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祭主柑橘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祭主柑橘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西歸浦山 柑橘 ( 溫州橘 )
濟州島産 千蕙香

祭主柑橘 (濟州柑橘)은 濟州道 의 特産物인 柑橘類 를 통틀어 이르는 말이다. 크게 濟州道 在來 柑橘類와 濟州島産 栽培 柑橘類로 나누어진다.

歷史 [ 編輯 ]

三國時代부터 耽羅國 에서 백제와 같은 나라들에게 橘을 膳物했다고 한다.

朝鮮王朝實錄 》에도 祭主柑橘이 여러 次例 言及되는데, 가장 이른 것은 《 太宗實錄 》 24卷 1412年(太宗 12年) 11月 21日 記事 및 26卷 1413年(太宗 13年) 10月 20日 記事에는 上林園 別監 김용(金用)을 濟州로 보내어, 柑橘 數百 그루를 順天 等 全羅道 바닷가 고을에 옮겨 심었다는 記錄이다.

朝鮮 時代에는 祭主柑橘이 임금에게 眞相되기도 하였다. 《 世宗實錄 》 11卷 1421年(世宗 3年) 1月 13日 記事에는 濟州島의 眞相 品目으로 감자 (柑子), 柚子 (柚子), 洞庭橘 (洞庭橘), 遺憾 (乳柑), 靑橘 (靑橘)李 言及되며, 그 外에 151卷 〈 地理誌 〉의 全羅道 濟州목 아래에는 토공(土貢)으로 감자, 柚子, 遺憾, 洞庭橘, 金橘 (金橘), 靑橘, 山橘 (山橘)李 記錄되어 있다. 《 世祖實錄 》 2卷 1455年(世祖 1年) 12月 25日 病인 1番째記事에는 柑橘이 " 宗廟 에 바치고 손님을 待接하는, 그 쓰임이 매우 切實한" 과일로 言及되며, 여러 過失 中에서 "金橘과 遺憾, 洞庭橘이 商品이고, 감자와 靑橘이 다음이며, 柚子와 山橘이 그 다음"이라 言及된다. 1702年 濟州牧師 이형상 이 濟州島의 各 고을을 巡廻한 場面을 化工 김남길 이 記錄한 彩色 畫帖인 《 耽羅巡歷도 》의 〈柑橘奉進〉에 감자, 黨儒者, 洞庭橘, 遺憾, 柚子, 金橘, 靑橘, 山橘 等 8個 品種 柑橘 4萬 개가 진상되었다고 記錄되어 있다. [1]

柑橘 眞相에 따른 濟州道民의 苦痛도 記錄되어 있다. 《世宗實錄》 36卷 1427年(世宗 9年) 6月 10日 記事에는 濟州道 察訪 김위민이 오랜 弊端을 告發한 것이 記錄되어 있는데, "地方官이 民家의 柑橘을 進上한다고 稱託하고 나무를 세어 帳簿에 記錄하고, 열매가 겨우 맺을 만하면 열매 數를 세어 監督해서 봉하여 두고, 或是 그 집 主人이 따는 일이 있으면 竊盜罪로 몰아대고 全部 官에서 가져가므로, 百姓은 利益을 보지 못하여 서로가 怨望하고 恨歎"한다고 쓰여 있다. 《 成宗實錄 》 225卷 1489年(成宗 20年) 2月 24日 記事에서는 "濟州 百姓 中 柑橘 나무를 가진 者가 있으면 樹齡 이 열매가 맺든지 아니 맺든지 괴롭게 徵收하여 百姓들이 살 수 없어서 나무를 베고 뿌리를 없애는 者까지 있다"며 濟州에서 橘 栽培를 하면 稅金을 減해 주도록 하라는 것이 記錄되어 있다. 또한 《世祖實錄》 2卷 1455年(世祖 1年) 12月 25日 記事에도 貢物을 채우려고 "나무를 심는 집에 겨우 열매가 맺으면 억지로 간수(看守)하게 하고, 낱數를 헤아려서 表紙를 달고, 조금이라도 縮이 나면 곧 徵贖(徵贖)하게 하고, 또 주호(主戶)로 하여금 官府(官府)까지 運搬해 오게 하며, 萬一 期限에 미치지 못하면, 刑罰을 嚴하게 하여 容恕하지 아니하기 때문에, 百姓들이 나무를 심기를 즐겨하지 아니하고, 甚한 者는 或 뽑아 버리기까지 한다"며 濟州 度按撫使에게 柑橘 公納의 民弊를 줄일 것을 命한 記錄이 있다. 《 英祖實錄 》 67卷 1748年(英祖 24年) 1月 10日 記事에도 方今 濟州에서 遞職되어 돌아온 同副承旨 한억증에게 "柑橘(柑橘)의 眞空 또한 弊端이 있어 閭巷(閭巷) 사이에 이 나무가 나면 반드시 끓는 물을 부어 죽인다고 하니, 事實이 그런가?"하고 물으니, 한억증이 그렇다고 對答한 記錄이 있다.

種類 [ 編輯 ]

在來 柑橘 [ 編輯 ]

濟州道 에서 오랫동안 栽培해온 在來 作物 이다.

  • 감자 ( C. benikoji hort. ex Tanaka )
  • 金橘 ( C. japonica Thunb. )
  • 黨儒者 ( C. maxima 'Dangyuja')
  • 洞庭橘 ( C. erythrosa hort. ex Tanaka )
  • 病橘 ( C. platymamma hor. ex Tanaka )
  • 빈橘 ( C. leiocarpa hort. ex Tanaka )
  • 사두감 ( C. pseudogulgul hort. ex Shirai )
  • 遺憾 ( C. suavissima hort. ex Tanaka )
  • 柚子 ( C. × junos Siebold ex Tanaka )
  • 遲刻 ( C. × aurantium 'Jigak')
  • 眞橘 ( C. sunki (Hayata) hort. ex Tanaka )
  • 靑橘 ( C. × nippokoreana Tanaka )
  • 便橘 ( C. × tangerina 'Pyeongyul')
  • 洪橘 ( C. × tachibana (Makino) Tanaka )

栽培 柑橘 [ 編輯 ]

많은 數가 日帝强占期 以後에 在日僑胞 等에 依해 日本 에서 導入되어 栽培되기 始作했다. 2010年代 後半부터 賀禮橘 , 가을香 , 미니香 , 윈터프린스 等 國內 開發 品種도 栽培되기 始作했다.

各州 [ 編輯 ]

  1. 김형훈 (2016年 3月 6日). ““生과도, 껍질도 眞相될 程度로 貴하게 待接받아”” . 《미디어濟州》. 2017年 4月 3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19年 7月 30日에 確認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