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地震學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地震學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 地震學者 에서 넘어옴)

地震 으로 發生한 地震波 를 感知하는 데 使用하는 代表的인 機械인 地震計 의 모습

地震學 (地震學, Seismology; / s a? z ? m ? l ? d? i , s a? s -/ )은 地球物理學 의 下位項目으로, 地震 (과 더 나아가 全般的인 自然的 흔들림 現象 )과 地球 및 地區 外 다른 行星 에서의 彈性波 電波를 硏究하는 學問이다. [1] 또한 地震 그 自體 外에도 地震海溢 과 같이 地震으로 同伴되는 여러 影響과 火山 , 地球照, 氷河, 조석, 海洋, 大氣, 甚至於는 爆發로 인한 人爲的 흔들림 에까지 이르기에까지 여러 지진원 도 硏究한다. 이와 關聯된 學問으로 地質學 을 利用해 過去에 發生했던 地震 에 對한 情報를 推論하는 分野인 高地震學 도 있다. 時間에 따른 地球의 움직임을 記錄한 波形을 地震記錄 이라고 부른다. 地震學을 硏究하는 學者 地震學者 (seismologist)라고 부른다.

어원 [ 編輯 ]

地震學의 英語 單語인 'Seismology'는 古代 그리스어 에서 地震 을 뜻하는 "σεισμ??" (seismos)와 學問을 뜻하는 "-λογ?α"(-logia)의 合成語에서 由來했다.

歷史 [ 編輯 ]

古代 [ 編輯 ]

地震에 對한 學問的인 關心은 古代서부터 始作되었다. 代表的인 古代 學者로 탈레스 (c. 585 BCE), 아낙시메네스 (c. 550 BCE), 아리스토텔레스 (c. 340 BCE), 杖刑 (132 CE)李 地震의 原因에 對해 推測했다.

古代 그리스 에서는 自然哲學者人 아낙시메네스 가 地震은 흙의 不在로, 卽 大地의 구덩이 안으로 흙이 陷沒되어 地震이 일어난다고 생각했다. [2] 아낙사고라스 는 地震이 地下에 물이 甚하게 흘러내려서 發生하는 것이라고 생각했다. [3] 以後 아리스토텔레스 4元素說 을 主唱하면서 地震은 땅에서 蒸氣와 같은 프네우마 가 밖으로 噴出하면서 發生한다고 主張했다. 이를 綜合해 소 세네카 는 땅 속에서 空氣가 噴出하여 共同이 생기고 이 共同이 무너지면서 地震이 일어난다는 假說을 세웠다. 또한 이런 일이 發生하기 前에는 먼저 땅 밑 共同에서 바람이 불어들어가야 하기 때문에 地震이 發生하기 前에는 날씨가 숨이 막힐듯이 답답해진다는 이른바 地震 날씨 를 통해 地震을 豫知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4] 한便 아라비아半島 에서는 이븐 詩나 가 地震은 땅의 隆起 로 發生하는 것이라고 推定했다. [5]

한便 紀元後 132年 中國 한나라 時期 學者인 張型은 最初의 地震計 라고 할 수 있는 地動儀 를 開發했다. [6] [7] [8]

17世紀 頃 아타나시우스 키르허 는 地震은 地球 內의 水路體系 內에서 불이 움직이며 發生한다고 생각했다. 또한 마틴 리처 (1638-1712)와 니콜라 르머리 (1645-1715)는 地震은 地球 內의 化學 敵 爆發로 發生한다고 생각했다. [9]

近代 [ 編輯 ]

1755年 리스본 地震 으로 유럽에서 科學이 全般的으로 開化하던 科學革命 時期와 맞물러 地震의 行動과 原因을 科學的으로 分析하러는 試圖가 强化되었다. 代表的인 科學分析 初期 科學者로는 1757年 존 베비스 와 1761年 존 미첼이 있다. 존 미첼 이 地震 硏究를 遂行하면서 火山의 影響으로 땅 속의 水蒸氣가 移動해 地震이 發生하고, 이 때 땅이 移動하여 地震波가 發生한다고 主張했다. [10]

1839年 스코틀랜드 컴리 에서 地震이 잇다라 發生하자 英國에서는 더 나은 地震 感知 方法을 開發하기 위한 委員會가 構成되었다. 그 結果 1842年 最初의 現代式 地震計 제임스 데이비드 포브스 의 地震計가 製作되었으며 이 物件이 데이미드 밀른-홈 의 報告書에서 처음 紹介되었다. [11] 이 地震計는 一種의 거꾸로 세워진 振子 로, 振子 위에 있는 종이에 鉛筆을 올려 地震 活動 測定값을 記錄했다. 밀른의 報告書에서는 이런 設計로 만든 地震計가 效率的이었는지는 不分明하다고 記錄했다. [11]

1857年부터 로버트 말레트 는 現代的인 地震計測學의 土臺를 마련하고 爆發物 을 利用한 地震學 實驗을 遂行했다. 말레트는 처음으로 '地震學'(seismology)이라는 單語를 만든 사람이기도 하다. [12]

19世紀 末에는 日本의 雇傭 外國人 이었던 존 밀린 이나 제임스 알프레드 유잉이 1880年 요코하마 地震 을 直接 겪으면서 1880年 最初의 地震學會인 日本地震學回 가 세워지고 日本에서 地震計 및 地震學 硏究가 進行되기 始作하였다. [13] [14]

1897年 에밀 비헤르트 는 理論的인 計算을 통해 地球의 構造 로 된 核과 그를 둘러싼 硅酸鹽의 맨틀로 構成되어 있다는 結論을 내렸다. [15]

20世紀 以後 [ 編輯 ]

1906年 리처드 딕슨 올드險 地震波 에서 P派 S派 , 表面波 가 서로 다른 時間에 到着한다는 事實을 確認하고 地球에는 中心核이 있다는 確實한 證據를 發見했다. [16]

1909年에는 現代 地震學의 創始者 中 한名인 안드리야 모호로비치치 [17] [18] [19] 모호로비치치 不連續面 을 發見했다. [20] 이 不連續面은 地球의 遲刻 맨틀 을 區分하는 一種의 警戒에 該當한다. 地震波가 서로 다른 巖石 密度를 가진 巖石面을 通過할 때 地震波의 速度가 달라진다는 것을 바탕으로 이 境界를 發見했다. [21]

1910年 美國의 地震學者 海里 필딩 라이드 는 1906年 美國 샌프란시스코에서 發生한 地震과 눈에 띄게 나타난 單層과의 關係를 硏究하여 巖石이 應力을 받다가 그 限界點을 超過할 境遇 巖盤이 破裂되어 地震이 發生한다는 彈性反撥說 을 主張했다. [22] [23]

20世紀 들어 1917∼1918年頃 日本의 시다 都市 (志田順, 1876∼1936年)는 地震이 일어났을 때에 紙面이 最初 震源에 對해 끌리는 式으로 움직였는지 밀리는 式으로 움직였는지를 地震計 氣象(記象)에서 判讀하여, 이를 관측점마다 地圖上에 記入해 보고 規則的인 分布를 이룬다는 것을 發見하였다. 이러한 P派 初動(初動)의 分布에는 두 가지 兄이 있는데, 하나는 四象限型(四象限型), 또 하나는 震央 附近의 院內에 限定된 兄(밀린 圓錐形)으로, 史上韓兄은 單層의 生成에 依해 說明되고 後者는 震央 附近의 知覺의 沈降으로 說明된다. 이와 같은 얼개를 發震機構 라 한다. 그 後, 四象限刑으로 樵童이 分布하는 地震은 數없이 發見되어, 한때는 斷層地震설 (單層地震說)李 流行하였다. 이에 對하여 1934年 이시모토 미시오 (石本已四雄)는 마그마 貫入설 (magma 貫入說)을 主唱하였다. 1929年 와다치 기요 (和達淸夫)는 맨틀 內에 일어나는 深發地震 을 發見하였는데, 深發地震의 P派 初動分布가 있는 것은 震央 近處가 밀리고 있다. 이시모토는 이것은 圓錐 內에서 미는 힘이 作用하고 있어서 그 圓錐가 비스듬히 地表와 交叉되므로 雙曲線이나 楕圓形의 初動分布의 境界가 생긴다고 생각했다. 이 메커니즘은 마그마의 貫入을 聯想시킨다. 위와 같이 地震의 原因으로서는 斷層地震說과 마그마 管입설이 있으나, 兩쪽 다 하나의 假說만으로는 完全히 說明할 수 없다. [24]

破壞的인 强震으로 發生하는 餘震 에 對한 最初의 科學的인 硏究는 1920年 할라파 地震 以後로 推定된다. 地震 發生 以後 80 kg 무게의 비헤르트 地震計를 鐵道를 통해 멕시코 할라파 로 옮겼으며 이 地震게로 여러 女眞을 測定했다. 이 記錄을 통해 本震이 매우 얕은 地殼의 斷層을 따라 發生했음이 밝혀졌다. [25]

1926年에는 헤럴드 제프리스 가 地震波 硏究를 통해 맨틀 아래에 있는 核이 液體 라고 最初로 主張했다. [26]

1937年 잉에 레만 이 地球의 液體 外核 안에 固體의 耐核 이 있다는 事實을 처음으로 밝혀냈다. [27]

槪要 [ 編輯 ]

深化的으로 살펴보면 地震에 對한 硏究로서 地震의 影響 뿐만이 아니라 海溢, 火山, 地殼變動, 海洋, 大氣, 人工的인 地震(地下에서의 大規模 爆發, 地下水의 大量使用으로 因한 內部崩壞)에 對한 硏究도 竝行되고 있으며 또한 地震波의 軌跡을 통해 行星 內部의 構造를 硏究하고 있다. 特히 行星 內部 硏究에 對한 데이터는 天文學과 結合하여 行星에서 觀測되는 振動 데이터를 바탕으로 該當 天體의 內部構造를 硏究하는 項目과 連繫되고 있다.

大韓民國에서는 單獨的인 學問으로 자리잡기 보다는 地質學 의 下位分類로 자리잡고 있으며 地震工學에 對한 硏究와 함께 主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硏究所나 觀測所에서 提供하는 情報보다는 大學에서 學問的 硏究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政府 機關部署로는 氣象廳 에서 主로 다루고 있다.

地震發生物理學 [ 編輯 ]

地震發生物理學은 地震( 單層 破壞 )을 物理 敵 現象으로 看做하고 詳細하게 分析하고 그 메커니즘을 解明하는 學問이다. 地震學 分野의 한個이다.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日本語) 地震? 』 - Kotobank
  2. Lindberg 2007 , 29쪽.
  3. Kolb, Vera M.; Clark III, Benton C. (2020年 7月 13日). 〈10〉. 《Astrobiology for a General Reader: A Question and Answers - Panspermia hypothesis》 . Cambridge Scholars Publishing . 47쪽. ISBN   1-5275-5502-X . 2022年 5月 3日에 確認함 .  
  4. 이기화 2016 , 58쪽.
  5. Stephen Toulmin and June Goodfield (1965), The Ancestry of Science: The Discovery of Time , p. 64, University of Chicago Press (cf. The Contribution of Ibn Sina to the development of Earth sciences 保管됨 14 3月 2010 - 웨이백 머신 )
  6. Needham, Joseph (1959). 《Science and Civilization in China, Volume 3: Mathematics and the Sciences of the Heavens and the Earth》.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626?635쪽. Bibcode : 1959scc3.book.....N .  
  7. Dewey, James; Byerly, Perry (February 1969). “The early history of seismometry (to 1900)” . 《Bulletin of the Seismological Society of America》 59 (1): 183–227.  
  8. Agnew, Duncan Carr (2002). “History of seismology”. 《International Handbook of Earthquake and Engineering Seismology》. International Geophysics 81A : 3–11. doi : 10.1016/S0074-6142(02)80203-0 . ISBN   9780124406520 .  
  9. Udias, Agustin; Arroyo, Alfonso Lopez (2008). 〈The Lisbon earthquake of 1755 in Spanish contemporary authors〉. Mendes-Victor, Luiz A.; Oliveira, Carlos Sousa; Azevedo, Joao; Ribeiro, Antonio. 《The 1755 Lisbon earthquake: revisited》. Springer. 14쪽. ISBN   9781402086090 .  
  10. Member of the Royal Academy of Berlin (2012). 《The History and Philosophy of Earthquakes Accompanied by John Michell's 'conjectures Concerning the Cause, and Observations upon the Ph'nomena of Earthquakes' 》. Cambridge Univ Pr. ISBN   9781108059909 .  
  11. Oldroyd, David (2007). “The Study of Earthquakes in the Hundred Years Following Lisbon Earthquake of 1755” . 《Researchgate》. Earth sciences history: journal of the History of the Earth Sciences Society . 2022年 10月 4日에 確認함 .  
  12. Society, The Royal (2005年 1月 22日). “Robert Mallet and the 'Great Neapolitan earthquake' of 1857”. 《Notes and Records》 (英語) 59 (1): 45?64. doi : 10.1098/rsnr.2004.0076 . ISSN   0035-9149 . S2CID   71003016 .  
  13.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Inventor, John Milne
  14. 이기화 2016 , 112쪽.
  15. Barckhausen, Udo; Rudloff, Alexander (2012年 2月 14日). “Earthquake on a stamp: Emil Wiechert honored”. 《Eos, Transactions American Geophysical Union》 93 (7): 67. Bibcode : 2012EOSTr..93...67B . doi : 10.1029/2012eo070002 .  
  16. 〈Oldham, Richard Dixon〉. 《Complete Dictionary of Scientific Biography》 10 . Charles Scribner's Sons . 2008. 203쪽.  
  17. “Andrya (Andrija) Mohorovicic” . Penn State . 2013年 6月 26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21年 1月 30日에 確認함 .  
  18. “Mohorovi?i?, Andrija” . Encyclopedia.com . 2021年 2月 1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21年 1月 30日에 確認함 .  
  19. “Andrija Mohorovi?i? (1857?1936)?On the occasion of the 150th anniversary of his birth” . seismosoc.org. 2021年 2月 1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21年 1月 30日에 確認함 .  
  20. Andrew McLeish (1992). 《Geological science》 2板. Thomas Nelson & Sons . 122쪽. ISBN   978-0-17-448221-5 .  
  21. Rudnick, R. L.; Gao, S. (2003年 1月 1日), Holland, Heinrich D.; Turekian, Karl K., 編輯., “3.01 ? Composition of the Continental Crust” , 《Treatise on Geochemistry》 (Pergamon) 3 : 659, Bibcode : 2003TrGeo...3....1R , doi : 10.1016/b0-08-043751-6/03016-4 , ISBN   978-0-08-043751-4 , 2019年 11月 21日에 確認함  
  22. 이기화 2016 , 59-60쪽.
  23. “Reid's Elastic Rebound Theory” . 《1906 Earthquake》.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 2018年 4月 6日에 確認함 .  
  24. 글로벌 世界대백과사전 》, 〈地震의 原因〉
  25. Suarez, G.; Novelo?Casanova, D. A. (2018). “A Pioneering Aftershock Study of the Destructive 4 January 1920 Jalapa, Mexico, Earthquake” . 《Seismological Research Letters》 89 (5): 1894?1899. doi : 10.1785/0220180150 . S2CID   134449441 .  
  26. Jeffreys, Harold (1926年 6月 1日). “On the Amplitudes of Bodily Seismic Waues.”. 《Geophysical Journal International》 (英語) 1 : 334?348. Bibcode : 1926GeoJ....1..334J . doi : 10.1111/j.1365-246X.1926.tb05381.x . ISSN   1365-246X .  
  27. Hjortenberg, Eric (December 2009). “Inge Lehmann's work materials and seismological epistolary archive” . 《Annals of Geophysics》 52 (6). doi : 10.4401/ag-4625 .  

參考 文獻 [ 編輯 ]

外部 링크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