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共同體마을 現場을 가다 4]스코틀랜드 `핀드魂 마을`|東亞日報

[共同體마을 現場을 가다 4]스코틀랜드 '핀드魂 마을'

  • 入力 2002年 7月 21日 17時 53分


《英國 北쪽 끝 모레이만(灣)에 있는 핀드魂(Findhorn) 마을. 스코틀랜드의 여느 시골 마을처럼 아늑한 風景이다. 茂盛한 나무들과 잘 造成된 庭園, 그리고 잘 가꿔진 農場을 보면 이곳이 不過 40年 前 풀 한 포기 자라지 못하는 不毛地였다는 紹介에 疑心이 갈 程度다. 案內를 맡은 크레베 카타리나(35·女)가 마을을 紹介한다. 8年 前 이 共同體에 合流해 只今은 共同體를 運營하는 敎育프로그램을 擔當하고 있다. 이 마을이 만들어진 것은 40年 前인 1962年. 그해 11月 피터, 에일린 캐디 夫婦, 이들의 子女 크리스토퍼, 조너선, 데이비드와 도로시 매클린 等 여섯 사람이 索莫한 이곳 모래밭에 定着한 것이 핀드魂 共同體의 始作이다. 이들은 매서운 偏西風이 끊임없이 불어대는 荒野를 일구기 始作했다.》

“奇跡이라고밖에 할 수 없는 일이 벌어졌어요. 瘠薄한 모래밭에서 最高의 質을 자랑하는 菜蔬들이 生産된 것입니다.”

"일하는 것이 곧 學習" 핀드魂 共同體에서 農場일을 맡고 있는 諸人 위버(45) - 핀드魂=김성규記者

카타리나氏는 不毛地에서 커다란 洋배추가 奇跡처럼 자라자 구경꾼들이 모여들기 始作했다고 說明했다. “超自然的 存在와의 校監만이 해낼 수 있는 일”이었다는 게 마을 사람들의 說明이다.

當時의 작은 밭은 이제 4萬㎡의 大規模 農場으로 바뀌었다. 自然親和的인 生態共同體로 聖歌도 높아졌다. 이 때문에 每年 70餘個國에서 1萬餘名이 찾아온다고 한다.

핀드혼이 사람들을 끌어당기는 힘은 무엇일까. 點心 食事時間. 正午頃 사람들이 하나둘 모여 30餘名쯤 되자 飮食을 앞에 놓고 둘러서서 누가 먼저랄 것 없이 모두 손을 잡는다. 그리고 노래와 함께 祈禱에 들어간다. 3, 4分 程度의 길지 않은 意識이다.

祈禱를 마친 後 손을 푸는 方式도 따로 있다. 祈禱를 끝낸 사람이 옆 사람의 손을 꼭 쥐면 옆 사람은 自己 옆 사람의 손을 꼭 쥔다. 이렇게 ‘波濤타기’를 해서 마지막 사람까지 信號가 간 後에야 모두 함께 손을 푼다.

“調律(Tunning)이라는 意識입니다. 食事를 할 때나 일을 할 때나 춤을 출 때도 모두 손을 잡습니다. 손을 통해서 서로의 마음이 통하고 自然과의 調和를 느끼는 거지요.”

카타리나氏는 스스럼없이 손을 잡는 이 意識만으로도 勁健함에 북받친 나머지 눈물까지 흘리는 이들이 있다고 說明했다.

핀드혼은 特定宗敎와는 無關하다. 그러나 宗敎的 色彩로 가득 차 있다. 自然과 靈魂의 對話를 나누기 위한 冥想의 場所들이 널려 있는 것이 그 事例. 露天 聖所(Open Air Sanctuary)는 設立 初期 이 共同體를 이끌었던 피터 캐디를 기리기 위한 곳으로 默想의 場所로 쓰인다. 公園 聖所(The Park Sanctuary)는 피터 캐디의 婦人인 에일린이 自身의 靈的 經驗을 構成員들과 共有하던 곳이다.

또 自然 聖所(Nature Sanctuary)는 自然과의 對話의 집. 民턴 하우스(Minton House)는 基督敎와 힌두敎 佛敎 等 靈的 傳統을 包括하는 靈性 敎育長. 每日 아침저녁으로 敬虔의 時間이 있고 每週 水曜日 午前 9時에는 全體 冥想의 時間이 있다.

冥想 못지않게 强調되는 것이 勞動이다. 피터 캐디는 “自己 自身과 自身을 둘러싸고 있는 모든 것, 그리고 自身이 하고 있는 일을 사랑하라”고 가르쳤다. 住民들은 1週日에 35時間을 일해야 한다. 作業場別로 週當 2∼3時間 團合의 時間도 있다.

핀드魂 共同體에 처음 온 사람들은 農場에서 일하면서 自然을 깨닫기 始作한다. 農場은 共同體 構成員들에게 飮食物을 供給하는 곳일 뿐만 아니라 主要 學習 現場이다.

비닐하우스에서 만난 제인 위버(45·女)는 日曜日인데도 스스로 나와 雜草를 뽑고 있었다. 그는 “비닐하우스에서 시금치, 멜론, 호박, 배추, 후추, 콩 等 20餘가지의 作物을 有機農法으로 栽培한다”면서 당근 배추 等과 나란히 栽培되고 있는 金松花를 가리켰다. 金松花는 食用 菜蔬는 아니지만 비닐하우스 안의 空氣를 정화시켜 作物들을 健康하게 하는 데 效果가 있다고 했다. 害蟲은 죽이지 않고 兩쪽 門을 열어 바람에 날려보낸다. 至極한 生命尊重思想이다. 이들은 菜食主義者들로 共同食堂에서도 肉類는 鷄卵 外에 一切 내놓지 않는다.

그러나 勞動의 代價는 크지 않다. 카타리나氏는 한 달에 320파운드(藥 58萬원)를 받는다. 代身 食事는 無料로 提供된다.

핀드혼은 分期마다 열리는 任員會議에 依해 運營된다. 10名으로 構成된 任員會議는 모든 사람의 意見을 尊重하면서 意思를 決定한다. 任員會議 밑에는 行政委員會가 있으며 ‘調停者’들이 各 部門을 이끌어간다. 意思決定은 滿場一致가 原則이다.

핀드혼에서 現在 풀타임으로 일하고 있는 사람은 210名 안팎. 株 所得源은 共同體에서 運營하는 各種 敎育 프로그램이다. 自然과 人間이 하나임을 깨닫게 하는 靈的 프로그램부터 環境親和的 建築과 有機農法을 가르치는 프로그램, 英語와 冥想 프로그램 等 多樣하다. 지난 會計年度에 4144名이 이곳의 프로그램에 參與했다. 이로부터 얻은 收入은 100萬1000파운드. 共同體 全體 輸入의 71%를 차지한다.

그럼에도 不拘하고 핀드혼은 지난해 18萬6000파운드(藥 3億3800萬원)의 赤字를 냈다. 그러나 ‘生態的, 經濟的, 文化的으로 持續可能한 人間 定住地’로서의 꿈이 멀어진 것은 아니다. 世界 곳곳의 비슷한 共同體들과 共同事業을 意欲的으로 펼치면서 資金이 많이 所要되고 있는 탓이다. 生態共同體네트워크(GEN)의 前進基地로서 핀드혼의 位相이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獨特한 共同體 意識" 30餘名의 핀드魂 住民들이 共同 食堂에서 點心을 먹기 前 '튜닝'으로 부르는 調律 意識을 갖고 있다. - 핀드魂=김성규記者

▼핀드혼의 에코빌리지 프로젝트▼

에코빌리지(生態마을) 프로젝트는 핀드魂 共同體가 1980年代 初부터 意欲的으로 推進해 오고 있는 事業 가운데 하나다. 自然과의 共生을 生活 속에서 直接 實踐하자는 것으로 住居 空間부터 먹을거리, 에너지源 等을 모두 自然親和的인 것으로 바꾸는 作業이다. 에코빌리지 프로젝트의 基本 原則에 對해 리처드 마크 코츠 共同體 弘報팀長은 “自然이 주는 것 以上을 自然으로부터 가져다 쓰지 않는다”고 要約했다.

에코빌리지 프로젝트는 이러한 基本 原則 아래 다음 네 가지에 重點을 둔다. 첫째, 環境 親和的인 住居 建物을 세울 것. 둘째, 再使用 可能한 에너지 供給 體系를 갖출 것. 셋째, 地域 單位에서 有機 農産物 生産할 수 있는 與件을 造成할 것. 넷째, 文化的 多樣性과 構成員들의 總體的 健康을 志向하는 社會的 家族 共同體를 實現할 것.

코츠 팀長은 “이 프로젝트에 따라 共同體 內에 에코 團地를 指定하고 이곳에 27채의 에코 하우스(環境親和的 住居물)를 지었다”며 “앞으로 3∼4年 內에 40채를 追加로 지을 計劃”이라고 말했다. 에코 하우스 建立은 돈이 많이 들어 外部 사람들의 入住와 投資를 誘導하고 있다.에코 하우스는 여러 形態가 있지만 窓門을 많이 만들어 太陽熱을 十分 利用하면서도 지붕에 잔디를 깔아 保溫效果를 높이는 것처럼 에너지 效率을 極大化하는 것을 强調하고 있다.

에코 團地는 汚廢水를 處理하는 ‘리빙 머신’이라는 이름의 淨化裝置로 有名하다. 리빙 머신이 設置된 그린하우스에는 香氣를 뿜어내는 水生植物들이 가득 栽培되고 있어 下水處理場이 아니라 향기로운 溫室 같은 雰圍氣다. 汚廢水는 개구리밥科 같은 水生植物과 물벼룩 물달팽이와 같은 水生動物을 次例로 담아놓은 탱크를 通過하면서 自然 淨化된다. 只今은 그냥 下水溝에 흘려보내고 있지만 農業用水路 活用할 수 있을 만큼 水質이 괜찮다. 飮食物 쓰레기는 따로 모아 썩힌 뒤 農場의 거름으로 쓴다.

四時四철 부는 바람을 利用하는 無公害 風力發電所도 만들고 있다. 마을 邊두리에 75㎾의 電力 生産 能力이 있는 風力 發展 裝置가 세워져 있는데 이 裝置 하나가 마을 全體 電力 消費의 20%를 充當한다. 앞으로 두 基의 風力發電所를 追加로 設置할 計劃이다.

▼體驗 프로그램 參與하려면▼

핀드혼은 共同體 體驗을 위한 ‘體驗主幹’, ‘共同體 삶 探究’ 等 1週日짜리 다양한 短期 프로그램을 運營하고 있다. 共同體 一員이 되고자 하는 사람은 體驗主幹 參與를 始作으로 一連의 過程을 거쳐야 한다.

1974年부터 始作된 體驗週間 프로그램은 핀드魂 共同體 삶의 核心을 紹介하는 重要한 通過儀禮로 調律 意識, 團體 作業, 討論, 冥想, 춤, 自然 體驗 等 多彩로운 過程으로 이뤄져 있다. 農場이나 食堂 等에서 일하는 데도 比重을 두고 있다. 勞動을 통한 靈的 訓鍊이 强調되기 때문. 參加者는 英語로 어느 程度의 意思疏通이 可能해야 하며 1週日 동안의 滯留費用은 295파운드(藥 53萬원).

長期 滯留를 願한다면 ‘共同體에서 살기 프로그램’을 申請해야 한다. 費用은 석달 동안 1440파운드(藥 260萬원).

그러나 共同體의 完全한 一員이 되려면 이것을 마치고 1年 期間의 ‘共同體 一年 프로그램’을 더 履修해야 한다. 이때부터는 한 部署에 所屬돼 일을 하지만 報酬는 없고 年間 滯在費로 4000∼6000파운드의 費用을 내야 한다.

그 뒤 共同體에서 願하는 部署에 支援해 받아들여지면 財團으로부터 一定額의 月給을 받으며 살아갈 수 있다.

體驗主幹에서 ‘共同體에서 살기 프로그램’ 等 다음 過程으로 넘어가기 위해서는 每 段階 人事 擔當者의 同意가 必要하다.

핀드魂(英國 스코틀랜드)〓김성규記者 kimsk@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