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汝矣島 인사이드]‘내 뜻대로’ 文在寅… 親盧 “非盧 反撥해도 脫黨은 못해”|동아일보

[汝矣島 인사이드]‘내 뜻대로’ 文在寅… 親盧 “非盧 反撥해도 脫黨은 못해”

  • 東亞日報
  • 入力 2015年 6月 25日 03時 00分


코멘트

文, 잇단 强攻 드라이브 왜?

“2月 代表에 就任한 뒤 한 番도 自身의 뜻을 접은 적이 없다. (反對派의) 反撥에 介意치 않고 ‘마이 웨이’ 하며 總選까지 치르겠다는 强力한 意志 아니겠느냐.”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代表가 汎親盧(親盧武鉉)系인 최재성 議員의 事務總長 任命을 强行하자 한 黨職者는 이렇게 評價했다. 文 代表는 24日 崔 議員 任命에 對한 非盧(非노무현) 陣營 反撥에 對해 “다 잘될 것”이라고 말했다. 當分間 正面 突破하겠다는 뜻을 내비친 것이다. 非盧 陣營의 反撥을 ‘茶盞 속의 颱風’으로 보기 때문이라는 分析이 나온다.

○ ‘마이 웨이’ 宣言한 親盧

文 代表는 2·8全黨大會 直後 첫 黨職 人選에서 非盧 陣營이 反對했던 親盧의 金炅俠 議員을 首席事務副總長으로 임명했다. 4·29 再·補闕選擧에서 慘敗한 뒤 ‘文 代表 責任論’이 불거졌지만 文 代表는 오히려 ‘革新委員會 出帆’으로 辭退論을 잠재웠다. 정작 親盧 陣營은 크게 介意치 않겠다는 態度다.

文 代表의 한 側近은 “이런 狀態로 當場 總選을 치른다면 100席도 얻기 어렵다”며 “結局 强한 革新과 人的 刷新이 總選 勝利로 가는 唯一한 길”이라고 말했다. 親盧가 中心이 돼 强力한 改革 드라이브를 걸어야 한다는 것이다.

文 代表 周邊에선 “公薦의 實務 作業을 指揮할 事務總長만은 非盧 陣營에 밀리면 안 된다”는 氣流가 强했다. 選擧를 指揮할 核心 當直인 事務總長職을 系派 싸움의 犧牲羊으로 삼을 수 없다는 理由에서다. 革新 드라이브를 통해 親盧와 非盧의 系派 構圖를 ‘革新 對 反革新’ 構圖로 反轉시키면 勝算이 있다는 觀測도 나온다. 特히 崔宰誠 新任 事務總長은 2010年 地方選擧 當時 市民陪審員制를 導入해 勝利로 이끌었고, 文 代表 就任 以後 ‘네트워크政黨 推進團長’을 맡았다. 總選 實務의 適任者라는 얘기다.

○ ‘뾰족한 수’ 없는 非盧


文 代表의 强攻이 이어지자 非盧 陣營에선 湖南圈을 中心으로 新黨을 만들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湖南 重鎭인 朴趾源 議員은 新黨 推進 勢力이 4個 程度라고 말하기도 했다.

하지만 親盧 人士들은 “創黨이 생각처럼 쉽지는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別途로 黨을 만들기 위한 資金과 人力 調達이 어렵기 때문이다. 國民的으로 共感할 만한 비전과 人物을 提示하지 못한 채 單純히 ‘文在寅, 親盧 反對’의 地域政黨을 만들면 成功할 수 없다는 憂慮도 있다. 政治權에선 “歷代로 黨을 만들 사람은 ‘3金(金)’ 程度만이 可能하다”는 俗說이 있다. 또 非盧 陣營을 代表해온 김한길 議員이 檢察 召喚을 앞두고 있다는 點도 非盧의 ‘戰鬪力’ 弱化 理由로 꼽힌다. 黨 關係者는 “金 前 代表가 예전처럼 親盧 陣營에 날을 세우기가 쉽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10月 再·補選을 除外하면 來年 總選까지 親盧와 非盧가 힘겨루기를 할 契機도 없다. 非盧의 한 重鎭 議員은 “文 代表에 對한 不滿은 많지만 이를 行動으로 옮길 만한 狀況이 아니다”라며 “當分間 지켜보는 것 外에는 별다른 方道가 없다”고 吐露했다.

한상준 記者 alwaysj@donga.com
#文在寅 #親盧 #非盧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