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輿論마당/유한태]美的 感覺 살린 南北單一旗 만들자|동아일보

[輿論마당/유한태]美的 感覺 살린 南北單一旗 만들자

  • 入力 2005年 8月 18日 03時 08分


코멘트
光復 60周年 記念 8·15民族大祝典 南北蹴球 競技가 太極旗의 그림자조차 없고 ‘大∼韓民國’의 喊聲도 숨죽인 채 韓半島 旗발만 물결치는 ‘볼거리’로 끝났다.

이番 行事는 南北韓 共同行事 때마다 使用하고 있는 이른바 ‘韓半島旗’에 對한 視覺的 文化的 自覺을 뒤늦게나마 불러일으켰다. 單純히 韓半島 地形을 根據로 흰色 바탕에 옅은 하늘色으로 表示한, 臨時 急造된 印象을 지우기 어렵기 때문이다. 色彩도 鮮明하고 印象이 强烈한 世界 大部分 나라들의 象徵 旗발 隊列에서 뒤처져, 디자인 文化的 觀點에서 南北韓의 正體性을 印象 깊게 심어주기엔 力不足이다. 南北을 包括한 韓民族의 美意識과 디자인 文化가 이 程度 水準밖에 안 되느냐는 式으로 國際社會에 비칠 憂慮가 多分하다. 韓半島 브랜드의 競爭力을 强化해 나가야 한다. 南北韓의 象徵이 單一化된 ‘콘텐츠 업그레이드’가 時急하다.

此際에 太極旗와 人共旗가 絶妙하게 調和되거나, 第3의 視覺的 알맹이를 담은 새로운 象徵에 對한 南北間의 論議와 合意가 切實하다고 하겠다.

南北間 和解와 同質性을 假想의 심벌로 視覺化함에 있어, 太極旗와 人共旗에 다 같이 敵·靑·白色의 3가지 色이 使用된 點은(태극기의 4卦 部分 검은色을 除外한다면) 다행스러운 일이다. 卽, 色彩心理學的으로도 太極旗와 人共旗는 形態的인 ‘合一’ ‘聯合’ ‘統一’을 이루기 좋은 基本條件을 애初부터 갖춘 셈이다. 南北統一에 對備한 심벌의 形態와 關聯해 形態 屬性과 色彩面積의 配分비(比) 等을 實驗해 온 筆者는 現行 南北 심벌의 第3形態로의 다양한 탈바꿈 可能性을 確認할 수 있었다.

國旗는 하나의 象徵, 卽 심벌이다. 무릇 심벌이란 形態와 色彩가 單純 明瞭해야 메시지 傳達 效率이 높아져 사람의 腦裏 속에 깊숙이 오래 刻印(刻印)되기 마련이다. 特히 國旗는 긴 眼目의 ‘記號’이기에 臨時로 急造될 對象이 아니다. 잘못된 심벌이나 記號는 그릇된 認識을 불러일으킬 可能性이 있다. 어느 集團이나 個人의 性格도 심벌이나 記號 속에 暗示돼 있다는 것이 形態心理學의 立場이다. 매스미디어의 未來를 豫言한 마셜 맥루한 氏는 “심벌은 메시지이며 同時에 마사지”라고도 表現했다.

設令 現在의 韓半島旗를 그대로 쓴다 해도 色彩나 韓半島 크기가 제멋대로이고 形態도 제各各인 모습을 그대로 放置해선 안 된다. 푸른色이 아주 짙거나 매우 흐린 境遇를 비롯해 때로는 濟州道가 빠진 境遇도 있다. 共同 심벌 하나 제대로 合意 調停하지 못하면서 어떻게 南北이 하나가 돼 世界 속의 韓半島를 認識시키는 길고도 險難한 旅程을 이어갈 수 있을 것인가. 眞正한 視角文化가 濃縮된 水準 높은 單一氣에 對한 合意는 南北統一의 始作이다.

어떤 두 가지 事物을 하나로 만들 때 大槪 두 가지 方法이 있다. 먼저 하나의 空間 속에 두 가지를 늘어놓는 單純配列法과 이 두 가지를 서로 融和시켜 第3의 모습으로 승화시키는 高次元的 接近法이 그것이다. 例를 들어 獅子와 虎狼이를 單純히 한 우리 속에 넣은 것과 이 둘이 融和된 ‘라이거’는 槪念上 ‘聯合’과 ‘統一’의 差異쯤 될 것이다. 現在의 ‘單一旗’는 ‘南北聯立機’나 ‘南北聯合機’이지 ‘南北統一機’는 아니라는 것이 내 생각이다.

몸이 靈魂을 비추는 거울이듯이 旗발은 精神을 나타내는 象徵物이다. 韓半島旗에 어떤 內容을 담을지를 되새겨봐야 할 때다. ‘氣(氣)’와 ‘얼’李 빠져 있는 無色無臭의 韓半島旗를 언제까지 空虛하게 흔들어댈 것인가. 或是라도 ‘구더기 무서워 醬 못 담근다’는 俗談처럼 論議 自體가 부담스럽거나 南北間 合意 導出이 險難할 것 같아 일부러 忌避하는 것이 아니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뒷골목의 粉食店조차도 이미지統合(CI) 作業을 하는 판에 國家 單位의 合意된 심벌이 없어서야 어찌 말이 되겠는가.

유한태 숙명여대 敎授 形態心理學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