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멀리 가는 冊의 香氣]‘다름’ 認定하고 나면 서로 닮아가지|동아일보

[멀리 가는 冊의 香氣]‘다름’ 認定하고 나면 서로 닮아가지

  • 入力 2007年 7月 28日 03時 02分


코멘트
From : 하지현 精神科 專門醫 ‘當身의 속마음’ 著者

To: 사는 게 지겹고 짜증만 난다는 結婚 10年次 J

며칠 前 네 電話를 받고 반가웠다. 大學 다닐 때 밤새워 술 마시며 붙어 다니다 結婚 뒤 往來가 뜸해졌지. 술 한盞 마시면서 밀린 宿題 하듯 사는 얘기를 하는데 뭔가 겉도는 것 같더라. 우리 둘 다 漸漸 불콰해지기 始作했지만 너와 나 사이의 說明할 수 없는 緊張感은 줄어들지 않았지. 結局 내가 먼저 “두 사람 사이 괜찮니?” 하고 直擊彈을 날릴 수밖에 없었다.

한 템포 뜸을 들이고 燒酒 한 盞 넘기자 다섯 살이 되어서야 말을 하기 始作한 아이같이 말門이 트여 瀑布水처럼 쏟아지더구나. 아이 키우기의 버거움, 無限競爭 속에서 實力보다 네트워크로 評價받아야 하는 不公平에 對한 얘기 等. 하지만 너희 夫婦 사이 問題가 核心이더군. 서로를 理解할 수 없고, 이제는 抛棄한 지 오래되어 지쳤다는 그런 얘기 말이야. 率直히 네가 電話할 때부터 感을 잡고 있었다. 몇 年 동안 連絡 없던 親舊의 電話는 이런 類의 隱密한 相談 申請이라는 걸 經驗으로 알고 있었거든. 하지만 感情이 激해진 네게 뾰족한 對答을 그 자리에서는 할 수 없었어. 남은 時間 默默히 들으며 술盞을 부딪치는 수밖에.

그래서 이렇게 네게 便紙를 쓴다. 프로이트는 成人期의 發達課題는 ‘일과 사랑’이라고 했지. 社會的 正體性을 確固히 하기 위해 自身의 職業을 確固히 하고 그 자리에서 인정받는 것이 ‘일’의 問題야. 사랑은 家族이 아닌 他人과 한지붕 아래서 家族만큼 親密하게 가까운 關係를 만들어 가고, 더 나아가 아이를 낳고 ‘父母 되기’라는 어려운 미션을 遂行하는 것이지. 이 便紙에 한 番의 풀이를 보여 주는 것으로 모든 것이 解決될 것이라 생각하지 않아. 結局 네 問題는 네가 풀어야 할 일이거든. 그래도 參考書가 도움은 되겠지.

먼저 勸할 冊은 김혜남의 ‘어른으로 산다는 것’(갤리온)이야. 어른으로 살아가는 게 두려운 많은 피터팬을 위한 冊이지. 結婚한 理由는 외롭기 때문 아니니? 부대낌의 不便함이 싫으면 혼자 사는 길밖에 없지. 그런 삶의 외로움은 닉 婚費의 ‘어바웃 어 보이’에 잘 그려져 있어. 自身만의 섬에서 살면서 땅으로 나오지 않으려는 사람의 原初的 외로움 말이야. 너 그날 아내를 理解할 수 없다고 하소연하더라. 아내도 마찬가지일 거야. 그런데 말야. 理解한다는 말은 事實은 네 잣대로 評價하려는 것 아니야? 서로 다를 뿐이지, 누가 옳고 그른 것은 아니거든. 그건 작은 差異 같아 보이지만 決定的인 것이야.

正말 좋아한다면 박현욱의 小說 ‘아내가 結婚했다’(문이당)에서와 같은 狀況조차도 받아들일 수 있어야 하지 않을까? 支配 欲求와 一心同體의 幻想을 抛棄하고, 各自의 存在感을 尊重할 때 숨筒이 트일 수 있을 거야. 差異를 받아들이는 瞬間 神奇하게 漸次 둘은 닮아 간다는 아이로니컬한 일이 일어나지.

漫畫가 이우일의 ‘옥수수 빵파랑’(마음산책)과 그의 夫人 선현경이 그린 ‘선현경의 家族觀察機’(뜨인돌)를 함께 읽어 봐. 집 안의 같은 物件을 바라보는 두 사람의 妙한 共通點과 開城 어린 다른 視線을 느낄 수 있을 거야. 夫婦란 그런 것이 아닐까? 서로의 다름을 認定하고 相對라는 거울에 反射된 내 未熟함을 키우고 角진 部分을 다듬어 가는 것.

중이 제 머리 못 깎는다고 修身齊家도 못하는 주제에 말이 길었다. 다음에 만나면 내 하소연 좀 들어다오. 나도 苦悶이 많다.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