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特派員 칼럼/金起炫]러시아 映畫가 되살아난 祕訣은|동아일보

[特派員 칼럼/金起炫]러시아 映畫가 되살아난 祕訣은

  • 入力 2006年 3月 23日 03時 26分


코멘트
모스크바 西南部 모스필름 가(街)에는 러시아 映畫의 ‘메카’ 모스필름映畫社가 자리하고 있다. 바로 이 모스필름이 지난 20餘 年 동안 겪은 榮辱의 歲月은 그 自體가 한 篇의 映畫 같다.

모스필름이 해마다 數十 篇의 映畫를 製作해 社會主義圈에 普及하던 蘇聯 時節, 製作費는 國家豫算에서 나왔고 興行에 神經 쓸 必要도 없었다. 映畫人들에게는 그야말로 ‘太平聖代’였다.

하지만 1991年 옛 蘇聯의 崩壞는 ‘溫室 속의 花草’ 같던 러시아 映畫를 ‘曠野’로 내몰았다. 政府의 支援은 사라졌고 開放의 餘波로 外國産 映畫가 밀려들어왔다. 映畫館마다 全 世界에서 몰려온 철 지난 싸구려 映畫가 휩쓸었다.

모스필름은 한 해에 겨우 1, 2篇의 映畫를 製作하는 것으로 命脈을 이어나갔다. 數十萬 坪의 스튜디오는 廢家처럼 變했고 職員들은 映畫를 버리고 택시 運轉士로, 褓따리장수로 各自 살길을 찾아 나섰다. 20世紀의 兩大 巨匠인 세르게이 豫이젠詩테人과 안드레이 타르콥스키를 낳은 燦爛한 러시아 映畫의 傳統이 끊어지려는 瞬間이었다.

多幸히 2000年부터 ‘오일 머니’가 들어오면서 餘裕가 생긴 러시아 政府가 ‘瀕死 狀態’에 빠진 映畫에 支援을 하기 始作했다. 하지만 러시아 映畫를 살린 것은 政府 支援이 아니었다.

2000年 니키타 미할코프 監督은 프랑스와 이탈리아 資本을 끌어들이고 英國 女俳優 줄리아 吳몬드를 캐스팅해서 世界 市場을 노리고 ‘러브 오브 시베리아’(原題는 시베리아의 理髮師)를 製作했다. 周邊에서 無謀한 試圖라는 놀림을 받았다. 國內 市場에서도 外國 映畫가 판을 치고 있는 狀況에 海外 進出이라니….

이 映畫는 海外 市場에서는 ‘豫想대로’ 慘敗를 면치 못했다. 그러나 代身 러시아 觀客을 오랜만에 映畫館으로 불러 모았다. 帝政 時代의 華麗한 宮廷과 廣闊한 시베리아를 背景으로 한 사랑 이야기는 러시아 映畫도 할리우드 映畫처럼 規模가 크고 재미있을 수 있다는 事實을 보여 줬다.

映畫人들은 勇氣를 얻었다. 마침 放送社와 大企業들이 映畫에 投資하기 始作했다. 1億5000萬 人口의 러시아 市場을 노린 外國 資本도 들어왔다. 모스필름度 스튜디오에 쌓인 먼지를 털어내고 다시 活氣를 찾았다.

지난해 러시아 映畫界는 잇달아 ‘大舶’을 터뜨렸다. 500萬 觀客을 動員한 ‘나이트워치’에 이어 ‘터키의 감비트(長期에서 先手를 잡기 위해 自己의 卒이나 말을 희생시키는 것)’, ‘9中隊’, 나이트워치의 續篇인 ‘데이워치’ 等이 興行 記錄을 次例로 갈아 치웠다. 할리우드의 블록버스터는 러시아에서 힘을 쓰지 못했다.

素材도 다양했다. 善과 惡의 衝突을 다룬 나이트워치 시리즈는 할리우드 못잖은 액션과 想像力, 特殊效果를 보여 준 SF映畫였다. ‘터키의…’는 帝國主義 時節 터키와의 戰爭을 背景으로 한 諜報 推理物, 9中隊는 아프가니스탄戰爭을 背景으로 한 戰爭物이다.

유럽 市場에서만 150億 원의 興行收入을 올린 나이트워치 시리즈는 美國과 韓國 等 全 世界로 配給됐다. 3篇은 아예 英語로 製作하고 一部는 美國에서 撮影할 計劃이다. 러시아 映畫가 世界 映畫界의 邊方에서 一躍 中心部로 進入하고 있는 것이다.

러시아 映畫가 맞이한 第2의 全盛期는 蘇聯 時節의 그것과는 다르다. 國家의 保護와 支援이 아니라 스스로의 손으로 이뤄 낸 것이기 때문이다. 枯死 直前의 狀況에서도 政府에 스크린쿼터 같은 손쉬운 保護膜을 要求하지 않고 外國 映畫와 힘겹게 競爭하면서 創意力과 挑戰 精神으로 奮鬪한 德이다. 러시아 映畫의 平均製作費는 約 6億 원. 史上 最大의 代作이라는 나이트워치度 韓國 映畫의 篇當 平均 製作費(46億 원)에도 못 미치는 不過 42億 원이 들었을 뿐이다.

金起炫 모스크바 特派員 kimkihy@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