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giving칼럼]開城사람 최순성의 奉仕精神|東亞日報

[giving칼럼]開城사람 최순성의 奉仕精神

  • 入力 2001年 1月 17日 11時 14分


18世紀 끝 무렵 開城에 한 富者가 살았다. 그의 이름 최순성(崔舜星). 當時 開城에는 人蔘장사로 財産을 모은 富者들이 많이 살았는데 최순성은 이들과 달랐다.

그는 財産의 一部를 떼어 別途로 貯蓄하였다. 이를테면 救恤을 위한 財團 基金이었다. 이를 急迫한 사람들에게 주는 돈이라는 뜻으로 級인전(急人錢)이라 불렀다.

그는 開城 周邊 사람들로 먹거리가 없어서 굶은 사람이나 가난해서 父母 初喪을 제대로 치르지 못하는 사람을 알아내 穀食을 보내 주기도 하고 葬禮費를 대주기도 하였다. 그는 알고 지내거나 모르는 사람을 가리지 않았으며 身分이 賤하거나 貴한 이를 區分하지 않고 이런 口號를 한결같이 벌였다.

그의 벗이 젊은 나이로 죽자 벗의 어린 아들을 데려가 길러주고, 長成하자 살 밑천을 마련해 주었다.

또 임규라는 사람이 가난한 속에 學問에 熱中하였다. 그는 임규에게 달마다 樣式을 보내 激勵하였다. 임규는 어느 날 손님이 찾아왔는데도 糧食이 떨어져 몇 끼 밥을 지어 주지 못하였다. 두 夫婦는 悲觀하여 "우리들이 어찌 삶을 貪내 崔君에게 累를 끼치랴"라고 恨歎하고는 門을 닫아걸고 죽기로 作定하였다.

며칠 뒤에 최순성이 이를 알아차리고 담을 넘어 들어가 "君子는 예전부터 貧窮하게 살아간 이가 많소. 그대가 굶어죽는다면 이 巡省이 무슨 面目으로 世上을 살겠소?"라고 說得하였다. 임규는 이에 感動하여 門을 열어주었고 최순성은 粥을 끓여 待接하였다.

그는 의로운 사람들과 親近하게 지내면서 인색한 富者를 미워하였다. 開城出身의 獨立鬪士요 歷史學者인 金澤榮은 "그의 손길로 수많은 사람들이 살아났으나 그는 德을 베풀었다고 자랑한 적이 없었다"고 記錄하면서 "天下의 長子"라고 기렸다.

開城 사람들은 누구를 가릴 것 없이 최순성이 財産을 흩어줄 줄 아는 사람이라고 기렸다. 그가 죽자 惠澤을 받았던 사람들이 몰려들어 父母의 初喪을 치르듯 슬퍼하였다 한다.

그의 아들 최진관度 아버지의 뜻을 받들어 級人展을 마련해 두었다. 그는 凶年이 들거나 春窮期에는 朝夕으로 높은 山에 올라가 마을을 바라보았다. 밥짓는 煙氣가 나지 않는 집에 몰래 돈과 穀食을 보내 주었다. 그의 집에는 서울의 沒落한 兩班出身 名士들이 몰려들어 食客이 되었다.

그의 아들이 進士라는 職銜을 얻었으나 當時 벼슬을 사는 風潮를 外面하고 이웃 돕는 일에 平生을 바쳤다.

金澤榮은 "個性에는 장사를 해서 돈을 많이 번 富者들이 많았으나 인색하기 짝이 없었다"고 말하면서 "두 父子(父子)야말로 損上益下(損上益下)의 龜鑑"이라고 記錄하였다. 損上益下는 넉넉함을 덜어 가난한 이를 돕는 精神을 말한다.

이이화(歷史學者)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