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祕密의 숲 ‘곶자왈’ 稀罕하네|동아일보

祕密의 숲 ‘곶자왈’ 稀罕하네

  • Array
  • 入力 2011年 2月 1日 07時 00分


■ 濟州道 冬柏동산 ‘線흘 곶자왈’

변산一葉 等 稀貴植物 ‘수두룩’
아아용암地帶, 땅에 구멍 송송

땅에서 불어 나오는 바람으로 사시사철 일정한 온도가 유지되는 제주 곶자왈. 이 때문에 겨울에는 따뜻하고 여름에는 시원해 여행객들의 산책로로 제격이다.
땅에서 불어 나오는 바람으로 四時四철 일정한 溫度가 維持되는 濟州 곶자왈. 이 때문에 겨울에는 따뜻하고 여름에는 시원해 旅行客들의 散策路로 제格이다.
濟州에는 四時四철 푸른 숲이 있다. 濟州 사람들은 이 곳을 ‘곶자왈’이라 부른다. 곶자왈은 ‘덩굴과 巖石이 뒤섞인 어수선한 숲’을 가리키는 祭主方言이다. 巨木이 우거진데다 곳곳에 火山이 만들어 낸 숨골과 風穴이 있다. 때문에 겨울엔 따뜻하고 여름엔 시원해 散策路로 제格이다.

● 生態의 報告

濟州 國際空港에서 濟州市 조천읍 선흘리 方面으로 車를 타고 30分 假量 내달리면 冬柏동산에 到着한다. 冬柏동산에는 오래된 冬柏나무가 많았다고 한다. 現在는 冬柏나무는 勿論 구실잣밤나무와 鐘가시나무, 厚朴나무, 비쭈기 나무 等 暖帶性 水腫이 多數 自生하고 있다.나무 밑에는 새우蘭草와 報春花, 四철蘭 等도 자라고 그 周圍에는 白瑞香, 변산一葉 等의 稀貴植物度 自生한다.

갖가지 稀貴 植物을 살펴보면서 冬柏동산에 들어서자 ‘線흘 곶자왈’이라는 牌말이 보인다. 濟州에는 네 곳의 곳자왈이 있다. 한경의 안덕 곶자왈 地帶, 애월 곶자왈 地帶, 口座의 城山 곶자왈 地帶, 그리고 이날 찾은 去文오름에서 始作되는 조천 冬柏동산 線흘 곶자왈 地帶다.

곶자왈 곳곳에 위치한 바람이 불어 나오는 구멍 ‘풍혈(風穴)’.
곶자왈 곳곳에 位置한 바람이 불어 나오는 구멍 ‘風穴(風穴)’.

● 겨울엔 ‘따뜻’, 여름엔 ‘始原’

線흘 곶자왈에 들어서자 길 兩 옆으로 들어선 巨木과 그 周圍에 自生하는 다양한 植物들이 눈에 들어온다. 特異한 것은 큰 나무로 因해 햇살이 가려졌는데도 겨울의 酷寒이 全혀 느껴지지 않는다는 點이다. 團地 가을 氣候를 聯想케 하는 서늘한 기운만 와 닿을 뿐이다. 그 理由는 곶자왈의 獨特한 生成 背景에 있다.

곶자왈은 거칠고 破片으로 덮힌 一名 ‘아아용암’ 地帶다. 곳곳에 이러한 特性 때문에 생겨난 風穴(風穴)李 多數 存在한다. 風穴은 바람이 불어오는 땅의 구멍을 말한다. 이곳에서 여름에는 시원하고 겨울에는 따뜻한 바람이 불어온다.

● ‘不毛의 땅’에서 ‘神祕의 땅’으로

곶자왈은 거친 鎔巖으로 이루어져 옛부터 農土로 利用되지 못했다. 結局 ‘不毛의 땅’으로 버려졌다. 火山이 噴出할 때 粘性이 높은 아아용암이 크고 작은 바위 덩어리로 쪼개져 凹凸 地形을 만들었기 때문에 放牧地로도 쓰지 못했다. 實際로 散策路에는 구멍이 뚫린 거친 玄武巖들이 많다. 걷다 보면 이 玄武巖을 밟아 鎔巖 이름처럼 ‘아아’ 하는 悲鳴 소리를 지를 듯 하다.

아직 잘 알려지지 않은 純粹 自然 生態系 ‘곶자왈’. 濕地까지 이어지는 2時間 往復의 線흘 곶자왈 散策路를 完走하면 只今껏 經驗해 보지 못한 새로운 世上에 다녀온 듯한 追憶을 얻어갈 수 있을 것이다.

濟州ㅣ글·寫眞 김명근 記者 dionys@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