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人文社會]진시황릉 시안 병마용갱은 ‘泰山의 티끌’|東亞日報

[人文社會]진시황릉 시안 병마용갱은 ‘泰山의 티끌’

  • Array
  • 入力 2012年 4月 21日 03時 00分


코멘트

◇帝國의 빛과 그늘/長點民 지음·김영수 便역/572쪽·3萬 원·歷史醫아침

중국 진시황 능원의 일부인 1호 병마용갱. 병마용은 원래 채색돼 있었지만 발굴 이후 점차 색을 잃었다. 미끄러지지 않기 위해 신발에 돌기를 만든 것까지 섬세하게 표현됐다. 진시황릉 자체의 발굴은 1950년대 이후 산시 성 지방정부가 여러 차례 제안했지만 중앙정부가 허락하지 않았다. 역사의아침 제공
中國 秦始皇 陵園의 一部인 1號 병마용갱. 병마용은 元來 彩色돼 있었지만 發掘 以後 漸次 色을 잃었다. 미끄러지지 않기 위해 神
발에 突起를 만든 것까지 섬세하게 表現됐다. 진시황릉 自體의 發掘은 1950年代 以後 산시 省 地方政府가 여러 次例 提案했지만 中央政府가 許諾하지 않았다. 歷史醫아침 提供
表情까지 섬세하게 表現된 凜凜한 晉나라 軍人과 實物크기의 말 等 8000個가 넘는 흙 人形이 出土된 中國 시안(西安)의 병마용갱. 이곳은 진시황릉을 代表하는 遺物로 全 世界에 알려져 있다. 그러나 병마용갱은 秦始皇 陵園(陵園)에 딸린 200餘 倍章羹(陪葬坑)과 倍葬墓(陪葬墓) 中의 한 곳일 뿐이다. 秦始皇(紀元前 259年∼紀元前 210年)李 묻혀 있는 封墳人 진시황릉은 現在까지 發掘되지도 않았다.

秦始皇이 登極한 13歲 때부터 38年間 80萬 名이 動員된 巨大한 陵園은 어떻게 造成했을까. 산시(陝西) 性 孤高硏究所 硏究員인 著者가 秦始皇 陵園 遺跡을 40年 가까이 發掘하고 硏究해온 自身의 經驗을 바탕으로 陵園 곳곳을 꼼꼼하게 案內한다.

紀元前 221年 中國 春秋전국時代를 마감하고 統一國家를 이룬 秦始皇은 自身의 무덤에 많은 功을 들였다. 秦始皇이 묻힌 封墳(造成 當時 115m, 現在 約 55m)을 둘러싼 外姓(바깥 性)만을 基準으로 해도 面積이 蹴球場 978個 크기인 211萬 m²(藥 70萬 坪)에 이른다. 1974年 發掘된 병마용갱 1號는 外城의 바깥에 있다. 只今도 많은 遺物과 遺跡이 外城의 바깥에서 發見되고 있어 陵園의 正確한 規模는 確定되지 않았다.

秦始皇 陵園에서는 병마용갱, 洞馬車갱, 마구갱, 純章羹 等이 發見됐다. 洞馬車坑에서는 2000餘 年 前의 눈부신 工藝技術을 確認할 수 있는 東馬車가 나왔다. 只今까지 發掘된 말 馬車 武器 樂器 貨幣 等은 當時의 歷史와 文化, 科學技術을 斟酌하는 重要한 史料가 된다. 土器와 甓돌에는 秦나라 當時의 다양한 文字도 새겨져 있다.

封墳 아래 地下宮의 實體는 如前히 베일에 가려져 있다. 진시황릉을 發掘한다는 것은 이 地下宮을 世上에 보인다는 뜻이다. 베일에 가려진 地下宮에는 秦始皇의 屍身을 담은 덧널이 安置돼 있을 것으로 推定된다. 司馬遷은 ‘詐欺’에서 이 地下宮의 모습을 詳細히 描寫했다. “우물 셋 깊이만큼 波高 덧널까지 이르도록 棟을 부었다… 水銀으로 河川과 바다를 만들어 機械에 依해 쉬지 않고 흐르게 했다. 天障에는 天文圖를, 바닥에는 地圖를 만들었다. 人魚 기름으로 醋를 만들었는데, 오랫동안 꺼지지 않게 計算했다.” 實際로 1982年 調査에서 진시황릉의 封墳토는 中央으로 갈수록 水銀 含量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著者는 秦始皇의 아버지를 秦나라 王으로 擁立한 呂不韋와 秦始皇의 信任을 받은 理事가 丞相의 職位를 맡아 이 巨大한 工事를 主導한 것으로 본다. 또 진시황릉이 只今의 자리에 位置한 理由에 對해서는 近處에 金과 玉이 많이 나 秦始皇이 이를 탐했기 때문이라는 旣存의 主張을 反駁하며 “當時 宣祖들부터 西쪽에 묻는 禮에 따라 秦始皇의 무덤도 그 以前 王들 무덤의 東쪽에 順序대로 자리限 것”이라고 說明한다.

진시황릉을 發掘해야 한다는 主張에 對해 著者는 2200餘 年 前 書翰의 個國 皇帝 乳房 때부터 진시황릉 保護 意識이 있었다는 것을 紹介하며 地下宮의 構造부터 明確히 알아낸 뒤 愼重에 愼重을 期限 다음에 發掘을 試圖하자고 提案한다. 中國 國務院度 技術과 高級 發掘 人力이 不足하다는 理由로 發掘을 許可하지 않고 있다.

著者가 쓴 6卷의 冊을 綜合해 엮은 때문인지 비슷하거나 같은 句節, 같은 寫眞이 重複되는 點이 거슬리지만 試案에 가지 않고도 진시황릉 구석구석을 돌아본 듯 뿌듯한 느낌을 준다.

허진석 記者 jameshuh@donga.com
#冊의 香氣 #人文社會 #秦始皇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