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廢食用油로 나는 飛行機가 大勢라는데…친환경인가 그린워싱인가[딥다이브]|동아일보

廢食用油로 나는 飛行機가 大勢라는데…친환경인가 그린워싱인가[딥다이브]

  • 東亞日報
  • 入力 2024年 5月 22日 10時 00分


코멘트
世界 最初로 디젤엔진을 發明한 獨逸 엔지니어 루돌프 디젤. 그가 1900年 파리博覽會에서 디젤엔진을 試演하며 쓴 燃料는 땅콩기름이었습니다. 120年 넘게 지난 只今, 이제 콩기름은 飛行機까지 띄웁니다. 持續可能 航空油(Sustainable Aviation Fuel), 略字로 SAF 이야기입니다.

航空 市場에도 ‘炭素中立’ 바람이 불면서 廢食用油로 만든 SAF에 對한 關心이 全 世界的으로 높아지는데요. SAF는 흔히 ‘親環境 飛行을 위한 唯一한 手段’이라고 評價받죠. 同時에 ‘航空産業의 大規模 그린워싱(親環境 僞裝術)’이란 懷疑論도 共存합니다. 오늘은 航空과 精油業界의 떠오르는 이슈, 持續可能 航空油(SAF) 市場을 들여다보겠습니다.

항공 연료는 전 세계 탄소 배출량의 2.5%를 차지한다. 어떻게 이걸 줄일 수 있을까. 게티이미지
航空 燃料는 全 世界 炭素 排出量의 2.5%를 차지한다. 어떻게 이걸 줄일 수 있을까. 게티이미지
*이 記事는 21日 發行한 딥다이브 뉴스레터의 온라인 記事 버전입니다. ‘읽다 보면 빠져드는 經濟뉴스’ 딥다이브를 뉴스레터로 購讀하세요.
https://www.donga.com/news/Newsletter

炭素排出 없이 날 수 있을까
지난해 11月 28日 持續可能 航空油(SAF)를 넣은 보잉 787 드림라이너가 大西洋 橫斷(런던에서 뉴욕까지) 飛行에 成功합니다. 世界 最初의 100% SAF를 利用한 長距離 飛行이었죠. 英國 航空社 버진애틀랜틱은 “脫炭消化를 向한 航空 로드맵의 歷史的 瞬間”이라며 飛行 成功을 自祝했는데요. SAF는 正確히 무엇일까요.

持續可能 航空油(SAF)란 말 그대로 化石燃料가 아닌 持續可能한 供給原料로 生産되는 航空燃料입니다. 廢食用油와 動植物性 기름, 옥수수와 海藻類, 廢木材가 主原料가 되고요. 飮食物 쓰레기나 廢水處理 슬러지 같은 쓰레기도 材料가 됩니다.

SAF라고 해서 炭素를 排出하지 않는 건 아닙니다. 하지만 콩이나 옥수수 같은 植物은 成長할 때 二酸化炭素를 吸收하잖아요. 따라서 全體 壽命週期로 따지면 當然히 只今 쓰는 제트유(化石燃料 航空油)와 比較하면 炭素排出量이 훨씬 적습니다. 炭素排出量이 最大 80%까지 줄어든다 고 하죠.

영국 항공사 버진애틀랜틱은 지난해 100% SAF 장거리 비행에 성공했다. 출처 버진애틀랜틱
英國 航空社 버진애틀랜틱은 지난해 100% SAF 長距離 飛行에 成功했다. 出處 버진애틀랜틱
그동안 航空業界는 ‘炭素中立 暗黑地帶’나 다름없었습니다. 炭素排出量은 엄청난데(항공연료가 全 世界 二酸化炭素 排出量의 2.5%를 차지) 제트유 없이 飛行할 代案이 마땅찮았거든요. 크게 ①大型 배터리를 裝着한 電氣 航空機와 ②水素를 動力源으로 하는 水素 航空機 가 代案으로 擧論되긴 했는데요. 電氣 航空機는 배터리가 너무 무거워서 長距離 飛行은 事實上 不可能하고요. 水素 航空機는 水素 生産과 保管, 充電 等 인프라 構築까지 何歲月이라 短期間 現實化가 쉽지 않습니다.

그래서 航空은 親環境이 될 수가 없다, 故로 飛行機를 덜 타는 것만이 方法이라는 이야기까지 나왔습니다. 그런데 그게 말처럼 쉽나요. 오히려 2050年까지 全 世界 年間 航空機 乘客 數는 只今의 2倍 水準인 80億名으로 불어날 거라는데요. 어떻게 해야 飛行을 멈추지 않으면서도 炭素中立으로 나아갈까에 對한 苦悶 끝에 찾은 答이 SAF입니다.

SAF의 가장 큰 長點은 追加的인 인프라 投資가 거의 必要 없다 는 거죠. 航空機 엔진도, 燃料供給 인프라도 旣存 것 그대로 쓰면 됩니다. 제트유를 쓰는 모든 航空機에 다 SAF를 넣을 수 있습니다. 제트유와 SAF를 섞어서 써도 되고요.

只今은 市場 占有率 0.1%이지만
持續可能 航空油(SAF)는 아직 全體 航空燃料 消費量의 0.1%만 차지 합니다. 많은 長點(貯炭所, 互換性)에도 좀처럼 消費가 확 늘지 못하는 가장 큰 理由는 亦是 價格이죠. 제트유와 比較하면 生産單價가 3~5倍 에 達합니다.

主要國은 一齊히 持續可能 航空油(SAF) 늘리기 위한 政策을 쏟아내고 있습니다. 가장 화끈한 건 亦是 美國이죠. 美國은 2030年까지 SAF를 年間 30億 갤런, 2050年엔 350億 갤런을 生産한다는 目標 를 세웠습니다. 지난해 美國 內 消費量(2450萬 갤런)과 比較하면 7年 뒤 120倍, 27年 뒤 1400倍로 늘린다는 엄청난 計劃인데요. 이를 通해 2050年엔 美國 內 SAF 生産量이 自國의 航空燃料 需要를 100% 充足하게 만들 거란 目標입니다.

이러한 目標 達成을 위해 美國 政府는 關聯 補助金을 팍팍 支給 中인데요. 2022年 制定된 인플레이션減縮法(IRA)에 따라, 지난해부터 SAF 1갤런 生産當 1.25~1.75달러의 稅額控除 를 提供합니다. SAF 生態系의 主導權을 確保하기 위해 먼저 치고 나오는 거죠.

미국 에너지부 보고서에 실린 항공유 급유 사진.
美國 에너지部 報告書에 실린 航空油 給油 寫眞.
유럽聯合(EU)은 당근 代身 채찍 戰略을 씁니다. 來年부터 EU 空港에서 離陸하는 모든 航空機는 반드시 SAF를 一定 比率 以上 使用하도록 義務化 해버렸죠. 2025年엔 燃料의 2%를 SAF로 채워야 하지만, 이 比率은 漸漸 높아져 2050年엔 70%가 됩니다(2025년 2%→2030年 6%→2035年 20%→2050年 70%). 이 比率을 지키지 않는 航空社엔 相當한 水準의 罰金(제트유 價格의 2倍)李 賦課될 겁니다.

EU를 따라서 다른 主要國에서도 SAF 混合을 義務化하는 政策을 續續 發表 中인데요. 日本과 英國은 2030年까지 燃料의 10%를 SAF로 채우도록 義務化했고요. 最近 싱가포르도 2026年부터 1%를 義務比率로 한다고 發表했습니다.

이런 措置가 消費者가 負擔할 航空料金에 어떤 影響을 미칠지는 率直히 좀 걱정스러운데요. SAF 産業 側面에선 相當한 需要가 새로 열린다는 뜻입니다. 글로벌 市場調査機關 스퍼리컬인사이트에 따르면 지난해 6億2260萬 달러(藥 8400億원)였던 SAF 市長은 2033年이면 152億5816萬 달러(約 20兆6000億원)로 커질 라고 하죠.

BP나 쉘 같은 메이저 精油社는 SAF 生産을 擴大하고 있다. 寫眞 出處는 BP의 航空油 部署인 에어BP.
英國 BP·쉘, 美國 월드에너지·提報·필립스66, 프랑스 토탈, 핀란드 네스테, 日本 이데키츠 等. 이미 旣存 精油社와 스타트業 等 數十 곳이 이미 이 市場에 뛰어들어 SAF 生産에 나섰는데요. 韓國은 뒤늦게 올 1月에야 石油事業法을 改正해 SAF를 航空油로 認定한 狀況. 하지만 아직 制度나 施設 인프라가 갖춰지지 않아, 國內 精油社가 實際 SAF를 生産하기까진 時間이 좀 걸립니다.

SAF가 제트유를 代替하려면
어떤가요. 數十兆원臺 規模의 市場이 早晩間 열린다고 생각하니, 이 흐름을 빨리 따라잡아야겠다는 조바심이 나시나요. 그런데 暫時만요. 只今 나오는 그 로드맵들, 正말 現實化할 可能性이 있을까요. 正말 SAF가 2050年엔 제트유를 代替할 程度로 그렇게 많이 生産될 수가 있나요?

이건 資本의 問題가 아닙니다. 原料供給의 뚜렷한 限界 입니다. SAF의 重要한 原料 中 하나가 廢食用油인데요. ‘치킨 튀긴 기름으로 飛行機가 하늘을 난다’는 發想은 매우 훌륭하지만, 廢食用油는 石油처럼 땅을 파면 繼續 나오는 原料가 아닙니다. 例를 들어 美國에선 每年 約 60萬t의 廢食用油가 蒐集되는데요. 그 마지막 한 방울까지 모두 SAF로 만든다면? 아마 現在 美國 航空燃料 需要의 고작 1% 程度를 채울 수 있을 겁니다.
폐식용유는 지금도 국경을 넘나들며 팔려나간다. 하지만 폐식용유 공급은 무한정 늘릴 순 없다. 게티이미지
廢食用油는 只今도 國境을 넘나들며 팔려나간다. 하지만 廢食用油 供給은 無限定 늘릴 순 없다. 게티이미지
SAF 製造社들은 只今도 다른 나라에서 廢食用油를 輸入해 오고 있죠. 萬若 廢食用油 需要가 SAF 때문에 急增하면 熱帶 農場에서 生産된 팜油가 廢食用油로 遁甲 해 팔리지 않을까요? 이로 因해 森林 伐採가 늘면서 오랑우탄을 비롯한 滅種危機 種이 危險에 處하고요. 너무 想像力을 發揮하는 것 아니냐고요? 글쎄요. 이미 지난해 브뤼셀의 싱크탱크 팜유럽은 “말레이시아에서 蒐集된 것보다 더 많은 廢食用油가 말레이시아에서 英國과 아일랜드로 輸出됐다”며 問題를 提起한 바 있습니다.

勿論 廢食用油만 SAF 原料는 아니죠. 옥수수로 만든 바이오에탄올도 主要 原料로 꼽히는데요. 이건 옥수수를 키울 땅이 必要하다는 게 問題입니다. 英國 가디언은 最近 記事에서 “英國이 제트유를 (옥수수가 原料인 SAF로) 完全히 代替하려면 모든 農耕地의 50%를 抛棄해야 할 것”이라고 指摘합니다. 食糧 安保와 숲·濕地 保存 側面에서 SAF로 바이오에탄올 需要가 늘어나는 건 오히려 마이너스일지 모릅니다.

미국 IPS는 지속가능 항공유가 친환경 항공의 해법이라는 주장을 정면으로 반박하며 항공업계의 ‘그린워싱(친환경 위장술)’이라고 비판한다. 마치 SAF만 넣으면 탄소배출 없이 비행할 수 있는 것처럼 착각하게 만든다는 지적이다. IPS 보고서 표지
美國 IPS는 持續可能 航空油가 親環境 航空의 解法이라는 主張을 正面으로 反駁하며 航空業界의 ‘그린워싱(親環境 僞裝術)’이라고 批判한다. 마치 SAF만 넣으면 炭素排出 없이 飛行할 수 있는 것처럼 錯覺하게 만든다는 指摘이다. IPS 報告書 表紙
要約하자면 只今 各國이 내놓은 SAF 計劃은 너무 野心 차다 못해 現實性이 떨어져 보이기까지 합니다. 이 때문에 美國 進步性向 싱크탱크인 政策硏究所(IPS)는 最近 報告書에서 SAF가 “(이름과 달리) 持續可能하지 않은 잘못된 解決策”이고 “航空의 그린워싱”이라고 批判했는데요.

그럼 어쩌란 말이냐고요? ‘더 적은 飛行’만이 親環境을 위한 眞짜 解答이란 主張입니다. 아무리 廢食用油와 바이오에탄올과 廢木材를 다 動員해서 SAF 生産을 最大로 끌어올려도 航空需要가 줄지 않는 限 ‘炭素中立 飛行’ 目標 達成은 不可能하다는 거죠. SAF와 關聯한 薔薇빛 展望에 對해 조금은 冷靜해질 必要가 있는 理由입니다. By.딥다이브

持續可能 航空油(SAF)가 무엇인지 알고 계셨나요? 앞으로 漸漸 많이 接하게 될 用語여서 紹介해드렸습니다. 主要 內容을 要約해드리자면

-航空도 親環境이 可能할까요. 電氣 航空機와 水素 航空機 모두 쉽지 않은 狀況에서 持續可能航空油(SAF)가 親環境의 거의 唯一한 手段으로 떠오릅니다. 廢食用油와 動植物性 기름, 옥수수와 海藻類 等을 原料로 하는 航空燃料입니다.

-全體 生涯週期로 볼 때 SAF는 제트유보다 炭素排出量을 80% 줄일 수 있습니다. 美國은 生産者에 인센티브를 提供하며 SAF 生産을 攻擊的으로 늘릴 計劃입니다. 유럽, 日本 等은 燃料의 一定比率을 SAF로 채우도록 義務化합니다. 只今은 全體 航空燃料의 0.1%가 채 되지 않는 SAF 需要가 빠르게 늘어날 展望입니다.

-새롭게 열리는 市場에 對한 關心은 뜨겁습니다. 問題는 SAF 生産을 그렇게 확 늘린다는 게 말처럼 쉬운 일이 아니란 點인데요. SAF 生産 붐 때문에 或是 森林 伐採가 늘고 食糧 問題가 發生하게 되는 건 아닐까요. SAF의 持續可能性에 對한 懷疑論도 있다는 點 알아두세요.

*이 記事는 21日 發行한 딥다이브 뉴스레터의 온라인 記事 버전입니다. ‘읽다 보면 빠져드는 經濟뉴스’ 딥다이브를 뉴스레터로 購讀하세요.
https://www.donga.com/news/Newsletter


한애란 記者 haru@donga.com
#디젤엔진 #廢食用油 #親環境 #그린워싱 #딥다이브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