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英 海軍, 노딜 브렉시트 憂慮 漁業 海域에 軍艦 待機|東亞日報

英 海軍, 노딜 브렉시트 憂慮 漁業 海域에 軍艦 待機

  • 뉴시스
  • 入力 2020年 12月 13日 16時 07分


코멘트

31日 轉換期 終了 앞두고 13日에도 協商
英國 "EU 提案 受容 不可"…武力 示威

英國이 이른바 ‘노딜 브렉시트’에 對備해 漁業水域을 지킬 目的으로 自國의 軍艦들을 대기시켰다.

12日(現地時間) 로이터通信, 가디언, 스카이뉴스 等에 따르면 英國 國防部는 유럽聯合(EU)과 아무런 合意 없이 轉換期가 끝날 境遇를 想定해 4隻의 軍艦을 대기시켰다.

協商이 決裂되면 英國 海域을 지키기 위해 實力 行使를 할 수 있다는 警告의 메시지다.

가디언은 4隻의 哨戒艦 中 2隻은 바다로 直接 出動하고 나머지 2隻은 EU 漁船이 英國의 排他的經濟水域(EEZ)에 進入하면 出動할 方針이라고 傳했다.

EU와 英國은 13日을 協商 時限으로 定하고 줄다리기 協商을 이어가고 있다.

英國 國防部도 이 같은 海軍의 움직임을 是認하면서, 轉換期 終了에 對備해서 英國 戰艦들이 待機하기로 한 것은 이미 EU와의 合意 事項에 들어있는 것이라고 밝혔다고 英國 言論들은 傳했다.

英國은 올해 12月31日 公式的으로 EU를 脫退한다. 다만 12月31日까지 轉換期를 設定하고 EU와 旣存 關係를 維持하며 貿易協定 等 未來關係를 協商하고 있다.

轉換期 終了가 다가오고 있지만 英國과 EU 協商代表들은 漁業權, 紛爭 管理 體系, 公正競爭 保障 等 3가지 爭點을 놓고 合意點을 찾지 못하고 있다.

英國과 EU는 前날에 이어 13日에도 協商을 繼續 하기로 했다.

英國 政府의 한 消息通은 “兩側이 지난밤 밤샘 協商을 벌였지만, EU가 受容 不可能한 要求를 하면서 膠着 狀態에 빠졌다”며 “(보리스 존슨) 總理의 메시지는 確實하다. 모든 合意는 공정해야 하며 英國이 3週 後 主權 國家가 될 것이라는 根本的인 立場을 尊重해야 한다”고 말했다.

앞서 존슨 總理는 지난 11日 “(EU와의 協商이) 決裂될 可能性이 매우 높아 英國과 EU가 來年부터 世界貿易機構(WTO) 規定에 따라 交易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EU는 製品, 고용권 및 事業 補助金에 對해 自體 基準을 設定하는 同時에 英國이 EU 市場에 關稅없이 接近하는 不公正한 利益을 얻는 것을 防止하기로 했다.

漁業權은 또 다른 主要 不一致 領域이다. 英國은 EU를 脫退하니 自國 海域에서 英國의 漁船이 더 많은 領域을 確保해야 한다고 主張하고 있다. 自身의 水域에서 일어나는 일은 主權 國家가 統制해야 한다는 論理다.

反面 EU는 旣存의 쿼터를 維持해야 한다며 英國의 主張을 받아들이지 않고 있다.

존슨 總理와 우르즐라 폰데어라이엔 EU 執行委員長은 그 동안 繼續해서 이 問題를 論議해왔지만 지난 9日 會談을 마친 뒤 “兩側 主張의 엄청난 間隙을 確認했다”며 所得없이 會談을 끝냈다.

兩側은 또 EU 最高法院인 유럽司法裁判所(ECJ()가 向後 英國과 EU 間 貿易紛爭을 맡을지에 對해서도 異見을 드러내고 있다.

BBC는 英國과 EU 間 貿易協商이 如前히 不確實하다면서 兩側이 13日 以後에도 協商을 이어갈 可能性은 남아 있다고 傳했다.

?[서울=뉴시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