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노지현의 뉴스룸]어느 公務員의 退任|東亞日報

[노지현의 뉴스룸]어느 公務員의 退任

  • 東亞日報
  • 入力 2017年 5月 18日 03時 00分


코멘트
노지현 사회부 기자
노지현 社會部 記者
25年 8個月 동안 서울市議會 公務員으로 일한 안준희 氏(57·女)는 最近 市議員과 事務處 先後輩들에게 ‘정든 서울市議會를 떠나며’란 e메일을 보냈다. 安 氏는 1991年 서울市 地方別停職 5級으로 公務員 生活을 始作했다. 1994年부터 서울市議會 消息紙를 發行했다. 1995年부터 各種 議政資料를 蒐集해 3∼8代 서울市議會 議政白書 發刊에 寄與했다. 서울市議會 홈페이지에는 安 氏가 모은 體系的인 記錄이 고스란히 올라와 있다. 硏究者나 有權者도 쉽게 情報를 찾아볼 수 있다.

安 氏는 어떻게 보면 유별난 公務員이었다. 2004年 出退勤길에 車를 몰고 다니며 서울 7個 自治區에서 不法 廣告物을 收去했다. 누가 시킨 적도 없었고 生色이 나는 일도 아니었다. 只今도 江南 地域 遊興街나 隣近 길거리에 不法 傳單이 뿌려지는 境遇가 많지만 當時에는 住宅街도 가리지 않고 뿌려졌다. 一部 洞네에서는 冶한 寫眞과 性賣買 文句가 적힌 名銜 크기의 傳單이 每日 밤 골목을 채웠다. 初中高生이 登校길에 쉽게 주워 볼 程度여서 副作用과 弊害가 極甚했다. 代理運轉 不法 懸垂幕부터 ‘人身賣買 아닌가’ 눈을 疑心케 하는 國際結婚 廣告 傳單까지 판을 쳤다.

安 氏는 3個月 넘게 거리와 골목을 돌아다니며 用達車 3臺에 나눠 실어야 할 分量인 1.5t의 傳單을 줍고 다녔다. 서울市에 對策을 促求하기도 했지만 눈에 띄는 變化는 없었다. ‘神奇한 公務員이 있다’며 言論社 몇 군데에서 報道하자 “市場이 알기라도 하면 어쩌냐”며 叱咤하는 幹部마저 있었다고 한다.

安 氏는 廣告物을 收去하는 데에서 멈추지 않았다. 그는 傳單을 一一이 分類해 ‘環境巡察見聞報告서’를 作成해서 時에 냈다. 當時 이 消息을 들은 이명박 서울市長의 反應은 여느 幹部들과는 달랐다. “女職員 하나도 저렇게 애쓰는데 局長들은 뭐했느냐.” 幹部들의 憂慮와는 달리 稱讚을 아끼지 않았다. 아예 市 豫算을 들여 安 氏가 收去한 淫亂 傳單과 不法 懸垂幕을 서울광장에서 展示하기도 했다. 淫亂 傳單人 만큼 展示會는 成人만 入場하도록 했지만 입所聞은 빨리 퍼졌고 自治區들도 그제야 團束에 神經을 쓰기 始作했다. 그 結果 이제 웬만한 洞네 골목에 낯 뜨거운 廣告物이 발길에 채는 境遇는 드물어졌다.

以後에도 그는 市民의 觀點에서 不便한 일이 있으면 꼭 自治區나 서울市에 異議를 提起하거나 아이디어를 提案했다. 自動車를 印度에 못 들어오게 하는 말뚝 模樣의 볼라드(bollard·圓筒形 障礙物)가 오히려 乳母車나 老人과 視覺障礙人의 步行을 不便하게 한다는 點에 注目한 사람도 그였다. 그는 問題되는 支店의 寫眞을 찍어 該當 區廳에 보내 意見을 接受시켰다.

그는 26年에 이르는 公職 生活의 所懷를 e메일 告別辭에서 表現했다. 自身이 服務한 職場에 對한 고마움이 主를 이루고 있지만 듣기에 不便한 대목도 적지 않다. 高位 公務員이라면 쓴소리로 받아들일 만한 文章도 있다. 떠나는 마당에 굳이 듣기 싫은 소리를 할 必要가 있느냐는 反應도 있긴 하다. 그러나 安 氏가 지난 26年間 어떻게 公職 生活을 했는지 아는 사람이라면 “그 사람답네”라는 反應이 主를 이룬다.

‘나 하나 나선다고 組織이 바뀌나, 世上이 바뀌나’ 싶은 생각을 많이 한다. 그러나 安 氏를 보면 自身의 맡은 바 所任을 다한다는 게 어떤 意味인지 돌이켜 보게 된다.

노지현 社會部 記者 isityou@donga.com
#公務員 #안준희 #李明博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