春香歌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春香歌
春香歌의 空間的 背景 中 하나인 廣寒樓
대한민국 大韓民國의 無形文化財
戰勝者 신영희 (國家無形文化財 第5號)
안숙선 (國家無形文化財 第5號)

《春香歌》 (春香歌)는 판소리 다섯 마당 中 하나로서 春香傳 의 內容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作者 未詳으로 朝鮮時代 洞里 신재효 가 元來의 春香歌를 修正한 것이 只今에 이른다. 南原 府使의 아들 이몽룡 이 退妓 월매의 딸 춘향과 사랑하는 이야기를 판소리로 짠 것이다. 封建社會 의 矛盾에서 人間性의 回復을 主張하는 內容으로 國文學 敵 價値가 높이 評價되며, 朝鮮 말 庶民文學의 代表作으로 꼽히고 있다. 판소리 5마당 가운데서 規模도 크고, 音樂的으로 가장 뛰어나다.

構成 [ 編輯 ]

① 超앞(廳-初費두) ② 廣寒樓 景致 ③ 冊房 讀書 ④ 百年佳約 ⑤ 離別歌 ⑥ 新延맞이 ⑦ 妓生占考 ⑧ 十杖歌 ⑨ 獄中歌(쑥대머리) ⑩ 科擧場 ⑪ 御史 行長 ⑫ 春香便紙 ⑬ 奉仕解夢 ⑭ 御史相逢 ⑮ 御史出頭 終結.

音樂的 特徵 [ 編輯 ]

春香歌의 超앞에서 사랑街까지는 羽調 (羽調)와 平調 (平調)가 두루 쓰이는데 고제일收錄 羽調가 많이 쓰이고, 離別歌에서는 界面調 (界面調)가 많다. 또한 李夢龍이 서울에서 내려왔다는 內容에 따라 唱法도 裏面을 살려 京드름制를 使用하는 境遇가 많다. 春香歌에서 音樂的으로 뛰어난 대목은 다음과 같은 것이다.

  • 適性가(赤城歌)(우조-진양),
  • 天子(千字)풀이(중중모리),
  • 긴 사랑가(羽調-진양),
  • 離別歌(界面·京드름-진양·중중모리·중모리),
  • 新延맞이(羽調-자진모리) [1]
  • 獄中歌(獄中歌)(界面-진양)
  • 軍奴司令(軍奴使令)(설렁制-중중모리),
  • 薄石틔(虞祭-진양),
  • 御史(御使)와 장某(界面·京드름-중중모리).

《春香歌》의 名唱과 戰勝 [ 編輯 ]

송흥록 , 고수관 , 박만순 , 金世宗 , 장자백 , 정정렬 等은 모두 春香歌를 잘해 名聲을 얻은 人物들이다. 이 가운데 宋興祿은 獄中歌의 鬼哭聲 대목이 더늠(自身의 獨特한 方式으로 다듬어 부르는 한 대목)이며 고수관은 자진사랑가, 박만순은 사랑가와 獄中歌, 金世宗은 千字풀이, 장자백은 廣寒樓 대목, 丁貞烈은 新延맞이 대목이 더늠이다. 이 外에도 송만갑 은 農夫가 대목을 特長(特別히 뛰어난 長點)으로 하였고, 임방울 도 獄中歌 대목 가운데 쑥대머리를 불러 空前의 人氣를 끌었다. [2]

20世紀 以後 現在까지 總 7個 程度의 全판 傳承이 이루어지고 있는데 다음과 같다.(진한 글씨는 바디의 定立者이며, 기울인 글씨는 春香歌의 藝能保有者이다.)

  • 丁貞烈 바디 : 丁貞烈 → 김여란 → 崔承喜
  • 김연수 바디 : 丁貞烈 → 김연수 오정숙 → 이일주, 조소녀
  • 김소희 바디 : 정정렬, 박동실 , 宋萬甲 → 김소희 신영희 , 안숙선 - 신영희 國家無形文化財 指定
  • 박동진 바디 : 丁貞烈 → 박동진 → 戰勝者 不確實 - 창본 全體 戰勝, 연窓은 이루어지지 않음
  • 정광수 바디 : 金昌煥 → 정광수 → 戰勝者 不確實 - 창본 全體 戰勝, 연窓은 이루어지지 않음
  • 金世宗 바디 : 金世宗 → 金贊業 → 정재근 → 정응민 → 정권진 → 조상현, 성우향 , 성창순 - 성우향 重要無形文化財 指定
  • 宋萬甲 바디 : 宋萬甲 → 박봉술 → 전인삼 復元 戰勝

各州 [ 編輯 ]

  1. 新延맞이 대목은 자진모리로 부르기도 하고 세마치(自進 진양)로 부르기도 한다. 이야기의 裏面에 따라 장단을 달리 하는 것인데 자진모리 대목은 변학도가 춘향을 빨리 보기 위해 바삐 내려가는 것을 의미하고, 세마치는 춘향을 보고 싶은 마음에 걸음을 바삐하되 兩班의 치레를 하느라 거드름을 피우며 내려가는 것을 描寫하는 것이다. 大槪 자진모리로 부르지만 東樵 김연수 바디에서는 세마치로 부른다.
  2. 近來에는 만정 김소희 系統과 東樵 김연수 系統은 勿論 정권진-성우향 系統의 春香歌에서도 쑥대머리를 부르는데 그 曲을 모두 林芳蔚과 같이 하고 있다. 헌데 이것은 本來 林芳蔚이 曲을 만든 것이다. 名唱 정광수 의 證言에 依하면 젊은 時節 林芳蔚이 찾아와 정광수가 保有하고 있는 金昌煥祭 春香歌의 社說을 보고 曲을 지어 넣은 것이라 한다. 基本的으로 쑥대머리는 "五里亭 情別 後로"라는 歌詞가 있으므로 앞 대목 가운데 五里亭 離別 대목이 있어야 하며, 이러한 乖離를 解決하기 위해 성우향 창본에서는 五里亭 情別 云云하는 歌詞를 떼어버렸다.

같이 보기 [ 編輯 ]

이 文書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 (現 카카오 )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配布한 글로벌 世界대백과사전 의 內容을 基礎로 作成된 글이 包含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