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홍지윤 料理쌤의 오늘 뭐 먹지?]무더위 날리고 追憶 부르는… 氷水野 팥빙수野∼|東亞日報

[홍지윤 料理쌤의 오늘 뭐 먹지?]무더위 날리고 追憶 부르는… 氷水野 팥빙수野∼

  • 東亞日報
  • 入力 2018年 7月 26日 03時 00分


코멘트

홍지윤 쿠킹클래스 쉬포나드(chiffonade) 운영자
홍지윤 쿠킹클래스 쉬捕拿드(chiffonade) 運營者
난生처음 校服을 입고 中學校에 入學한 그해 여름이었다. 放學을 앞두고 날이 더워지니 바람도 안 通하는 合成纖維 校服을 입고, 언덕배기에 올라앉은 學校 建物을 오르내리는 일이 苦役이었다. 철없이 뛰놀다가 中學生이 됐는데 지키라는 規則과 하지 말라는 規律이 왜 그리 많은지. 게다가 몸을 조여 오는 校服까지 입고 있으니 스트레스가 이만저만이 아니었다. 學校를 마치면 自動으로 單짝親舊와 學校 앞 粉食집으로 向했다. 땀을 뻘뻘 흘리며 매운 卽席떡볶이 한 냄비를 해치우고 나면 누가 먼저랄 것도 없이 “아줌마! 氷水 하나요”를 외쳤다.

둘이 먹어도 넉넉할 만큼 큼지막한 琉璃그릇. 이가 시리도록 서걱서걱 씹히는 얼음을 갈아 얹고. 달달하게 삶은 팥과 부드러운 緣由를 끼얹은 뒤, 미숫가루를 소복하게 뿌리고 알록달록한 젤리도 올리고. 畫龍點睛의 칵테일 체리로 裝飾한 氷水 한 그릇.

아마도 一生 통틀어 氷水를 第一 많이 그리고 第一 맛있게 먹었던 때인 듯하다. 敎室에 에어컨은 고사하고 扇風機도 없던 時節. 한여름 下校길에 사먹는 氷水는 꿀맛일 수밖에. 수레바퀴 돌리듯 핸들을 움직여 얼음을 갈아 氷質은 거칠었고 人工色素로 빛깔을 낸 젤리 같은 粗惡한 토핑을 人心 좋게 잔뜩 얹어주었다. 熱帶과일이 비싼 時節이라 病問安할 때 人氣를 끌던 과일칵테일 桶조림이나 緣由가 올라가면 高級氷水로 取扱하던 時節이다.

亦是 氷水의 核心은 팥. 팥빙수는 時代를 超越한 스테디셀러다. 요즘은 얼음과 팥, 한두 가지 토핑으로 內容物을 單純化하고 그 代身 內容物의 質을 高級化하는 데 置重한다. 緣由와 牛乳를 미리 混合해 얼음을 製造하고 입 속에서 사라지듯 곱게 갈아내는 눈꽃얼음이 大勢다. 팥 알갱이가 適當히 씹혀 食感이 살아있으면서도 부드럽고 糖度가 지나치게 높지 않은 便을 選好한다. 거기에 若干의 堅果類나 쫀득한 찹쌀떡 한두 個가 토핑의 全部다.

傳統氷水와는 아예 다른 趣向을 狙擊한 새로운 氷水度 續續 登場하고 있다. 망고나 멜론 等 熱帶과일을 主材料로 갖은 토핑을 골라서 얹을 수 있는 氷水, 西洋式 디저트 메뉴를 應用한 캐러멜 氷水와 프랑스式 밤 절임 ‘마롱글라세’ 맛의 몽블랑 氷水, 津한 초콜릿 飮料를 얼려 特化시킨 초콜릿 氷水, 綠茶나 各種 과일시럽을 利用한 日本式 氷水까지. 골라먹는 재미가 크다.

올여름은 校服 입고 氷水 먹던 그 옛날과 比較도 안 될 찜통더위다. 왠지 이런 더위는 祖上의 智慧, 以熱治熱로 다스리긴 어려울 듯하다. 氷水라도 먹으며 內臟까지 뜨거워진 熱을 내려줘야겠다.

홍지윤 쿠킹클래스 쉬捕拿드(chiffonade) 運營者 chiffonade@naver.com

○ 밀탑:
서울 강남구 압구정동 429(현대백화점 鴨鷗亭店), 밀크 팥빙수(寫眞) 9000원
○ 東氷庫: 서울 용산구 이촌동 301-162, 氷水 7000원
○ 17陶氏: 서울 마포구 東郊로29길 38, 초콜릿 氷水 1萬5000원
#오늘 뭐 먹지 #팥빙수 #여름飮食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