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怪物 哲學者’ 지제크의 ‘日常에 對한 毒舌的 答辯’ 話題|東亞日報

‘怪物 哲學者’ 지제크의 ‘日常에 對한 毒舌的 答辯’ 話題

  • 入力 2008年 8月 18日 02時 55分


“정작 幸福이 닥치면 幸福하지 않았다

人生의 가장 큰 敎訓은 ‘人生은 無意味’”

‘今世紀 最高의 哲學者’ ‘怪物 같은 哲學者’ ‘哲學界의 最高 流行’.

世界 哲學界에서 注目받는 學者 中 한 사람인 슬로베니아 出身의 哲學者 슬라보예 지제크(59·寫眞)에게 붙는 修飾語다.

獨逸 觀念論과 精神分析, 마르크스주의를 統合한 思想을 土臺로 哲學 社會學 心理學 等 여러 分野를 自由自在로 넘나드는 게 지제크 思惟의 特徵. 映畫를 비롯한 大衆文化에 對한 批評과 現實 政治 參與도 活潑하게 하고 있다.

韓國에서도 2000年代 들어 ‘매트릭스로 哲學하기’ ‘죽은 神을 위하여’ ‘지젝이 만난 레닌’ 等 最近까지 그의 著書 30餘 卷이 飜譯 出刊되면서 ‘지제크 신드롬’이 이어지고 있다.

學問 間 境界를 넘나들며 ‘毒舌’ ‘難解함’을 特徵으로 하는 지제크가 英國 日刊紙 가디언의 日常 等에 對한 質問에 明快한 答辯을 내놨다.

―언제 가장 幸福했나.

“幸福한 瞬間을 찾을 때 몇 番 幸福을 느꼈지만 幸福이 정작 닥치면 幸福하지 않았다.”

―가장 두려워하는 것은 무엇인가.

“죽은 뒤에 다시 精神이 드는 것이다. 그래서 나는 (죽은 뒤) 곧바로 火葬되기를 願한다.”

―가장 最初의 記憶은 무엇인가.

“어머니가 벌거벗고 있는 모습. 正말 싫었다.”

―生存 人物 가운데 가장 尊敬하는 사람은 누구인가. 理由는….

“張 베르트랑 아리스티드 前 아이티 大統領이다. 그는 絶望스러운 狀況에서도 國民을 위해 무엇을 할 수 있는지 보여준 人物이다.”

―當身의 特性 가운데 가장 유감스러운 것은….

“다른 사람의 困窮에 對해 無關心하다는 點.”

―가장 당황스러웠던 瞬間은….

“사랑을 나누기 前 女性 앞에 裸體로 서 있었던 일이다.”

―當身이 산 物件 가운데 가장 비싼 것은 무엇인가.

“獨逸에서 새롭게 나온 헤겔 全集이다.”

―가장 所重한 物件은….

“바로 앞의 對答을 보라.”

―무엇이 當身을 憂鬱하게 만드나.

“어리석은 사람이 幸福해지는 것을 보는 일.”

―사랑이란 무엇인가.

“커다란 不運이고, 怪物 같은 寄生蟲이며, 작은 기쁨들을 모두 破壞하는 危急 狀況의 永遠한 持續이다.”

―當身이 人生에서 가장 사랑하는 對象은….

“哲學.”

―좋아하는 냄새는….

“썩은 나무처럼 漸漸 腐敗해 가는 自然의 냄새.”

―가장 輕蔑하는 사람들은 어떤 이들인가.

“拷問하는 사람들을 돕는 醫師들.”

―當身이 해본 일 가운데 最惡의 일은 무엇인가.

“가르치는 일. 나는 學生들을 싫어한다. 그들은 다른 사람들과 마찬가지로 大部分 어리석고 따분하다.”

―當身의 過去를 編輯할 수 있다면 무엇을 바꾸고 싶나.

“태어난 事實. 나는 ‘가장 큰 幸運은 태어나지 않는 것’이라고 한 소포클레스의 말에 同意한다.”

―過去로 돌아갈 수 있다면 어디로 가고 싶나.

“19世紀 初 獨逸로 가서 헤겔의 講義를 듣고 싶다.”

―人生이 當身에게 가르쳐준 가장 큰 敎訓은 무엇인가.

“‘人生은 아무것도 가르쳐주지 못하는 意味 없는 것’이라는 事實을 가르쳐준 것이다.”

금동근 記者 gold@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