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켄트로사우루스아과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켄트로사우루스아과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켄트로사우루스아과
化石 範圍:
白堊紀 後期 79?66百萬年 前
켄트로사우루스아과의 다양한 종들
켄트로사우루스아과의 다양한 종들
生物 分類 ??
界: 動物界
文: 척삭動物門
江: 爬蟲綱
亞綱: 離宮亞綱
下降: 支配爬蟲下降
上木: 恐龍上木
목: 兆反目
(未分類): 新鳥盤類
亞目: 各各亞目
河目: 角龍河目
과: 케라톱스과 (Ceratopsidae)
亞科: 켄트로사우루스아과 (Centrosaurinae)
Lambe, 1904

학명이名
  • 파키리老社友루스亞科 Sternberg, 1950

켄트로사우루스아과 케라톱스과 恐龍 의 亞科(subfamily)로 古生物學者 로렌스 램이 1915年에 켄트로社友루스 模式속 으로 해서 명명했다. 켄트로사우루스아과는 다시 켄트로사우루스족과 파키리勞使禹루스族의 두 族으로 나뉜다. [1]

分類 [ 編輯 ]

아래 目錄은 (따로 標示되지 않았다면) 2014年에 켄트로사우루스아과에 屬한다고 分類된 종들이다. [2]

아래의 분지도 는 2012年 라이언, 에반스 그리고 셰퍼드의 系統發生學的 分析을 따른 것이다. [4] 켄트로사우루스아과 內의 盆地群 이름은 피오릴로와 티코스키의 2012年 硏究를 따랐다. [3]

케라톱스과  

카스모社友루스亞科

  켄트로사우루스아과  

제노케라톱스 포레모스텐시스 ( Xenoceratops foremostensis )

디아블로케라톱스 에아토니 ( Diabloceratops eatoni )

亞바케라톱스 라메르視 ( Avaceratops lammersi )

알베르타케라톱스 네스모이 ( Albertaceratops nesmoi )

스피놉스 스테른베르高룸 ( Spinops sternbergorum )

켄트로社友루스 아페르투스 ( Centrosaurus apertus )

코로老社友루스 브린크마니 ( Coronosaurus brinkmani )

스티라코社友루스 알베르텐시스 ( Styracosaurus albertensis )

파키리勞使우루스族

侍奴케라톱스 奏請엔시스 ( Sinoceratops zhuchengensis )

루베誤社友루스 誤바투스 ( Rubeosaurus ovatus )

에이니오社友루스 프로쿠르非코르니스 ( Einiosaurus procurvicornis )

  派키로스트라  

아켈로우社友루스 호르네리 ( Achelousaurus horneri )

파키리老社友루스 카나덴시스 ( Pachyrhinosaurus canadensis )

파키리老社友루스 라쿠스타이 ( Pachyrhinosaurus lakustai )

아래의 분지도는 샘슨 外의 2013年 系統發生學 敵 分析을 따른 것이다. 위의 분지도와 마찬가지로 켄트로사우루스아과 內의 盆地群 이름은 피오릴로와 티코스키의 2012年 硏究를 따랐다. [3]

케라톱스과  

카스모社友루스亞科

 켄트로사우루스아과 

디아블로케라톱스 에아토니 ( Diabloceratops eatoni )

亞바케라톱스 라메르視 ( Avaceratops lammersi )

나水土케라톱스 티투視 ( Nasutoceratops titusi )

알베르타케라톱스 네스모이 ( Albertaceratops nesmoi )

루베誤社友루스 誤바투스 ( Rubeosaurus ovatus )

스티라코社友루스 알베르텐시스 ( Styracosaurus albertensis )

스피놉스 스테른베르高룸 ( Spinops sternbergorum )

켄트로社友루스 아페르투스 ( Centrosaurus apertus )

코로老社友루스 브린크마니 ( Coronosaurus brinkmani )

파키리勞使우루스族

제노케라톱스 포레모스텐시스 ( Xenoceratops foremostensis )

侍奴케라톱스 奏請엔시스 ( Sinoceratops zhuchengensis )

에이니오社友루스 프로쿠르非코르니스 ( Einiosaurus procurvicornis )

  派키로스트라  

아켈로우社友루스 호르네리 ( Achelousaurus horneri )

파키리老社友루스 카나덴시스 ( Pachyrhinosaurus canadensis )

파키리老社友루스 라쿠스타이 ( Pachyrhinosaurus lakustai )

파키리老社友루스 페로吐룸 ( Pachyrhinosaurus perotorum )

21st century in paleontology20th century in paleontology19th century in paleontology2090s in paleontology2080s in paleontology2070s in paleontology2060s in paleontology2050s in paleontology2040s in paleontology2030s in paleontology2020s in paleontology2010s in paleontology2000s in paleontology1990s in paleontology1980s in paleontology1970s in paleontology1960s in paleontology1950s in paleontology1940s in paleontology1930s in paleontology1920s in paleontology1910s in paleontology1900s in paleontology1890s in paleontology1880s in paleontology1870s in paleontology1860s in paleontology1850s in paleontology1840s in paleontology1830s in paleontology1820s in paleontology파키리노사우루스아켈로우사우루스에이니오사우루스시노케라톱스제노케라톱스코로노사우루스켄트로사우루스스피놉스스티라코사우루스루베오사우루스알베르타케라톱스나수토케라톱스아바케라톱스디아블로케라톱스21st century in paleontology20th century in paleontology19th century in paleontology2090s in paleontology2080s in paleontology2070s in paleontology2060s in paleontology2050s in paleontology2040s in paleontology2030s in paleontology2020s in paleontology2010s in paleontology2000s in paleontology1990s in paleontology1980s in paleontology1970s in paleontology1960s in paleontology1950s in paleontology1940s in paleontology1930s in paleontology1920s in paleontology1910s in paleontology1900s in paleontology1890s in paleontology1880s in paleontology1870s in paleontology1860s in paleontology1850s in paleontology1840s in paleontology1830s in paleontology1820s in paleontology

生殖 [ 編輯 ]

파키리老社友루스 페로吐룸 의 個體發生 段階

갓 태어난 켄트로사우루스아과 恐龍의 化石이 文獻으로 報告된 적이 있다. [5] 硏究에 依하면 켄트로사우루스아과 恐龍은 完全히 자라기 前에는 짝짓기 信號에 使用되는 機關을 발달시키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6] 스코트 샘슨은 켄트로사우루스아과에서 짝짓기 信號에 쓰이는 機關이 천천히 成熟하는 것과 나이와 關聯된 特徵들에 基盤해 階層을 이루는 社會構造를 가지는 動物에서 思春期 가 길어지는 것의 共通點에 注目한다. [6] 이런 動物들에서 젊은 수컷들은 普通 實際로 짝짓기를 하기 數 年 前에 性的으로 成熟해 있지만 짝짓기 信號에 使用되는 器官이 完全히 發達된 後에야 짝짓기를 한다. [7] 對照的으로, 암컷은 긴 思春期를 겪지 않는다. [7]

各州 [ 編輯 ]

  1. Sampson (1995).
  2. Csotonyi, J.T.; White, S. (2014). Paleoart of Julius Csotonyi: Dinosaurs, Sabre-Tooths and Beyond . Titan Books. 102?103쪽. ISBN   978-1-7811-6912-4 .  
  3. Fiorillo, A. R.; Tykoski, R. S. (2012). “A new Maastrichtian species of the centrosaurine ceratopsid Pachyrhinosaurus from the North Slope of Alaska”. 《Acta Palaeontologica Polonica》 57 (3): 561. doi : 10.4202/app.2011.0033 .  
  4. Ryan, M. J.; Evans, D. C.; Shepherd, K. M.; Sues, H. (2012). “A new ceratopsid from the Foremost Formation (middle Campanian) of Alberta”. 《Canadian Journal of Earth Sciences》 49 (10): 1251. doi : 10.1139/e2012-056 .  
  5. "Abstract," Tanke and Brett-Surman (2001). Page 207.
  6. "Retarded Growth of Mating Signals," Sampson (2001); page 270.
  7. "Sociological Correlates in Extant Vertebrates," Sampson (2001); page 265.

參考 文獻 [ 編輯 ]

  • Sampson, S. D. (1995b). "Two new horned dinosaurs from the Upper Cretaceous Two Medicine Formation of Montana; with a phylogenetic analysis of the Centrosaurinae (Ornithischia: Ceratopsidae)." Journal of Vertebrate Paleontology , 15 (4): 743-760.
  • Sampson, S. D., 2001, Speculations on the socioecology of Ceratopsid dinosaurs (Orinthischia: Neoceratopsia): In: Mesozoic Vertebrate Life, edited by Tanke, D. H., and Carpenter, K., Indiana University Press, pp. 263?276.
  • Tanke, D.H. and Brett-Surman, M.K. 2001. Evidence of Hatchling and Nestling-Size Hadrosaurs (Reptilia:Ornithischia) from Dinosaur Provincial Park (Dinosaur Park Formation: Campanian), Alberta, Canada. pp. 206?218. In: Mesozoic Vertebrate Life?New Research Inspired by the Paleontology of Philip J. Currie. Edited by D.H. Tanke and K. Carpenter. Indiana University Press: Bloomington. xviii + 577 pp.

外部 링크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