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韓國 밴드 音樂의 現在를 묻는다면 들려주고픈 앨범|週刊東亞

週刊東亞 1180

..

金作家의 音談樂談(音談樂談)

韓國 밴드 音樂의 現在를 묻는다면 들려주고픈 앨범

‘Version’과 ‘YOU’VE NEVER HAD IT SO GOOD’

  • 大衆音樂評論家

    noisepop@daum.net

    入力 2019-03-19 11:00:01

  • 글字크기 설정 닫기
    밴드 時代는 끝났는가. 얼핏 그렇다. 오랫동안 活動해온 팀이 하나 둘씩 解體하거나 消滅되고 있다. 그 뒤를 잇는 팀들의 氣勢는 비슷한 時期에 나타난 힙합, EDM(일렉트로닉 댄스 뮤직)의 氣勢를 뚫지 못하는 것처럼 보인다. 革誤, 잔나비, 阿道이 같은 新銳度 있지만 平均的으로 그렇다. 하지만 그렇다고 韓國 밴드가 멈춰 있는 건 아니다. 두 젊은 밴드의 新作을 紹介한다. 韓國 밴드 音樂의 現在가 어디까지 와 있는지를 잘 보여주는 作品들이다.

    노선택과 소울소스 meets 김율희 ‘Version’

    노선택과 소울소스 [위키피디아]

    노선택과 소울소스 [위키피디아]

    밴드 씽씽을 記憶하는가. 2017年 美國 公營라디오 NPR의 人氣 프로그램 ‘打이니 데스크 콘서트’에 出演하며 現地에서 話題가 됐고, 韓國으로 ‘逆輸入’됐던 그 밴드 말이다. 京畿民謠 傳受者 이희문을 中心으로 신승태, 秋다혜 等 3名의 소리꾼에 밴드가 結合했던 그들은 京畿民謠를 바탕으로 한 가락에 레게, 펑크, 디스코를 椄木해 큰 話題를 모았다. 國內에서 열리는 公演은 늘 賣盡이었으며 正規 앨범을 내달라는 聲援도 컸다. 하지만 그들은 그 바람에 副應하지 않고 2018年 10月 解體를 宣言했다. 이희문 혼자 씽씽 때 스타일로 KBS 時事프로그램 ‘檮杌아인 五方간다’ 等에 出演할 뿐이다. 

    萬若 그들 音樂에 興味를 가졌었다면 이 앨범을 놓쳐서는 안 된다. 레게밴드 노선택과 소울소스가 南道 名唱 김율희와 함께한 ‘Version’이다. 오래前부터 韓國 밴드는 록과 國樂을 結合하려는 試圖를 해왔다. 大部分이라 해도 좋을 만큼 失敗했다. 오히려 國樂과 西歐 音樂의 結合은 다른 쪽에서 재미있는 結果를 낳아왔다. 레게와 民謠였다. 

    윈디시티를 이끄는 金班長과 소리꾼 將軍의 아이앤아이 장단이 可能性을 提示했고 2016年 데뷔한 노선택과 소울소스는 이미 2017年 김율희와 함께 판소리의 歌唱과 레게를 結合한 卽興 演奏 스타일의 曲을 선보였다. 씽씽은 가장 成功的으로 이 結合을 化學的으로 만든 主人公이었고. 

    노선택과 소울소스, 그리고 김율희는 ‘Version’을 통해 아예 作心하고 韓國의 傳統과 자메이카의 近現代를 하나로 섞는다. 2017年 크로스오버 國樂 페스티벌 ‘餘羽樂’을 통해 因緣을 맺은 그들은 이 公演뿐 아니라 여러 페스티벌을 통해 한 舞臺에 섰다. 노선택과 소울소스의 두 番째 앨범에 실린 ‘Red Tiger’에서 첫 融合實驗을 선보였다. 그 實驗이 서로의 기운을 잘 맞대는 것에 그쳤다면 約 1年 半에 걸쳐 製作된 ‘Version’은 日就月將, 刮目相對 같은 四字成語를 떠올리게 한다. 



    씽씽이 京畿民謠에 西歐의 댄서블한 리듬을 結合했다면 노선택과 소울소스, 그리고 김율희는 그루브를 넘어 迫力과 竊盜의 段階로 나아간다. 또한 사이키델릭한 신명을 선보인다. ‘沈淸歌’ ‘興甫歌’ 같은 판소리에 밥 말리의 레게리듬이 이렇게 잘 어울릴 수 있을 거라고 나는 想像해본 적이 없다. 아니, 어울림을 넘어 어떤 慣習을 뛰어넘는다. 두 나라 民衆의 無意識에 存在하는 共通을 잇고, 差異를 補完한다. 말 그대로 ‘求同存異(求同存異)’의 音樂이다. 자메이카의 옛 國民은 이를 뭐라 불렀는지 알지 못하지만, 韓半島에서는 音樂이 만들어내는 이런 狀態에 ‘흥’이나 ‘接神’이라는 單語를 썼을 것이다. 

    創作曲인 ‘정들고 싶네’의 境遇 오리지널 버전에서는 어깨와 무릎을 同時에 까닥거리게 하더니, 이 曲의 테마를 덥 스타일로 變奏한 ‘Veridikal Dub’은 東이 터오를 때까지 끝나지 않는 굿판을 귓가에 召喚한다. 먼 옛날부터 샤먼이 擔當했던 共同體의 儀式을, 只今 韓國의 젊은 소리꾼과 밴드가 再現하는 것이다. 每年 試圖되는 意味 있는 크로스오버 作業이 있다. 眞摯하고 探究的이다. 노선택과 소울소스, 김율희는 여기에 하나를 더한다. 좀 더 즐길 수 있는 리듬과 소리라는 文法을.

    로큰롤라디오 ‘YOU’VE NEVER HAD IT SO GOOD’

    로큰롤라디오 [사진 제공 · CJ문화재단]

    로큰롤라디오 [寫眞 提供 · CJ文化財團]

    2014年 韓國大衆音樂床에서 壓倒的인 票를 받으며 ‘올해의 新人賞’을 받은 로큰롤라디오는 루키답지 않게 比較的 오래 沈默을 지켰다. 아니, 신중했다는 表現이 맞을 것이다. 2013年 데뷔 앨범 以後 다음 作品이 나올 때까지 約 5年의 時間이 必要했으니 말이다. 

    지난해 8曲이 담긴 EP로 거칠게 몸을 풀고 最近 내놓은 두 番째 앨범 ‘YOU’VE NEVER HAD IT SO GOOD’은 때때로 잊곤 하는 當然한 事實을 喚起케 한다. 밴드란, 特히 록 밴드란 애初에 젊은이들을 춤추게 하는 任務를 갖고 태어난 組織이라는. 그러니까 재즈 時代로부터 ‘백 투 더 퓨처’가 그린 1950年代, 그리고 初期의 비틀스까지 말이다. 그 後에도 事實 마찬가지여서 춤의 形態만 바뀌었을 뿐, 록 밴드는 젊은 世代의 心臟을 두드리고 筋肉을 刺戟했다. 나머지는 다 附隨的인 움직임이었다. 

    로큰롤라디오는 元來 그런 팀이었다. 1輯의 代表曲 ‘Shut Up And Dance’가 公演場에서 演奏될 때, 다른 밴드들이 부러워할 만한 움직임이 客席으로 물결처럼 퍼져나갔다. ‘YOU’VE NEVER HAD IT SO GOOD’은 그 長點을 極大化한 앨범이다. 

    李珉雨(베이스), 최민규(드럼)가 만들어내는 리듬이 한層 安定된 가운데, 이 탄탄한 基礎 위에 쌓아올리는 김진규의 기타는 말 그대로 歎聲을 부른다. 또래 어느 기타리스트보다 洗練된 리프와 사운드로 最近 어떤 韓國 밴드에게서도 들어본 적 없는 壓倒的인 그루브를 뿜어내는 것이다. 어떤 境遇에도 오버하지 않는 김내현의 보컬이 오히려 過熱된 興奮을 식히는 것처럼 들린다. ‘價値의 相對性’을 主題로 한 歌詞는 種種 思索的이지만, 쓸쓸한 思索의 瞬間조차 발바닥은 뜨거워진다. 

    로큰롤라디오의 相對的 短點은 앨범 收錄曲의 偏差가 甚한 便이라는 것이었다. 이番 앨범은 그런 短點을 克服했다. 이를 위해 그리 오랜 時間, 스스로를 硏磨했나 보다. 그 結果 이 앨범은 마치 U2街 아일랜드 더블린이 아니라 1980年代 英國 맨체스터에서 活動했다면 만들었을 音樂으로 가득차 있다. 벅찬 울림과 頹廢的인 興奮이 交叉되는. 希望 없는 世上에서 스스로 希望이 되겠다는 意志를 靑春다운 氣魄으로 빛나게 하는. 2019年이 끝날 때쯤 이 앨범의 位置는 어디쯤에 있을지 궁금하다. 萬若 ‘YOU’VE NEVER HAD IT SO GOOD’李 年末 ‘그저 그런 앨범’으로 여겨진다면 2019年은 正말 엄청난 해로 남을 것이기에.



    댓글 0
    닫기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