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퀸카의 祕密, 씁쓸한 現實의 맛|週刊東亞

週刊東亞 1069

..

강유정의 映畫觀

퀸카의 祕密, 씁쓸한 現實의 맛

홍덕표 監督의 ‘卒業班’

  • 映畫評論家·강남대 敎授 noxkang@daum.net

    入力 2016-12-23 18:07:28

  • 글字크기 설정 닫기
    映畫 ‘卒業班’ 앞에 붙는 弘報 文句다. 하지만 ‘卒業班’은 우리가 생각하는 卒業班의 浪漫 正反對 便에서 出發하는 映畫다. ‘卒業班’의 浪漫은 어떤 것일까. 다시 못 볼 것을 마음 아파하며 級友나 恩師님과 뜨거운 抱擁을 하는 것? 아니면 밝은 未來를 向한 마지막 階段에서 飛躍하는 그런 肯定的이고 樂天的인 그림? 안타깝게도 ‘卒業班’은 연상호 監督이 製作한 聯想虎豹 映畫다. 演出을 맡은 홍덕표 監督은 어떤가. 두 사람이 呼吸을 맞췄다는 건 이미 그 卒業班이 例事 卒業班이 아니라는 强力한 印章이자 證票다. 그리고 名實相符하게 ‘卒業班’에 그려진 現實은 씁쓸하고 아프다.

    始作은 告白이다. 있는 듯 없는 듯, 크게 無理하지도, 대단한 才能을 보이지도 않은 채 卒業班이 된 정우에겐 오랫동안 마음에 품어온 사람이 있다. 美術學科 퀸카, 朱熹다. 朱熹는 예쁘기만 한 게 아니라 實力도 出衆하다. 學業에만 熱中해 學科 男子아이들에겐 눈길도 주지 않는 얼음 公主이기도 하다. 정우는 朱熹에 對한 마음을 祕密裏에 連載 中인 自身의 漫畫에 象徵的으로 告白해둔다. 純粹美術이 專攻인 그는 學科 親舊들에게 두 個의 祕密을 가진 셈이다. 하나는 漫畫를 그린다는 것, 그리고 다른 하나는 朱熹를 사랑하고 있다는 것.

    하지만 非但 정우에게만 朱熹가 연모와 推仰의 對象인 것은 아니다. 정우를 비롯한 學科 男子 同期들에게, 甚至於 女子 後輩들에게까지도 朱熹는 말 그대로 ‘워너비’ 理想型이다. 어찌 그렇지 않을 수 있겠는가. 빼어난 外貌에 出衆한 實力까지 兼備했으니 말이다. 그런데 親舊의 아르바이트를 도와주려고 所謂 ‘텐프로’가 일하는 業所를 찾아간 정우는, 그 뜻밖의 場所에서 朱熹를 만난다. 事實 朱熹는 留學費를 벌려고 남에게 말할 수 없는 祕密 아르바이트를 하고 있었다.

    ‘卒業班’에 登場하는 朱熹는 問題的 人物이라고 할 수 있다. 빼어난 美貌도 그렇지만, 自身의 꿈을 實現하려고 社會的으로 금기시된 일을 擇했다는 點에서도 그렇다. 朱熹는 儒學의 꿈을 이루려고 아주 暫時 選擇한 길이라고 말하지만 그 唐突한 選擇이 당혹스럽기도 하다. 이 當惑感은 그를 사랑해온 정우도 마찬가지다. 하지만 정우가 祕密을 지켜주기로 約束하면서 이 일은 別 頉 없이 넘어가는 듯싶다.

    그러나 언제나 그렇듯 世上에 祕密은 없다. 그 祕密이 社會的 位置의 甲이 아니라 乙의 것일 땐 더욱 그렇다. 卒業 後를 爲한 選擇이 結局 朱熹의 卒業을 막는 걸림돌이 되고 만다. ‘似而非’ ‘돼지의 王’ 等의 作品에서도 잘 드러난 面이지만, ‘卒業班’은 이 事態를 둘러싼 微妙하고도 暴力的인 心理 變化와 力學關係를 매우 섬세하게 보여준다. 假令 갑자기 朱熹를 娼女 取扱하면서 利用하려 드는 男學生들과 不潔하다며 더 隱密한 方式으로 괴롭히는 女子 後輩들처럼 말이다.



    정우 亦是 다르지 않다. 모두에게 推仰 받던 朱熹는 갑자기 排斥되고 非難받으며 손가락질당하는 아이로 墜落한다. 그를 向한 性的 虐待와 言語暴力이 正義와 常識의 이름으로 恣行된다. 映畫를 보는 내내 어딘가 씁쓸한 現實의 맛을 지울 수 없다. 모두가 加害者가 되는 瞬間을 보고 있자면, 어쩌면 우리가 간직한 純情이라는 것도 事實 流通期限이 지나치게 짧은 工産品이 아닐까 싶기도 하다.




    댓글 0
    닫기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