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科學世上/이필중]盜聽, 法 아닌 技術로 막자|동아일보

[科學世上/이필중]盜聽, 法 아닌 技術로 막자

  • 入力 2005年 8月 13日 03時 00分


코멘트
論議를 始作하기에 앞서 盜聽과 監聽을 明確히 區分할 必要가 있다. 政府나 言論도 ‘不法 監聽’ 或은 ‘不法 盜監聽’이라는 말을 使用하는 境遇가 있는데 이는 틀린 表現이다. 不法的인 몰래 듣기는 盜聽이고, 合法的인 몰래 듣기는 監聽이다. 이 區分만 明確히 해도 不必要한 混亂이 많이 줄어들 것으로 본다.

携帶電話 道廳과 關聯해 ‘可能하다’ ‘不可能하다’는 論難이 많다. 最近 진대제 情報通信部 長官이 이와 關聯해 “理論的으로 可能하지만, 現實的으로는 아주 어렵다”는 旣存 立場을 反復했다고 하는데 이는 틀린 말이 아니다. 但只 그의 說明에 省略이 많아 誤解의 素地가 있을 뿐이다.

携帶電話 通話를 하게 되면 通貨 信號가 無線 區間과 有線 區間을 거치게 된다. 携帶電話 端末機∼基地局 사이는 無線 區間이며 基地局∼交換局∼基地局 사이는 有線 區間이다. 無線 區間에서 通貨 信號를 盜聽하는 것은 完全히 不可能한 일은 아니지만 經費도 많이 들고, 盜聽 對象者와 가까운 距離를 維持하고 方向性이 맞아야 하며, 들키지 않아야 하는 等 많은 制約이 있다. 事實上 不可能이라고 할 만큼 어려운 일이다. 한便 有線 區間에서는 通信使의 協助가 없는 限 道廳이 不可能하다고 생각한다.

여기서 問題가 되는 것은 道廳이다. 勿論 監聽까지 막아야 한다는 사람들도 있다. 監聽이 可能하면 道廳도 쉽게 할 수 있으므로 監聽까지 禁止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 같다. 또한 現在 監聽이 道廳으로 變換되는 것을 막는 裝置가 法的 制約 外에는 없는 狀況이다 보니 이처럼 憂慮하는 것이다.

하지만 問題가 있으면 解決해야지 回避하는 것은 옳지 않다. 合法的으로 行해지는 監聽은 必要한 일이며, 可能해야 한다. 私生活의 祕密도 重要하지만 꼭 必要한 境遇 프라이버시를 犧牲해서라도 公共의 利益을 守護해야 하는 것이다. 家宅 押收搜索도 私生活을 侵害하지만 公共의 利益을 위해 合法的 節次를 거쳐 하지 않는가.

筆者는 2003年 初 販賣價 挫折된 팬택&큐리텔의 祕話(秘話) 携帶電話를 開發하는 일에 參與했었다. 그 電話는 道廳이 거의 不可能한 것이었다. 비록 暗號化 復號化에 筆者의 硏究結果를 利用해 開發한 端末機였지만 筆者는 ‘監聽조차 不可能한 電話는 販賣돼서는 안 된다’고 생각한다.

只今까지 盜聽行爲는 法的으로 處罰하는 方式으로 막아 왔다. 그런데 技術的인 方法으로 道廳은 막되 監聽은 可能하도록 할 수 없을까? 筆者는 있다고 본다.

携帶電話件 有線電話件 端末機에서 端末機까지 全 過程을 暗號化하는 것은 盜聽을 막기 위한 아주 좋은 方法이다. 監聽을 하기 위해서는 그 通貨에 使用된 ‘暗號化 키’를 復舊할 수 있는 ‘키 復舊 시스템’을 만들어서 使用해야 한다.

筆者가 提示하는 代案은 키 復舊 情報를 여러 機關(假稱 키復舊機關)李 나눠 가지고 있도록 하는 것이다. 監聽이 可能하려면 키復舊機關들이 一定 部分 以上 同參해야 한다. 監聽의 公益的 必要性이 認定돼 法院이 令狀을 發給하면 分散돼 있던 키들을 모아 監聽하는 方式이다. 勿論 어디를 키復舊機關으로 指定해야 하는가는 國民的인 合意가 있어야 할 것이다.

이렇게 되면 한두 機關이 合法的인 令狀 없이 任意로 盜聽을 試圖하는 것은 不可能해진다. 道廳은 不可能에 가깝게 어렵지만 監聽은 쉬운 制度를 갖게 되는 것이다. 쉽게 道廳으로 바뀔 수 없는 監聽制度를 技術的으로 確保하는 길이다. 個別 機關에 엄청난 權限을 주고 善意와 道德性만 要求할 것이 아니라, 技術과 시스템을 통해 問題를 解決하자는 提案이다.

또한 이 境遇 監聽과 道廳을 분명하게 區別할 수 있게 되고, 더 以上 監聽을 罪惡視하지 않게 될 것으로 본다.

이필중 포항공대 敎授·韓國情報保護學會 名譽會長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