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旅行地서 만난 三國遺事] ‘富者의 情’ 묻어나는 芬皇寺|東亞日報

[旅行地서 만난 三國遺事] ‘富者의 情’ 묻어나는 芬皇寺

  • 入力 2003年 10月 9日 16時 11分


코멘트
황룡사 터 여기저기를 한시간쯤 쉬엄쉬엄 거닐어 보자. 요즘 같은 가을 오후가 제격이다. 해가 지고 별이 뜰 때까지도 쉬 떠나지 못하는 은밀한 유혹에 빠질 것이다.

皇龍寺 터 여기저기를 한時間쯤 쉬엄쉬엄 거닐어 보자. 요즘 같은 가을 午後가 제格이다. 해가 지고 별이 뜰 때까지도 쉬 떠나지 못하는 隱密한 誘惑에 빠질 것이다.


우리는 芬皇寺에서 芬皇寺의 사람을 만난다. 먼저 만난 사람이 希明이라는 女子다.

新羅 景德王 때 살았다고 했을 뿐, 身分과 處地를 알려 주지 않는다. ‘빛을 바란다’는 뜻을 가진 이름조차도 三國遺事에 이 이야기를 싣자고 지은 假名이라 보는 이들도 있다.

다섯 살짜리 딸이 있었다. 멀쩡하던 아이는 갑자기 視力을 잃고 만이다.

이를 傳하는 記錄은 뜻밖에 簡單하다. ‘어미는 아이를 안고 芬皇寺 왼쪽 殿閣의 北쪽 壁에 그려진 천수대비 壁畫 앞으로 갔다. 노래를 지어 아이에게 企圖하게 하였더니 드디어 눈이 떠졌다’는 것이다.

天壽對比는 千 個의 눈과 千 個의 손을 가지고, 두루 世上을 살펴보면서 어려운 곳에 救援의 손길을 내민다는 觀音菩薩이다.

어미는 觀音菩薩像이 가진 千 個의 눈 가운데 單 하나가 탐날 뿐이다. 딸에게 부르게 한 노래 ‘千手大悲歌’ 가운데, ‘一千 個 손 一千 個 눈/하나를 놓아 하나를 덜어’ 달라고 哀願하는 대목이 나온다. 노래는 이어진다. ‘둘 없는 내라/한 個社 敵이 헐어 주시려는가.’

皇龍寺터 옆에서 發見된 塔의 몸돌에 새겨진 四天王像

壁畫에 敢히 손댈 수는 없지만 어미의 마음은 이미 제 손으로 觀音菩薩의 눈 하나를 떼 오기 直前이다. ‘慈悲라면 어디에 쓰려고 나를 外面하시냐’는 마지막 部分은 絶叫에 가깝다.

어미와 딸이 손잡고 피눈물 흘린 끝에 딸은 빛을 다시 찾았다. 그러나 그들은 世上의 빛만 얻지는 않았을 것 같다. 마음의 눈까지 얻어 돌아가는 母女의 그림자가 어른거린다.

천수천안對比上이 그려져 있었다는 ‘芬皇寺 왼쪽 殿閣’은 只今 남아 있지 않다. 그 자리쯤일까, 절의 스님들이 심어 놓은 野生花가 철마다 꽃을 피운다.

芬皇寺에서 한 사람만 더 만나자면 元曉의 아들 薛聰이다. 그는 무슨 일로 芬皇寺를 찾는 것일까?

僧侶의 身分인 元曉는 寡婦가 된 公主와 同寢해 아들을 낳았다. 그 다음부터 元曉의 行跡은 貴賤에 가림 없이 모든 이에게로 向한다. 그리하여 毒 짓는 甕器장이에다 甚至於 원숭이 무리들까지 南無阿彌陀佛을 외우게 했다고 一然은 三國遺事에서 極讚했다.

元曉는 一世를 風靡하였으나 波瀾萬丈한 歲月 속에 살다 갔다.

그런 生涯를 누구보다 잘 안 사람이 아들 薛聰이었다. 薛聰은 아버지가 죽자 遺骸를 잘게 부숴 얼굴 模樣 그대로 만들고 바로 이곳 芬皇寺에 모신다.

그런데 웬일인가. 아들이 禮佛을 드리러 오자 元曉의 얼굴床이 忽然 돌아보았다 하지 않는가. ‘只今도 바라보는 모습 그대로’라고 一然은 적었다.

아비는 아들의 무엇을 보고 싶었던 것일까?

天下를 號令했던 元曉였지만 世上에 홀로 남겨진 아들 앞에서는 平凡한 아버지로 돌아간 것은 아닐까. 薛聰에게는 破戒僧의 아들이라는 꼬리票가 내내 따라다녔을 것이다. 집을 떠난 아비의 얼굴 한番 보기도 어려웠을 것이다. 아비는 죽어서야 비로소 아들이 만들어 준 얼굴로 아들의 얼굴을 정답게 바라본 것인지 모른다.

只今 芬皇寺에는 元曉의 影幀이 모셔져 있다. 勿論 薛聰이 만들었다는 얼굴像은 언제 없어졌는지 消息을 알 길이 없다. 그렇다고 사무친 父子間의 情이야 사라졌겠는가.

글=高雲起 東國大硏究敎授 poetko@hanmail.net

寫眞=凉 陳 다큐멘터리 寫眞作家 tophoto@korea,com

▼周邊에 가볼만한 곳▼

慶州는 너무 잘 알려진 곳이기에 새삼 紹介하기가 번거롭다. 그러나 普通 慶州旅行이라 하면 모두들 잘 닦여진 곳만 가보기 때문에 歷史의 香氣를 더듬을 수 있는 機會를 發見하기란 쉽지 않다.

사람의 발길이 잘 머물지 않는 곳으로 芬皇寺와 皇龍寺 터가 于先 꼽히지만 旣往에 이런 코스를 擇한다면 佛國寺 가는 길 쪽으로 조금 옮겨 가 四天王寺 터와 亡德社 터를 한눈에 놓고 보는 곳에서 한 番 더 逍遙할 수 있다. 新羅 文武王 때 四天王寺를 지었으나, 이 때문에 唐나라의 ‘査察’을 받게 되자 부랴부랴 거짓으로 다른 절을 하나 더 짓게 되는데, 이렇게 使臣들을 속이기 위해 지었다는 절이 亡德社이다.

눈에 보이는 것 없이 터만 남은 곳이라 失望하겠지만, 거기에 맛을 들인 사람은 오히려 이런 데만 일부러 찾기도 한다. 特히 亡德社는 ‘祭亡妹歌’의 詩人 月明(月明)李 살았던 곳으로도 이름이 나 있다. 月明이 밤길에 피리를 불고 가노라면 달이 따라오다가 서기도 하여 그런 이름이 붙여졌다고 하는데 亡德社에서 四天王寺로 가는 길이 바로 그 길이라 한다.

요즘에는 新羅 文化를 선양하고자 努力하는 사람들에 依해 ‘月命題’라는 조촐한 잔치가 벌어지는 곳이기도 하다. 그래도 눈에 좀 보이는 遺物을 보고 싶다면 여기서 멀리 떨어져 있지 않은 慶州 博物館으로 발걸음을 돌려도 좋겠다. 1960年代에 發掘된 芬皇寺 佛像들이 慶州 博物館 野外에 옮겨져 展示되어 있다. 햇볕 좋은 가을날에는 그저 걸어서 散步하듯이 다닐 만한 距離이다. 途中에 皇龍寺 터의 한 쪽에서 進行 中인 新羅時代 慶州 市街地 發掘 現場도 둘러볼 만한 곳이다. 子女들과 함께라면 이만큼 좋은 學習帳도 없다.

博物館으로 가는 길에는 雁鴨池와 瞻星臺도 들릴 수 있다. 본디 世子宮으로 쓰였을 것으로 보이는 雁鴨池는 꽤 깔끔하게 丹粧되어 있고, 몇 가지 資料도 갖춰져 괜찮은 學習帳이 된다. 瞻星臺에서 바로 앞으로 이어지는 半月城 안까지 散策하는 길도 훌륭하다.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