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小說]큰바람 불고 구름 일더니 <560>卷六.東트기 前|東亞日報 </560>

[小說]큰바람 불고 구름 일더니 <560>卷六.東트기 前

  • 入力 2005年 9月 12日 03時 09分


코멘트
그림 박순철
그림 박순철
韓信의 말에 氣가 막혀서인지 平原城을 지키던 齊나라 長壽 顓頊(田昱)은 한동안이나 대꾸를 못했다. 격한 感情을 못 이겨 거친 숨만 몰아쉬다가 이를 갈며 받았다.

“아무래도 우리 大王과 相國(相國)李 狡猾한 한王의 꾀에 넘어간 듯하구나. 하지만 어림없다. 나는 이 城을 너희에게 넘겨주라는 王命이 있기 前에는 決코 城門을 열어줄 수 없다!”

그리고는 곁에 있는 將卒들을 재촉해 싸울 채비를 갖추게 했다. 齊나라의 終聲(宗姓)다운 氣槪와 性品이었다.

顓頊의 재촉을 받은 齊나라 軍士들은 아직 잠들어있는 同僚들을 깨우고 城안 百姓들을 城壁위로 끌어내기 위해 서둘러 움직였다. 하지만 韓君(漢軍)은 그들에게 싸울 채비를 할 틈을 주지 않았다. 갑자기 同門과 西門쪽에서 搖亂한 喊聲이 일며 早參과 官營의 軍士들이 城壁을 기어올랐다.

韓信의 부름에 北門 쪽으로 쏠려있던 齊나라 軍士들은 急히 東西로 달려갔으나 이미 때는 늦어 있었다. 早參과 官營이 서로 다투듯 앞장서 城壁을 기어올라 비어 있다시피 한 平原誠意 同門과 序文을 한꺼번에 열어젖혔다. 그래도 齊나라 軍士들은 한동안 거칠게 맞섰으나 將帥들이 모두 죽거나 降伏하자 모두 창칼을 내던졌다.

“城門을 닫아걸어라. 아무도 性을 빠져 나가지 못하게 하라!” 平原性을 차지한 韓信은 그렇게 嚴命을 내려 性이 한군에게 떨어진 일이 바깥으로 傳해지지 못하게 했다. 그런 다음 性 안팎의 將卒들에게 가만히 命을 내렸다.

“여기서 밥을 지어먹고 한나절을 쉰 뒤에 閾下(歷下)로 간다. 밤낮을 가리지 않고 닫기를 배로 하여 平原性이 우리에게 떨어졌다는 所聞보다 우리가 먼저 役下에 當到하여야 한다. 그렇지 못하면 齊나라 長壽 傳해(田解)와 火無償(華無傷)李 이끈 20萬 大軍과 힘든 싸움을 치르게 될 것이다.”

이에 平原性에서 한나절을 쉰 한군은 저물 무렵 가만히 城을 나와 閾下로 달려갔다. 역성(歷城)은 祭需(濟水) 南쪽에 세워진 性으로, 齊나라로 보아서는 北쪽에서 내려오는 敵을 막는 두 番째의 防壁과도 같았다. 下水를 건넌 敵에게 平原性을 잃으면, 祭需를 낀 역성에 期待 다시 한番 敵을 막아볼 수가 있었기 때문이다.

그때 역성 안팎에는 아직도 齊나라의 20萬 軍士가 머물러 있었다. 城밖에 陣을 친 火無償이 10萬 軍士를 이끌었으며, 성안의 電解가 이끄는 郡民度 10萬을 일컬었다. 그러나 韓君(漢軍)이 오지 않으리란 消息 때문에 지키는 것은 시늉에 가까웠다.

때는 同志가 멀지 않은 겨울이라 밤이 긴데다, 韓信이 닫기를 재촉해 한나라 軍士들은 다음날 해들 무렵 하여서는 벌써 祭需 北쪽 나루에서 30里 쯤 되는 黃土 골짜기에 이를 수 있었다. 韓信은 거기서 다시 軍士를 멈추고 소리 所聞 없이 쉬게 한 뒤 밤이 어두워서야 움직이기 始作했다. 三更이 지나 祭需 가에 이른 한군은 江물이 굳게 얼어붙기를 기다려 동틀 무렵 祭需를 건넜다.

오래잖아 새벽 어스름 속에 저만치 역성이 보였다. 그 한쪽 벌판에 火無償이 이끈 齊나라群 眞彩가 아직도 깊은 새벽잠에 빠져 있었다. 暫時 軍士를 멈추게 하고 火無常의 眞彩를 살피던 韓信이 먼저 官營을 불러 말했다.

글 李文烈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