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포츠話題! 이사람]晉州 동명고 18年만醫優勝 하종화監督|東亞日報

[스포츠話題! 이사람]晉州 동명고 18年만醫優勝 하종화監督

  • 入力 2005年 8月 6日 03時 05分


코멘트
선수들과 믿음으로 똘똘 뭉쳐 우승을 이끌어낸 ‘순둥이 덕장’ 하종화 감독. “한때 ‘너무 순해 빠져서 선수들을 장악하지 못한다’는 얘기도 들었다”며 “그럴수록 묵묵히 내 스타일대로 밀고 나갔다”고 말했다. 이종승  기자
選手들과 믿음으로 똘똘 뭉쳐 優勝을 이끌어낸 ‘순둥이 덕장’ 하종화 監督. “한때 ‘너무 順해 빠져서 選手들을 掌握하지 못한다’는 얘기도 들었다”며 “그럴수록 默默히 내 스타일대로 밀고 나갔다”고 말했다. 이종승 記者
그는 順해 빠졌다. 나이 서른여섯. 딸 셋에 아들 하나. 愚直하고 內省的인 慶尙道 사나이. 契約職 職員. 年俸 3000萬 원. 그래도 그는 幸福하다. 왜? 어머니 품 같은 故鄕 慶南 진주시에서 가장 좋아하는 排球공과 마음껏 뒹굴 수 있으니까. 왜? 母校 後輩들의 排球 實力이 하루하루 쑥쑥 커 가니까.

하종화 晋州 동명고 監督. 그는 지난달 26日 한마디로 ‘구름 위’를 걸었다. 그가 이끌고 있는 동명고가 會長杯 大會에서 경북대師大附高를 3-0으로 누르고 頂上에 오른 것. 河 監督이 在學 時節이었던 1987年 윤종일(現在 現代自動車 職員)과 함께 全國大會 2冠王을 차지한 以來 18年 만의 全國大會 優勝이어서 그 感激은 더했다. 4日 때마침 서울에 올라온 河 監督을 만났다.

“아이들이 나를 믿고 따라와 줘서 고마울 뿐입니다. 내가 한 건 別로 없습니다. 選手 父母님들께 ‘나를 믿고 맡겨 달라’고 했는데 그 約束을 조금이나마 지킬 수 있어서 多幸이지요.”

河 監督은 2003年 1月 현대排球團 플레잉코치를 그만두고 母校에 赴任했다. 동명고는 1988年 河 監督이 卒業하자마자 解體됐다가 2000年 再創團한 뒤 ‘排球名門 再建’의 重責을 河 監督에게 맡긴 것.

“내려가 보니 選手들이 大部分 排球를 늦게 始作해서 基本技가 不足했습니다. 또한 經驗이 不足해 한瞬間에 무너져 버리고…. 基本技 練習부터 다시 始作했습니다.”

基本技가 잘 돼 있는 選手는 언젠가 꽃이 핀다. 現役 選手들 中 신진식 석진욱(以上 삼성화재) 장영기(현대캐피탈)가 河 監督이 꼽는 그 模範 事例. 이들은 ‘몸의 時計가 코트에 딱 맞춰져’ 있어 키는 크지 않지만 팀의 보배 같은 存在다.

“勿論 排球의 재미는 뭐니 뭐니 해도 스파이크할 때의 짜릿한 손맛과 가슴이 뻥 뚫리는 痛快함입니다. 國家代表 時節 신영철(現 LG火災 監督) 先輩가 ‘볼을 제 입에 딱 맞게 만들어서’ 올려 줬던 게 記憶에 새롭습니다.”

그는 같은 系列인 東明中學校 監督도 겸하고 있다. 그만큼 바쁘다. 요즘엔 올 卒業 豫定 選手들(6名)의 大學 進學을 위해 東奔西走하고 있다.

그의 座右銘은 ‘一旦 부딪쳐 보자’는 것. 해보지도 않고 주저앉는 사람이 가장 싫다. 즐겨 부르는 노래는 나훈아의 ‘茶집의 孤獨’과 정태춘의 ‘촛불’.

가장 힘든 것은 스카우트하는 것. “손목 발목이 사슴처럼 가늘어야 敏捷性 점프력 瞬發力이 뛰어나지요. ‘눈에 번쩍 띄는’ 選手가 애를 태울 땐 正말 가슴이 탑니다.”

담배 하루 3∼5개비. 酒量은 燒酒 2甁. 키 195cm. 배가 若干 나온 몸 0.102 t. 現役 때 그의 別名은 ‘코트의 神社’. 하지만 그 옛날 華麗했던 스타로서의 自尊心 같은 것은 이미 내버린 지 오래다.

김화성 스포츠專門記者 mars@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