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T1 (e스포츠)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T1 (e스포츠)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 SK텔레콤 T1 S 에서 넘어옴)

T1
創團企業 SK텔레콤
代表理事 兆 마쉬
團長 (공)
事務局長 송종호
프론트 문경남
스폰서 SK텔레콤
三星電子
나이키
메르세데스벤츠
東亞 오츠카
DOUYU
RAZER
아프리카 TV
KLEVV
Lagardere Sports
TAKHI
컴캐스트
部門 리그 오브 레전드
하스스톤
포트나이트
스매시 브라더스
逃躱 2
오버워치
레인보우 식스 시즈
발로란트
리그 오브 레전드: 와일드 리프트
位置 대한민국의 기 大韓民國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임팀
監督 임재현 (1군 監督 代行)
코치 김하늘 김강희 (1軍)
김형민
Zeus 최우제
정글 Oner 문현준
美드 Faker 이상혁
AD 캐리 Gumayusi 이민형
서포터 Keria 류민석
外部 링크
T1 公式 홈페이지

T1 大韓民國 의 綜合 프로게임團 으로 리그 오브 레전드 , 배틀그라운드 , 포트나이트 , 에이펙스 레전드 , 스매시브라더스 , 逃躱 2 , 오버워치 , 하스스톤 , 포켓몬스터 , 콜 오브 듀티 모바일 , 레인보우 식스 시즈 等의 種目을 運營하고 있다.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코리아 ,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에서 가장 많은 優勝을 한 팀이기도 하다. 過去에는 스타크래프트 , 스타크래프트 II , 스페셜포스 2 , 하스스톤 種目을 運營했다.

歷史 [ 編輯 ]

스타크래프트 [ 編輯 ]

2001年 12月 合倂하여 創團된 IS 에서 2002年 11月 임요환 2002 SKY杯 온게임넷 스타리그 의 決勝戰을 치른 뒤 팀內 프로토스 不足 等의 理由로 인해 팀을 나오게 된다. 한달 뒤인 2002年 12月 동양제과 임요환 과 스폰서십을 締結하여 높은 年俸과 演習室을 提供하였고, 주훈 임요환 의 個人 매니저로 迎入하였다. 이듬해 팀單位 리그인 프로리그 의 開幕 消息에 駐훈이 選手들을 迎入하기 始作했다. 한달 後인 2003年 1月 프로팀으로서의 기틀이 갖춰진 以後, 東洋 오리온(東洋 Orion) 이라는 이름의 팀으로 活動하기 始作했다. 그리고 2003年 3月 에 開幕된 첫 番째 프로리그인 KTF EVER컵 온게임넷 프로리그 에서 포스트 시즌을 거쳐 決勝에 進出 하였으며 2003年 8月 30日 에 열린 決勝戰에서 한빛 스타즈 (現 熊進 스타즈 )를 4:1로 꺾고 팀內 첫 優勝을 일궈냈다.

동양제과 의 後援 期間이 끝난 2003年 12月 22日 正式으로 팀의 引受를 要求했지만, 後援資金의 規模에 對한 異見差를 좁히지 못하고 協商이 그대로 決裂되었다. 그로 인해 4U (4Union)팀으로 바뀌어 한동안 非企業 팀으로 活動하다가, 2004年 4月 13日 SK텔레콤 에 引受되어 SK텔레콤 T1 으로 再創團하여 現在에 이르고 있다. 2005年 부터 2006年 까지는 프로리그 에서 4回 連續 優勝을 이루어, 오버 트리플 크라운을 達成하였다.

그러나 그 以後 임요환 , 性學僧 의 軍入隊로 電力이 衰退하자 急激히 成績이 墜落하기 始作했고, 여기에 電氣리그에서의 여러 시스템의 失敗와 後期리그에서의 個人展 成跡 不振이 겹치면서 걷잡을 수 없이 弊害가 심해지자 끝내 2008年 1月 23日 , 3시즌 連續으로 이어진 成績不振을 理由로 주훈 監督, 서형석 코치, 이효민 코치가 更迭되었다.

SK텔레콤 T1은 2008年 2月 27日 , MBC게임의 戰略코치였던 박용운 코치를 監督代行으로 選任하고, 昨年까지 選手로 活動했던 최연성 , 박용욱 두 選手를 코치로서 昇格시키기로 確定했다고 밝혔다. 이 後 김택용 의 迎入과 도재욱 의 成長으로 2008 시즌에선 오랜만에 포스트시즌에 進出하게 되었다.

2008年 10月 1日 에 박용운 監督代行이 監督으로 正式 昇格한 以後 出戰한 08-09시즌에서는 프로토스 라인이 宣傳했음에도 저그 라인이 1라운드 全敗라는 前無後無한 不名譽의 不振으로 프로리그 下位圈에 머물렀고 結局 極端의 措置를 取해야 했다. 10月 28日, 최연성이 플레잉코치로 變更을 始作으로, 같은 해 10月 31日 엔 비욘세事件으로 放出되었던 김성제가 復歸하고, 2라운드 直前인 11月 26日 에는 MBC게임의 저그 選手 정영철을 迎入하며 다른 저그 팀員들 까지도 成績이 좋아졌다. 2009年 1月 17日 부터 始作된 3라운드 - 위너스 리그에서는 2008年 12月 21日 除隊한 임요환이 開幕展(vs 空軍展)에서 오영종과의 競技에 出戰하였지만 지고 말았다.

2009年 3月 에는 스페셜포스 프로리그 開幕을 앞두고 펼쳐진 스페셜포스 프로게임團 드래프트에서 P-plus.innovation 클랜을 指名하여 創團하였다. 생각대로T SF프로리그 2009 1st의 1라운드에서는 不振한 모습을 보였으나, 2라운드 初盤에 좋은 成跡을 거두어 2位로 올라서기도 했으나, 끝내 2라운드 傳承의 이스트로 에게 밀려 最終的으로 3位로 確定되었다. 以後 最終 順位 3位와 4位가 맞붙는 準플레이오프에서 클랜 Archer 를 꺾고 플레이오프에 進出했으나, 2位팀 이스트로 에게 敗北해서 3位로 리그를 마감하였다.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 에서는 08-09 시즌의 막바지 5라운드에서 막판에 和承 OZ를 따돌린 後 1位로 決勝戰에 直行해, 3年 만에 廣岸里 進出 티켓을 따냈고, 2009年 8月 7日 8月 8日 決勝戰 1,2次戰에서 和承 OZ를 2:0으로 꺾고 프로리그 優勝을 차지하였다 (1次戰 - 4:0, 2次戰 - 4:3). 또한 김택용 이 正規시즌 MVP를 차지하였으며, 決勝戰 MVP로 정명훈 이 選定되었다.

慶南-STX컵 마스터즈 2009 決勝戰에서는 박재혁 이 先鋒으로 出戰하여 STX選手들을 次例대로 4名을 꺾으며 優勝을 차지하는데 一助를 하였다.

그러나 08-09 시즌이 끝난뒤. 金成濟 이건준 , 박대경 이 隱退하고. 主張이었던 권오혁 박용욱 의 解說 轉向으로 인한 空白을 메우기 위해, 플레잉 코치로 昇格되어 프로토스가 窮乏해졌으나, 프로토스 라인은 12個팀中에 가장 强力한 팀으로 자리 잡았다.

위너스리그 09-10 末期 性學僧 을 事實上 更迭하였고 性學僧 이 更迭된뒤, 저그 라인도 窮乏해지기 始作했다. 德分에 和承토스, 熊進테란과 함께 티원저그 라는 말이 생겨날 程度였다. 그러나 5라운드에서 박재혁 - 이승석 - 어윤수 3名으로 이루어진 저그 라인이 强力해지면서 팀의 勝利에 도움을 주었다.

하지만 新韓銀行 프로리그 09-10 決勝戰에서 T1 저그는 그다지 成果를 이루지 못했다. 이승석 이 템페新 박재영 을 相對하여 敗北, 또한 박재혁 또한 KT의 에이스 李泳鎬 를 만나 敗北를 하면서 4:2로 準優勝에 머무르게 된다. T1의 저그 라인은 이番 시즌 決勝戰에서는 1勝조차 따내지 못하여 痼疾的인 問題로 指摘받았다.

2010年 9月 저그라인 補强을 위하여 熊進 스타즈 한상봉 을 迎入했다. 그러나 期待와는 미치지 못한 成跡을 보이며 不振, 缺場을 면치못하던 한상봉 은 結局 3月 10日 팀에서 任意脫退한다. 新韓銀行 프로리그 10-11 에서 1R 첫 라운드 傳承이란 記錄을 세운다.

新韓銀行 위너스리그 10-11 에서 3位를 記錄한 SK텔레콤은 준PO, PO에서 하이트, 火繩을 꺾고 決勝에 오른다. 伏兵 이승석 의 3킬, 그리고 에이스 김택용 의 마무리 活躍으로 라이벌팀인 KT 를 꺾고 위너스리그 優勝을 차지하며 團體戰 그랜드슬램을 達成하였다.

新韓銀行 프로리그 10-11 에서 6라운드 傳承이란 記錄과 함께 歷代 單一리그 最多勝(39勝) 新記錄을 세운다. 그러나 팀의 練習時間 比率이 나빠서 一部 選手들이 方式이 맘에 안든다고 하소연하기도 했다.

新韓銀行 프로리그 10-11 에서 KT와 決勝에서 맞붙었지만 도재욱과 저그 라인의 敗北로 準優勝에 그쳐 09-10 廣岸里 의 復讐를 하지 못했다. 這番 決勝 때와 마찬가지로 저그가 1勝도 거두지 못해 T1 저그라인은 痼疾的인 問題였다.

慶南-STX컵 마스터즈 2011 決勝戰에서 和承 OZ 와 激突하게 된 T1은 新人王 정윤종 의 先鋒올킬로 優勝을 차지한다. SK텔레콤은 脆弱한 저그라인을 補强하기 위해 和承 出身의 방태수 (現在 사이스톰 게이밍)와 위메이드 폭스 出身 이예훈 (現在 마이印璽니티)을 迎入하였으나, 그들은 當時 아직 經驗이 不足했고, 公式前이 많이 없던 新人이라 SK텔레콤 프런트側에서 成長發展을 믿고 迎入했던 것이다.

SK플래닛 프로리그 正規시즌 1位를 確定지으며 SK텔레콤 T1은 4連續 프로리그 決勝 進出에 成功하였다. 또한 스페셜포스팀도 正規시즌 1位로 亦是 決勝 進出에 成功하였다.

SK텔레콤 T1은 프로리그 決勝戰에서 다시 激突하게 된 KT를 꺾고 3年 만에 正規시즌 優勝을 차지하게 된다. 위너스리그 優勝을 除外하면 總 6回 優勝이라는 大記錄을 세우게 되었다. 다만 저그라인은 如前히 未洽한 點이 많이 指摘됐다.(이날도 저그 라인은 勝利를 하지 못했다)

한 때 T1의 象徵이었던 週訓과 최연성

2012年 8月 16日 슬레이어스에 있던 임요환 을 T1 테란 專擔코치로 迎入했다.

SK플래닛 프로리그 시즌2에서 4位로 포스트시즌에 進出하였고, 準플레이오프에서 진에어 그린윙스 를 完璧하게 制壓했으나 CJ 엔투스 와의 플레이오프에서 에이스 정윤종의 뼈아픈 敗北와 痼疾的인 T1 저그라인의 不振으로 決勝 進出에 失敗하게 된다.

2012年 10月 17日 박용운 을 어드바이저로 임요환 을 首席 코치로 임명했다.

SK플래닛 프로리그 12-13이 끝난 後 팀의 主軸이자, 오랜 時間을 活動해온 도재욱, 김택용, 이승석 等이 大擧 프로게이머를 隱退하였으며, STX 소울에서 活動하던 김도우를 迎入하였다. 次期 시즌 主張은 정명훈이 맡게 되었다.

2013年 9月 26日 임요환 監督이 健康上의 理由로 辭退하고 최연성 코치가 首席코치로 昇格되었다.

2013年 10月 15日 熊進 스타즈 노준규 (現 三星 갤럭시 )를 迎入하였다.

2013年 11月 6日 최연성 首席코치가 監督으로 昇格되었다.

2013年 12月 13日 熊進 스타즈 김민철 (現 TCM 게이밍)을 포스팅으로 迎入하였다.

2014年 9月 11日 SK텔레콤 T1은 報道資料를 통해 2014年 9月 30日子로 정윤종, 원이삭, 정명훈과의 契約을 終了한다고 밝혔다.

2014年 9月 25日 SK텔레콤 T1은 報道資料를 통해 이신형 , 조중혁 의 迎入을 發表하는 同時에 2014年 9月 30日子로 김민철, 노준규와의 契約을 終了한다고 밝혔다.

2016年 10月 스타크래프트 II 種目 팀 解體를 發表하였다.

리그 오브 레전드 코치陣 [ 編輯 ]

監督은 담원 게이밍의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2019 進出을 이끈 金正秀이며 코치는 진에어 그린윙스 , 아프리카 프릭스 코치, 中國 LPL 쑤닝 게이밍 監督을 歷任했던 임혜성이다. 최병훈 監督은 2013年 11月 6日 코치에서 監督으로 昇格된 後 팀의 롤챔스 6回 優勝, 롤드컵 3回 優勝을 이끌었고 2017年 11月 24日 監督職에서 물러나 金正均 코치가 監督을 맡게 되었고 2019年 4月 13日 SK텔레콤 T1 創團 15周年에 롤챔스 通算 7番째 優勝컵을 들어올렸다. 以後 金正均 監督이 물러난 後 金正秀 前 담원 게이밍 코치가 SK텔레콤의 監督을 맡게 되었다.

게임團 沿革 [ 編輯 ]

스타크래프트·스타크래프트 II [ 編輯 ]

  • 2003年 1月 東洋 오리온 프로게임團 創團(最初)
  • 2003年 8月 온게임넷 KTF EVER컵 프로리그 優勝 (東洋 오리온)
  • 2003年 12月 4U 프로게임團 創團(東洋 오리온 → 4U)
  • 2004年 2月 LG IBM MBC게임 팀리그 優勝 (4U)
  • 2004年 4月 SK텔레콤 T1 프로게임團 創團(4U → SK텔레콤 T1)
  • 2004年 7月 SKY 프로리그 2004 1라운드 準優勝
  • 2004年 8月 투싼倍 MBC게임 팀리그 優勝
  • 2005年 8月 SKY 프로리그 2005 前期리그 優勝
  • 2006年 1月 SKY 프로리그 2005 後期리그 優勝
  • 2006年 2月 SKY 프로리그 2005 그랜드파이널 優勝
  • 2006年 3月 2005 大韓民國 e스포츠對象 올해의 프로게임團
  • 2006年 7月 SKY 프로리그 2006 前期리그 優勝
  • 2007年 2月 SKY 프로리그 2006 그랜드파이널 準優勝
  • 2008年 7月 新韓銀行 프로리그 2008 2位
  • 2008年 8月 慶南-STX컵 마스터즈 2008 3位
  • 2009年 3月 新韓銀行 위너스리그 08-09 4位
  • 2009年 8月 新韓銀行 프로리그 08-09 優勝
  • 2009年 8月 慶南-STX컵 마스터즈 2009 優勝
  • 2009年 12月 2009 大韓民國 e스포츠對象 올해의 프로게임團
  • 2010年 8月 新韓銀行 프로리그 09-10 準優勝
  • 2010年 8月 慶南-STX컵 마스터즈 2010 優勝
  • 2011年 4月 新韓銀行 위너스리그 10-11 優勝
  • 2011年 8月 新韓銀行 프로리그 10-11 準優勝
  • 2011年 8月 STX컵 마스터즈 2011 優勝
  • 2012年 4月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 시즌1 優勝
  • 2012年 9月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2 프로리그 시즌2 3位
  • 2013年 7月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 12-13 4位
  • 2014年 2月 SK텔레콤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 2014 1라운드 準優勝
  • 2014年 5月 SK텔레콤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 2014 3라운드 優勝
  • 2014年 7月 SK텔레콤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 2014 4라운드 準優勝
  • 2014年 8月 SK텔레콤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 2014 統合 準優勝
  • 2015年 2月 SK텔레콤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 2015 1라운드 優勝
  • 2015年 4月 SK텔레콤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 2015 2라운드 4位
  • 2015年 7月 SK텔레콤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 2015 3라운드 優勝
  • 2015年 9月 SK텔레콤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 2015 4라운드 準優勝
  • 2015年 10月 SK텔레콤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 2015 統合 優勝
  • 2016年 3月 SK텔레콤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 2016 1라운드 優勝
  • 2016年 5月 SK텔레콤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 2016 2라운드 3位

스페셜포스·스페셜포스2 [ 編輯 ]

리그 오브 레전드 [ 編輯 ]

시즌 3 월드 챔피언십 優勝 (2013)

SK텔레콤 T1 K [ 編輯 ]

  • 2013年 6月 OLYMPUS the Champions Spring 2013 3位
  • 2013年 8月 2013 핫식스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코리아 서머 優勝
  • 2013年 10月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시즌3 優勝
  • 2014年 1月 PANDORA TV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코리아 윈터 2013-2014 優勝
  • 2014年 2月 2013 大韓民國 e-스포츠 對象 리그 오브 레전드 部門 最優秀 e-스포츠 팀
  • 2014年 2月 2013 大韓民國 e-스포츠 對象 對象
  • 2014年 5月 2014 리그 오브 레전드 올스타 인비테이셔널 優勝
  • 2014年 8月 IT ENJOY NLB Summer 2014 優勝

SK텔레콤 T1 [ 編輯 ]

2015 월드 챔피언십 優勝

T1 [ 編輯 ]

2022 LCK 스프링 戰勝 優勝
2023 월드 챔피언십 優勝

2023年까지 最終 成跡 : 월드 챔피언십(롤드컵) 4回 優勝, MSI 2回 優勝, LCK 10回 優勝, 리프트 라이벌즈 1回 優勝, 올스타 인비테이셔널 1回 優勝, IEM 1回 優勝, NLB 1回 優勝

T1 챌린저스 (2軍) [ 編輯 ]

배틀그라운드 [ 編輯 ]

主要 成績 [ 編輯 ]

스타크래프트 [ 編輯 ]

프로리그 [ 編輯 ]

팀리그 [ 編輯 ]

팀內 寄與度 成績 (個人展)
鳶島 스폰서 競技數 個人勝 個人牌 勝率 올킬수 기타
2003 계몽사 豫選 脫落
2003 라이프존 豫選 脫落
2003-2004 LG IBM 33 18 15 54.5% 1
2004 투싼 30 19 11 63.3% 1
2004-2005 MBC MOVIES 31 14 17 45.1% 1
通算成跡 94 51 43 54.2% 3

리그 오브 레전드 [ 編輯 ]

T1의 2022 스프링 優勝 詩 解說陣: 2013 서머, 2014 윈터, 2014 서머, 2015 스프링, 2015 서머, 2016 스프링, 2017 스프링, 2019 스프링, 2019 서머 그리고 只今 2022 스프링 V10!! T1!!!

SK 텔레콤 T1 1팀 [ 編輯 ]

SK 텔레콤 T1 [ 編輯 ]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 編輯 ]

鳶島 大會 順位 마지막 競技 結果
2013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시즌 3 優勝 SKT v. Royal Club 3?0
2015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2015 優勝 SKT v. Koo Tigers 3?1
2016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2016 優勝 SKT v. Samsung Galaxy 3?2
2017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2017 準優勝 SKT v. Samsung Galaxy 0?3
2019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2019 4强 SKT v. G2 Esports 1?3
2021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2021 4强 T1 v. DWG KIA 2?3

美드 시즌 인비테이셔널 [ 編輯 ]

鳶島 大會 順位 마지막 競技 結果
2015 美드 시즌 인비테이셔널 2015 準優勝 SKT v. EDG 2?3
2016 美드 시즌 인비테이셔널 2016 優勝 SKT v. CLG 3?0
2017 美드 시즌 인비테이셔널 2017 優勝 SKT v. G2 Esports 3?1
2019 美드 시즌 인비테이셔널 2019 4强 SKT v. G2 Esports 2?3
2022 美드 시즌 인비테이셔널 2022 準優勝 T1 v. RNG 2?3

IEM ? World Championship [ 編輯 ]

鳶島 大會 시즌 順位 마지막 競技 結果
2016 IEM Season X 優勝 SKT v. Fnatic 3?0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코리아 [ 編輯 ]

  • 스플릿
鳶島 大會 順位 結果 (승/牌)
2015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코리아 스프링 2015 2位 11?3
2016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코리아 스프링 2016 3位 12?6
2017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코리아 스프링 2017 1位 16?2
2018 2018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코리아 스프링 4位 9?9
2019 2019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코리아 스프링 2位 14?4
2020 2020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코리아 스프링 2位 14?4
2021 2021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코리아 스프링 4位 11?7
2022 2022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코리아 스프링 1位 18-0
鳶島 大會 順位 結果 (승/牌)
2015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코리아 서머 2015 1位 17?1
2016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코리아 서머 2016 2位 13?5
2017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코리아 서머 2017 4位 13?5
2018 2018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코리아 서머 7位 8?10
2019 2019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코리아 서머 4位 11?7
2020 2020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코리아 서머 4位 13?5
2021 2021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코리아 서머 4位 11?7
2022 2022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코리아 서머 2位 15?3
  • 플레이오프
鳶島 大會 順位 마지막 競技 結果
2015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코리아 스프링 2015 優勝 SKT v. GE 타이거즈 3?0
2016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코리아 스프링 2016 優勝 SKT v. ROX 타이거즈 3?1
2017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코리아 스프링 2017 優勝 SKT v. KT 롤스터 3?0
2018 2018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코리아 스프링 4位 SKT v. KT 롤스터 1?3
2019 2019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코리아 스프링 優勝 SKT v. 그리핀 3?0
2020 2020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코리아 스프링 優勝 T1 v. Gen.G 3?0
2021 2021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코리아 스프링 4位 T1 v. Gen.G 0?3
2022 2022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코리아 스프링 優勝 T1 v. Gen.G 3-1
鳶島 大會 順位 마지막 競技 結果
2015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코리아 서머 2015 優勝 SKT v. KT Rolster 3?0
2016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코리아 서머 2016 3位 SKT v. KT Rolster 2?3
2017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코리아 서머 2017 準優勝 SKT v. LZ 1?3
2019 2019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코리아 서머 優勝 SKT v. Griffin 3?1
2020 2020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코리아 서머 5位 T1 v. AF 1?2
2021 2021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코리아 서머 準優勝 T1 v. DWG KIA 1?3
2022 2022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코리아 서머 準優勝 T1 v. Gen.G 0?3

KeSPA컵 [ 編輯 ]

鳶島 大會 順位 마지막 競技 結果
2015 2015 KeSPA컵 4强 SKT v. Ever 0?2
2016 2016 LoL KeSPA컵 4强 SKT v. ROX 타이거즈 0?2
2017 2017 LoL KeSPA컵 4强 SKT v. 롱주 IM 0?2
2018 2018 LoL KeSPA컵 8强 SKT v. 담원 게이밍 1?2
2019 2019 LoL KeSPA컵 4强 T1 v. 샌드박스 게이밍 1?3
2020 2020 LoL KeSPA컵 組別리그 T1 v. KT 롤스터 0-1

리프트 라이벌즈 [ 編輯 ]

鳶島 大會 順位 마지막 競技 結果
2017 Rift Rivals 2017 準優勝 LCK v. LPL 1?3
2018 Rift Rivals 2018 準優勝 LCK v. LPL 2?3
2019 Rift Rivals 2019 優勝 LCK v. LPL 3?1

기타 大會 [ 編輯 ]

鳶島 大會 順位 마지막 競技 結果
2013 OLYMPUS Champions Spring 2013 3位 SKT v. CJ Entus Frost 3?0
Asian Indoor-Martial Arts Games 2013 Korean 選拔戰 16强 SKT v. MVP Ozone 1?2
AMD-INVEN GamExperience 4强 SKT v. MVP Ozone 0?2
HOT6iX Champions Summer 2013 優勝 SKT v. KT Rolster Bullets 3?2
2013 월드 챔피언십 選拔戰 1位 3?1
2013 WCG Korea Qualifiers 4强 SKT v. Samsung Galaxy Blue 0?2
2014 PANDORA.TV Champions 2013-2014 Winter 優勝 SKT v. Samsung Galaxy Ozone 3?0
HOT6iX Champions Spring 2014 8强 1?3
bigfile NLB Spring 2014 3位 SKT v. KT Rolster Bullets 3?0
All-Star 2014 優勝 SKT v. OMG 3?0
SK Telecom LTE-A LoL Masters 2014 準優勝 SKT v. Samsung Galaxy 0?3
HOT6iX Champions Summer 2014 8强 SKT v. Samsung Galaxy White 1?3
ITENJOY NLB Summer 2014 優勝 SKT v. Najin Black Sword 3?0
2014 월드 챔피언십 選拔戰 2位 SKT v. Najin White Shield 1?3
2018 2018 월드 챔피언십 選拔戰 4位 SKT v. Gen.G 2?3
2020 Mid-Season Cup 2020 8强 T1 v. TES 0?1
2020 월드 챔피언십 選拔戰 2位 SKT v. Gen.G 0?3

歷代 팀 名稱 [ 編輯 ]

스타크래프트
  • 東洋 오리온(東洋 Orion) → 4U(For Union) → SK텔레콤 T1
리그 오브 레전드
  • SK텔레콤 T1 [1] → SK텔레콤 T1 1팀 → SK텔레콤 T1 S → SK텔레콤 T1 (1팀 統合)
  • SK텔레콤 T1 2팀 → SK텔레콤 T1 → SK텔레콤 T1 K → SK텔레콤 T1 (1팀 統合)
  • SK텔레콤 T1 → T1

歷代 팀 監督 [ 編輯 ]

스타크래프트,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오브 레전드
배틀그라운드
  • 1代 監督 : 최병훈 (2018年 8月 11日 ~ 2020年 3月 3日)
  • 2代 監督 : 최정진 (2020年 3月 3日 ~ 2021年 3月 31日)
    • 코치 : 장민석 (2020年 12月 30日 ~ 2021年 10月 4日)

所屬 選手 [ 編輯 ]

리그 오브 레전드 [ 編輯 ]

1軍 [ 編輯 ]

김강희

이름 召喚社名 포지션 備考
최우제 Zeus
문현준 Oner 정글러
이상혁 Faker 美드
이민형 Gumayusi 원딜
류민석 keria 서포터

2軍 [ 編輯 ]

이름 召喚社名 포지션 備考
경규태 Photon
정글
poby 美드
원딜
서포터

하스스톤 [ 編輯 ]

이름 아이디
金正秀 Surrender
크리스 차코풀로스 Fenomeno
존 웨스트버그 Orange
조지 웹 BoarControl

포트나이트 [ 編輯 ]

이름 아이디
박진규 Quickss
정신우 Sinooh
김도한 Hood.J
이희근 Psangae
알렉스 콜리치 SOFA
코디 풀머 Fulmer

에이펙스 레전드 [ 編輯 ]

이름 아이디
헤이딘 고든 Zerg
브랜던 젠슨 BCJ
커티스 갤로 Kurt

스매시브라더스 [ 編輯 ]

이름 아이디
제이슨 베이츠 ANTi
래리 홀랜드 Larry Lurr

逃躱 2 [ 編輯 ]

이름 아이디
크리스천 존 애버솔로 Skadilicious
이재형 Xemistry
李相敦 Forev
金容民 Febby
요한 誤스트룀 Pieliedie

오버워치 [ 編輯 ]

  • 監督 : 정원협
  • 코치 : 함정민
이름 아이디 포지션
안예승 Perfact DPS
李昊星 Na1st DPS
한민규 TTACKER DPS
임지헌 ION TANK
홍은택 Sven TANK
권영훈 FiXa SUPPORT
김진 Physics SUPPORT

와일드 리프트 [ 編輯 ]

  • 코치 :김연준
이름 아이디
李儁 YJ
정용훈 Coar
박경민 jjong
金海솔 Halu
이경호 penguin

主要 種目 [ 編輯 ]

優勝 記錄 [ 編輯 ]

스타크래프트, 스타크래프트 II [ 編輯 ]

  • 2003 KTF EVER컵 프로리그
  • 2004 LG IBM MBC게임 팀리그
  • 2004 투싼倍 MBC게임 팀리그
  • 2005 SKY 프로리그 前期리그
  • 2005 SKY 프로리그 後期리그
  • 2005 SKY 프로리그 그랜드 파이널
  • 2006 SKY 프로리그 前期리그
  • 新韓銀行 프로리그 08-09
  • 慶南-STX컵 마스터즈 2009
  • 慶南-STX컵 마스터즈 2010
  • 新韓銀行 위너스리그 10-11
  • 慶南-STX컵 마스터즈 2011
  •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 시즌1
  • SK텔레콤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 2014 3라운드
  • SK텔레콤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 2015 1라운드
  • SK텔레콤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 2015 3라운드
  • SK텔레콤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 2015
  • SK텔레콤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 2016 1라운드

스페셜포스 [ 編輯 ]

  • 생각대로T SF프로리그 2009 2nd

리그 오브 레전드 [ 編輯 ]

  • 핫식스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서머 2013
  •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시즌 2013
  • PANDORA TV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코리아 윈터 2013-2014
  • 리그 오브 레전드 올스타 인비테이셔널 2014
  • IT ENJOY NLB Summer 2014
  • 2015 SBENU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코리아 스프링
  • 2015 SBENU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코리아 서머
  •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시즌 2015
  • IEM10 월드 챔피언십 2016
  • 롯데-꼬깔콘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코리아 스프링 2016
  • 美드 시즌 인비테이셔널 2016
  •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시즌 2016
  •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코리아 스프링 2017
  • 美드 시즌 인비테이셔널 2017
  • 스무살우리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코리아 스프링 2019
  • 리프트 라이벌즈 2019
  • 우리銀行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코리아 서머 2019
  • 우리銀行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코리아 스프링 2020
  • 2022 LCK스프링 스플릿 優勝
  •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시즌 2023

배틀그라운드 [ 編輯 ]

  • 2020 펍지 콘티넨탈 시리즈2 韓國 代表 選拔戰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스프링 2013 시즌에 SK텔레콤 T1 2팀이 出帆하기 前까지는 SK텔레콤 T1 單一팀 體制였다.
  2. “T1, 배성웅 코치 監督으로 昇格” . 2022年 9月 5日 . 2022年 9月 5日에 確認함 .  

外部 링크 [ 編輯 ]

移轉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 始作
第1代 프로리그 優勝 팀
EVER 프로리그 2003
다음
  CJ 엔투스  
移轉
CJ 엔투스
第3,4代 팀리그 優勝 팀
LG IBM , 투싼 MBC게임 팀리그
다음
  CJ 엔투스  
移轉
熊進 스타즈
第7, 8, 9, 10代 프로리그 優勝 팀
SKY 프로리그 2005 , 2006 前期리그
다음
  MBC게임 히어로  
移轉
CJ 엔투스
第17代 프로리그 優勝 팀
新韓銀行 프로리그 08-09
다음
  KT 롤스터  
移轉
STX SouL
第3,4,5代 STX컵 마스터즈 優勝 팀
慶南 - STX컵 마스터즈 2009 , 2010 , 2011
다음
  廢止  
移轉
이스트로
第2代 SF 프로리그 優勝 팀
생각대로T SF 프로리그 2009 2nd
다음
  STX SouL  
移轉
KT 롤스터
第3代 위너스리그 優勝 팀
新韓銀行 위너스리그 10-11
다음
  廢止  
移轉
KT 롤스터
第20代 프로리그 優勝 팀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 시즌 1
다음
  CJ 엔투스  
移轉
KT 롤스터
第24代 프로리그 優勝 팀
SK텔레콤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 2015
다음
  진에어 그린윙스  
移轉
MVP Ozone
第5, 6代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優勝 팀
SK텔레콤 T1 K
핫식스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서머 2013
판도라TV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윈터 2013-2014
다음
  三星 갤럭시 블루  
移轉
타이페이 어새신
第3代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
SK텔레콤 T1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시즌 3
다음
  三星 갤럭시 화이트  
移轉
KT 롤스터 隘路우즈
第9, 10, 11代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코리아 優勝 팀
SK텔레콤 T1
스베누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코리아 스프링 2015
스베누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코리아 서머 2015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코리아 스프링 2016
다음
  락스 타이거즈  
移轉
EDG
第2,3代 美드 시즌 인비테이셔널 優勝 팀
SK텔레콤 T1
美드 시즌 인비테이셔널 2016
美드 시즌 인비테이셔널 2017
다음
  RNG  
移轉
三星 갤럭시 화이트
第5,6代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
SK텔레콤 T1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2015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2016
다음
  三星갤럭시  
移轉
락스 타이거즈
第13代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코리아 優勝 팀
SK텔레콤 T1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코리아 스프링 2017
다음
  킹존 드래곤 X  
移轉
KT 롤스터
第17, 18代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코리아 優勝 팀
SK텔레콤 T1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코리아 스프링 2019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코리아 서머2019
다음
  進行 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