 길이와 높이를 正確히 알 수 있는 樂譜가 完成됐습니다.

西洋의 樂譜가 1000年에 가까운 歷史 속에서 發展한 것이라면 우리 民族은 世宗大王 當代에 우리의 글과 함께 音樂을 正確한 길이와 높이로 記譜할 수 있게 된 것입니다. 井間譜는 한 줄을 32個의 井(우물 鄭)으로 나누고 칸마다 音높이와 音의 길이를 標示해 나타낸 東洋에서 가장 오래된 定量(定量), 音의 길이를 알 수 있는 樂譜입니다.

[그림 4] ‘유초신지곡’ 의 정간보
[그림 4] ‘柳初新之曲’ 의 井間譜
現代의 西洋音樂에서는 一般的인 樂器 演奏 以外에도 演奏者의 몸을 두드리거나 物件을 집어던진다거나, 動物들을 데려와 소리내기 等 새로운 方法을 音樂에 使用하는 作曲家들도 登場합니다. 傳統的인 5仙步 樂譜로는 그런 作品을 表現하기가 不可能하기에 그림과 圖形, 그래프 等 다양한 要素를 使用한 樂譜가 나타나기도 했습니다. 이처럼 樂譜는 作曲家 自身의 특별한 意圖와 思想까지 담겨진 눈으로 볼 수 있는 音樂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림 5] 조지 크럼 ‘미크로코스모스’ 악보
[그림 5] 조지 크럼 ‘미크로코스모스’ 樂譜
[그림 6] 존 케이지 ‘트리오’
[그림 6] 존 케이지 ‘트리오’

 
김선향 선화藝高 敎師
#樂譜 #쇼팽 #音樂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