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國內 CEO 42%의 來年度 經營 話頭 ‘緊縮’|東亞日報

國內 CEO 42%의 來年度 經營 話頭 ‘緊縮’

  • Array
  • 入力 2011年 12月 16日 03時 00分


코멘트

經總, CEO 252名 對象 2012年 經濟展望 調査

우리나라 企業의 最高經營者(CEO)들은 來年度 經營 方向을 ‘緊縮’으로 設定한 것으로 調査됐다. CEO들은 美國과 유럽의 財政危機가 實物經濟로 번지고 있는 最近 狀況이 2008年 글로벌 金融危機 때만큼 深刻한 것으로 判斷해 原價 節減과 現金 確保에 힘을 기울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2012年 經營 方向은 緊縮


15日 韓國經營者總協會가 71個 大企業 等 會員社 및 主要 企業 252곳의 CEO를 對象으로 벌인 ‘2012年 CEO 經濟展望 調査’에 따르면 來年度 經營基調를 ‘緊縮’으로 設定했다는 應答者가 42.1%로 지난해 같은 調査 때의 17.4%보다 크게 늘었다. 反面 ‘擴大經營’을 計劃하고 있다는 應答은 27.1%에 그쳐 지난해의 52.1%에 비해 折半 가까이 減少했다.

緊縮經營을 計劃하는 企業들은 全社的 原價 節減(38.9%)과 流動性 確保(23.2%)에 焦點을 맞추고 있다고 答했으며, 投資 縮小(13.7%)나 人力部門 經營合理化(9.5%)는 避하려는 雰圍氣가 剛했다.

最近 美國 유럽의 財政危機가 우리 經濟와 經營環境에 미친 波及力(向後 影響 包含)李 어느 程度냐는 質問에 CEO들은 2008年 글로벌 金融危機 때의 95.4% 水準이라고 答했다. 特히 輸出과 海外事業의 比重이 큰 大企業 CEO들의 體感指數는 97.7%로, 中小企業 CEO의 94.6%에 비해 多少 높은 것으로 調査됐다.

○ 大企業 “金利 4% 以上은 부담스러워”


CEO들은 우리나라의 來年 經濟成長率을 3.4% 水準으로 豫測했다. 이는 韓國銀行(3.7%), 삼성경제연구소(3.6%), 經濟協力開發機構(OECD)(3.8%) 等 國內外 主要 機關의 經濟成長率 展望보다도 낮은 水準이다.

來年 經營에 가장 큰 걸림돌로는 24.8%가 ‘先進國 景氣鈍化’라고 答했다. 또 製品의 價格競爭力과 直結되는 ‘原資材 價格不安’(22.8%), ‘換率不安’(16.4%)에 對한 憂慮도 컸다.

任期 後半에 접어든 現 政府가 追求해야 할 最優先 政策課題로 CEO의 32.9%는 物價 等 庶民經濟 安定을 擇했으며 ‘新成長動力 發掘 等 成長드라이브 强化’라는 答辯이 26.5%로 뒤를 이었다.

現 政府의 政策 中 가장 成功한 것으로는 折半을 훌쩍 넘는 63.8%가 主要 交易 對象國과 連이어 自由貿易協定(FTA)을 締結한 ‘貿易政策’이라고 應答했다.

輸出企業을 對象으로 最小限의 輸出 採算性을 確保할 수 있는 損益分岐點 換率(怨-달러) 水準을 묻는 設問에 CEO들은 平均 1082원이라고 答했다. 이는 지난해 調査 때의 1092원보다 10원假量 낮아진 것으로 換率變動에 對한 企業들의 適應力이 높아진 結果로 보인다.

反面 現 時點에서 適正한 金利水準을 묻는 質問에는 現 基準金利인 3.25%보다도 0.25%포인트 낮은 3.0% 水準이라는 應答이 43.9%로 가장 많았다. 特히 大企業 CEO 中 適正金利가 4.0% 以上이라는 應答者는 單 한 名도 없었다.

전성철 記者 dawn@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