濁音 (日本語)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濁音 ( 日本語 : 濁音 다쿠온 [ * ] )은 日本語 音節 內의 가나 濁點 ( ? )을 붙인 表記를 맞춤法 으로 하는 것을 말한다.

槪要 [ 編輯 ]

傳統的으로는 다음과 같은 五十音圖 에서 聽音 에 對立하는 ガザダバ行의 音이다.

또 그 搖音 을 包含하는 것이 있다.

ぎゃ ぎゅ ぎょ
じゃ じゅ じょ
ぢゃ ぢゅ ぢょ
でゃ でゅ でょ
びゃ びゅ びょ
ぎぇ
ぐぁ ぐぃ ぐぇ ぐぉ
ぐゎ
じぇ
ずぃ
どぁ どぃ どぅ どぇ どぉ
でぁ でぃ でぅ でぇ でぉ

다만, ガ行은 \?\의 ガ行吟과 \ŋ\의 ガ行 비음( 非濁音 )의 區別이 있지만, 表記上, 兩者는 區別되지 않는다. 또 오늘날에는 ‘じ’와 ‘ぢ’, ‘ず’와 ‘づ’의 要쓰가나 는 同音이다.

또 最近에는 定着되고 있는 外來語 의 音에서 탁點을 使用해서 表記하는 ‘ヴ’를 濁音에 넣을지에 對해서는 議論할 餘地가 있다. 그건 五十音圖와 같은 딱 맞는 體系를 가지고 있지 않고, 各 音의 定着道에 不均衡이 보이기 때문이다.

또한, 最近에 子音 을 따르지 않는 ‘あ’, ‘い’, ‘う’, ‘え’, ‘お’에 濁點을 붙이는 속된 表記가 漫畫 等에서 보이지만, 이것은 城門 의 緊張을 따르는 發音을 表現하고 있는 것이 많으며, 濁音을 나타내고 있지는 않다.

名稱의 由來 [ 編輯 ]

淸音과 濁音의 區別은 中國의 傳統的인 言語學인 音韻學 請託 에서 由來하고 있다. 中國 音韻學에서는 ナ行과 マ行의 子音( 비음 )이나 ラ行 長音( 流音 ), ヤ行과 ワ行의 子音( 半母音 )도 濁音에 分類되고 있다.

音聲學的인 特徵 [ 編輯 ]

이들의 音은 原則으로 聽音 子音 을 그대로 유성화 한 것에 相當하지만, 實際 發音上으로는 몇 가지의 例外가 있기 때문에 쉽게 有聲音이라고 定義하기는 어렵다.

  1. 濁音은 一般的으로 文節 머리 또는 發音(‘ ’) 뒤에는 儒城 破裂音 또는 破擦音 에, 發音 뒤를 除外한 文節中 또는 文節말에는 儒城 摩擦音 또는 그것에 가까운 音(口腔 案을 閉鎖하는 上下의 調音器官의 密着度가 弱함 或은 密着時間이 짧은 有聲破裂音 또는 破擦音)으로 分類되는 傾向이 있다. 하지만, ‘が’ ‘ぎ’ ‘ぐ’ ‘げ’ ‘ご’ 및 ‘ぎゃ’ ‘ぎゅ’ ‘ぎょ’의 發音에는 위에 적힌 것 外에 비음 도 있으며, 이것을 特히 非濁音 이라고 부른다. 보통의 濁音과 非濁音 間의 意味上 差異點은 없기 때문에 非濁音을 使用하는 話者와 使用하지 않는 話者가 있지만, 使用하는(달리하는) 話者는 文節 머리에서는 普通의 濁音, 卽 위에서 敍述魂 有聲破裂音을, 그 外에는 發音 뒤에도 包含해서 非濁音, 卽 鼻音을 使用한다. 또한, 方言에 따라서는 文節中 및 文節말의 濁音이 前鼻音 和하는 것이 있으며, 그 境遇에는 門截頭보다 文節中 · 文節말의 濁音 쪽이 閉鎖 密着度가 剛한 破裂音 또는 破擦音이 되는 것이 있다.
  2. ‘ば’ ‘び’ ‘ぶ’ ‘べ’ ‘ぼ’ 및 ‘びゃ’ ‘びゅ’ ‘びょ’는 ‘ば’ ‘び’ ‘ぶ’ ‘べ’ ‘ぼ’ 및 ‘びゃ’ ‘びゅ’ ‘びょ’의 오래된 發音의 音을 유성화한 것에 相當한다. 卽, 이들의 聽音의 두자음이 無聲良順破裂音이거나 無聲良順摩擦音이거나한 것을 유성화해서, 儒城良順破裂音 또는 有聲良順摩擦音으로 한 것인데, 이 濁音을 無性化하면, 元來의 半濁音 인 ‘ぱ’ ‘ぴ’ ‘ぷ’ ‘ぺ’ ‘ぽ’ 및 ‘ぴゃ’ ‘ぴゅ’ ‘ぴょ’(無聲良順破裂音) 또는 聽音人 ‘ふぁ’ ‘ふぃ’ ‘ふ’ ‘ふぇ’ ‘ふぉ’ 및 ‘ふゃ’ ‘ふゅ’ ‘ふょ’(無聲良順摩擦音)가 된다.
  3. 一部의 方言 을 除外하고 ‘じ’와 ‘ぢ’ 或은 ‘じゃ行’과 ‘ぢゃ行’의 同一團끼리를 소리 上으로 區別하지 않는다. 어느쪽이라도, ‘し’ 또는 ‘しゃ行’ 各 段의 音을 유성화한 음(유성마찰음) 또는 그것에 가까운 音(閉鎖가 弱한 儒城破擦音)과 ‘ち’ 또는 ‘ちゃ行’ 各 段의 音을 유성화한 음(유성파찰음)의 兩쪽이 使用된다.
  4. 一部의 方言을 除外하고, ‘ず’ ‘づ’를 소리 上으로 區別하지 않는다. 어느쪽이라도 ‘す’를 유성화한 음(유성마찰음) 또는 그것에 가까운 音(閉鎖가 弱한 儒城破擦音)과 ‘つ’를 유성화한 음(유성파찰음)의 兩쪽이 使用된다.

表記 [ 編輯 ]

오늘날의 表記에서는 濁音은 對應하는 聽音에 濁點(?)를 붙여서 쓰이지만, 歷史的으로는 탁點을 使用하지 않은 表記도 있다. 또, 헨타이가나 의 聽音에 濁點을 붙여서 對應하는 濁音을 나타내는 表記도 있다.

演卓 [ 編輯 ]

2個의 單語를 連結해서 熟語를 만들 때에 뒤에 오는 單語의 聽音이 濁音化하는 境遇가 있으며 演卓 이라고 불린다.

例示: もち+こめ→ もちごめ(?米) , こい+ふみ→ こいぶみ(?文)

나가우타 等의 敎本에서는 演卓이 일어나는 것을 明示하기 위해서 漢字에 煉炭을 붙여서 나타낸 例도 있다.

煉炭의 作品 [ 編輯 ]

方言詩人의 이나 캇페이 쓰가루 方言 에는 濁音으로 바뀌는 單語가 많은 것을 利用해서, 모든 濁音만으로 방언시를 만든 것이 있다.

같이 보기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