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알파고의 아버지’ 허사비스, 어린시절 체스 英才|東亞日報

‘알파고의 아버지’ 허사비스, 어린시절 체스 英才

  • 東亞日報
  • 入力 2016年 3月 11日 03時 00分


코멘트

[人工知能, 怯없는 進化]

이세돌 9段과의 對局에서 連勝을 거둔 人工知能(AI) ‘알파고’의 胎生에 對한 關心도 커지고 있다. 特히 구글이 美國 會社임에도 不拘하고 對局場의 알파고 側 자리에는 英國 國旗가 걸려 알파고의 停滯에 궁금症이 더해졌다.

英國 國旗가 걸린 理由는 알파고를 開發한 AI 스타트업 ‘딥마인드 테크놀로지’가 英國에서 創立됐기 때문이다. 實際로 對局場에서는 英國式 英語 發音이 자주 들린다. ‘알파고의 아버지’라고 불리는 데미스 허사비스 共同創業者 兼 最高經營者(CEO)도 1976年 英國에서 태어났다.

어린 時節 체스 英才로 注目받았던 그는 17歲 때 시뮬레이션 게임 ‘테마파크’를 開發해 數百萬 個를 販賣하는 成果를 거뒀다. 英國 케임브리지對 컴퓨터工學 學士 課程을 마친 뒤에는 頭腦 게임界의 올림픽인 ‘마인드 스포츠 올림피아드’에서 다섯 次例 世界 챔피언 자리에 올랐다. 2009年 英國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UCL)에서 認知神經科學 博士學位를 取得하고 2010年 딥마인드 테크놀로지를 設立했다. 以後 美國 매사추세츠工大(MIT)와 하버드대에서 博士 後 硏究員 過程을 밟으며 알파고 開發의 礎石을 다졌다.

허사비스 CEO가 알파고의 ‘아버지’라면 알파고 開發을 總括한 데이비드 실버 博士는 알파고의 ‘어머니’다. 허사비스 CEO와 親舊 사이인 실버 博士는 케임브리지對 컴퓨터工學科를 首席으로 卒業하고 2004年부터 캐나다 앨버타臺에서 博士課程을 始作했다.

이 時期 그는 바둑에 强化學習(딥러닝)을 適用하는 硏究에 빠져 들었다. 이 過程에서 알파고의 ‘兄’ 格인 바둑 프로그램 ‘모고(MoGo)’가 誕生했다. 모고는 가로세로 9×9 바둑의 高手다. 2008年에는 韓國의 김명완 9段과 9點 접바둑, 卽 某高架 먼저 바둑돌 9個를 놓고 두는 對局에서 勝利를 거두기도 했다.

구글은 2014年 1月 4億 파운드(藥 6830億 원)에 딥마인드 테크놀로지를 引受한 뒤 구글 딥마인드로 社名을 바꿨다. 以後 알파고 開發은 本軌道에 올랐다. 실버 博士는 모고 開發 經驗을 되살려 바둑에서 돌을 놓을 때마다 境遇의 數를 모두 따지기보다는 이길 確率이 높은 境遇의 數만 골라내는 戰略을 세웠다.

첫 番째 戰略은 온라인 바둑 서버 ‘KGS Go’에서 아마 5單級 使用者들의 技保 16萬 件을 보고 이들이 바둑돌을 놓는 位置(着點) 3000萬 件을 土臺로 强化學習을 해 高手들이 둘 만한 곳을 豫測한 것이다. 여기에 ‘셀프 對局’을 통해 더 나은 戰略을 찾았다. 勝率이 가장 높을 만한 곳을 찾는 戰略을 더하면서 ‘人類(人類) 最高手’를 꺾는 實力을 保有하게 됐다.

알파고의 實體를 궁금해하는 사람이 많지만 實體를 보긴 어렵다. 알파고는 1202個의 中央處理裝置(CPU)를 竝列로 連結한 分散型 컴퓨터이기 때문이다. 이마저도 어느 한 곳에 있지 않고 여기저기에 흩어진 채 인터넷으로 連結돼 있는 ‘클라우드 컴퓨팅’으로 作動한다. 다만 이 德分에 알파고는 인터넷이 連結된 곳이라면 全 世界 어디에서라도 大國을 치를 수 있다.

한便 제프 딘 구글 시니어 펠로는 9日 서울 포시즌스호텔에서 연 記者懇談會에서 “다음 目標는 (온라인 戰略시뮬레이션 게임인) 스타크래프트에 挑戰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李在雄 동아사이언스 記者 ilju2@donga.com
#人工知能 #바둑 #李世乭 #알파고 #ai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