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下位文化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下位文化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下位文化 (下位文化) 또는 서브컬처 ( 英語 : subculture )는 한 社會에서 正統的?傳統的인 位相을 지닌 文化 에 對해, 그 社會 內部에서 獨自的 特質과 正體性을 보여주는 小集團의 文化를 가리킨다. [1] 그 例로는 都市文化, 靑少年 文化 等이 있다. 支配的인 文化나 體制를 否定하고 敵對視하는 下位文化는 反文化 (對抗文化)라고 불리기도 한다.

用例 [ 編輯 ]

文脈上으로 主로 다음과 같은 用法이 있다.

  1. 社會의 支配的 文化로부터 逸脫한 文化 樣態, 言語, 宗敎, 價値觀 等을 包含하고, 社會學 分野에서 主流 文化 와의 相對 槪念으로 利用된다.
  2. 繪畫나 純文學, 클래식 音樂 等의 하이 컬처에 對하여, 主로 少數派에 屬하고 趣味性이 剛한 文化를 가리킨다.
  3. 漫畫, 애니메이션, 컴퓨터 게임, 특촬물, 피규어 等 日本에서 本格的으로 發達한 오타쿠 文化를 가리키기도 한다.

1項이 元來의 意味로, 經濟 成長과 都市化, 그에 따른 大衆文化 底邊의 擴散 等으로 인해 2나 3項에 該當하는 意味로 使用되는 境遇가 늘어났다. 어느 境遇에도 '旣成文化에 對比되는 2次的인 側面'이라는 含蓄的인 뜻이 있다. 漢字語로 '下位文化'라는 飜譯이 通用되는 것도 이런 理由에서인 것으로 보인다. 또, 美大生이나 아티스트 志望生이, 自身들이 만들어낸 作品이나 文化를, 商業性에 基盤한 旣存의 文化와 區別하려는 뜻에서, 컬처럴 스터디스 (cultural studies)的인 意味를 담아서 下位文化라고 부르는 境遇도 있다.

어원 [ 編輯 ]

用語의 起源은 1950年에 社會學者 데이비드 리스먼이 使用한 것이 最初이다. 意味는 '主流文化에 反하는 個人의 모임'이었다. '서브'(sub)란 社會的 主流 文化와 價値觀으로부터 逸脫한, 人種的으로 疏外된 그룹이나 스트리트 칠드런 (street children)等의 下位集團이란 意味로, 미디어 文化 以外의 價値觀과 行動樣式, 言語 等, 元來의 '文化(컬처)'에 對應하는 意味에서 서브'컬처'라는 이름이 붙게 되었다.

例示 [ 編輯 ]

오랫동안 라틴아메리카 地域의 貧民地域들을 硏究하고 많은 著作들을 남긴 人類學者 오스카 루이스(Oscar Lewis 1978)가 提示한 槪念인 ‘貧困의 文化’도 事實은 ‘貧民들의 下位文化’를 가리키고 있는 것이었다. 그에 依하면 貧民村에서는 社會의 다른 部分에서와는 相異한 特有의 生活樣式이 있다는 것이며, 루이스는 그의 學問的인 生涯를 통해 이런 貧民들 社會에서 나타나는 下位文化를 記述하고, 分析하며, 解釋해 내려고 努力하였다.

우리의 傳統社會에서도 兩班들의 生活樣式으로는 손으로 하는 일에는 關心을 쏟지 말 것이며, 特히 男子들의 境遇 오직 글을 읽어 벼슬하는 데에만 沒頭할 것이 要求된 ‘兩班文化’도 ‘상민文化’와는 뚜렷한 差異가 있었다. 그럼에도 不拘하고 兩者는 모두 亦是 韓國文化의 테두리 속에서 存在하였고, 이것은 中國文化, 日本文化 等과 같은 다른 文化와는 確然하게 區別될 만한 것이었다. [2]

影響 [ 編輯 ]

서브컬처는 全體的 文化로부터 相對的으로 區別되는 獨自性을 가지는 文化이기 때문에, 이 文化에 參與하는 사람들에게, 支配的인 全體文化 속에서는 채울 수 없는 欲求를 충족시켜주는 役割을 할 때가 많다. 또, 그들에게 心理的인 地主(支柱) 구실을 하는 境遇도 적지 않다. 同時에 다양한 서브컬처의 存在는 文化의 劃一化를 防止하고 文化에 動態性과 活力을 불어넣는 作用을 한다.

서브컬처와 全體文化, 또는 主要文化 사이의 機能的 關係는 大槪의 境遇 相互 補完的이다. 卽, 서브컬처는 그 獨自性을 통해 支配的인 文化構造를 補完하고, 이의 維持·存續에 貢獻하는 境遇가 많다.

그러나 支配的 文化에 對立·抵抗하는 對抗文化(counter culture)로서의 作用을 하는 일도 있다. 卽, 서브컬처의 獨自性이 剛하여 그 內容이 支配的 文化에 對하여 批判的·敵對的이며, 더욱이 그것이 社會에서 어느 程度의 影響力을 가지게 될 때에는 對抗文化로서 作用, 支配的 文化構造의 動搖와 變動을 誘導함으로써 새로운 文化形成의 契機가 되기도 한다. 假令, 히피의 活動과 新左翼運動이 登場한 1960年代 後半부터 1970年代 全般의 先進的 産業社會에서의 靑少年文化에서는 그와 같은 對抗文化的인 性格을 確實히 찾아볼 수 있다. [3]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下位文化” . 2022年 2月 26日에 確認함 .  
  2. “下位文化” . 2022年 2月 26日에 確認함 .  
  3. “서브컬처” . 2022年 2月 26日에 確認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