精神翁主 (宣祖)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精神翁主
貞愼翁主
朝鮮 宣祖의 翁主
身上情報
出生日 1582年 7月 21日 ( 1582-07-21 ) (陰曆)
死亡日 1653年 2月 14日 ( 1653-02-14 ) (70歲) (陰曆)
父親 宣祖
母親 인빈 金氏
配偶者 達成位(達城尉) 서경주 (徐景?)
子女 3男 5女
長女 鉏未生(徐楣生)
長男 서정리(徐貞履)
次女 書藝生(徐禮生)
3女 서희생(徐喜生)
4女 서지순(徐止順)
次男 서정리(徐正履)
5女 鉏지효(徐止孝)
3男 鉏眞理(徐晉履)

精神翁主 (貞愼翁主, 1582年 8月 18日 ( 陰曆 7月 21日 ) [1] ~ 1653年 3月 13日 ( 陰曆 2月 14日 ))는 朝鮮 宣祖 (宣祖)의 長女이자 鉏長女로 인빈 金氏 (仁嬪 金氏) 所生이다. 人組 (仁祖)의 고某이기도 하다.

生涯 [ 編輯 ]

誕生과 婚姻 [ 編輯 ]

1582年(宣祖 15年) 陰曆 7月 21日 [1] , 宣祖 와 當時 所用이었던 인빈 金氏 의 딸로 태어났다.

1591年(宣祖 24年), 徐渻 의 넷째 아들인 서경주(徐景?)를 達成位(達城尉)에 봉하고 儀賓으로 選拔하여 精神翁主와의 婚禮를 約弔賀였으나, 다음해에 壬辰倭亂 이 勃發하면서 延期되었다. [1] 1596年(宣祖 29年) 서경주와 吉禮를 올렸으며 以後 3男 5女를 낳았다.

翁主 時節 [ 編輯 ]

精神翁主와 서경주 夫婦의 첫째딸人 鉏未生(徐楣生)은 연흥府院君 金霽南 의 次男이자 인목왕후 의 男동생인 김규와 婚姻하였는데, 金悌男이 癸丑獄事 에 連累되어 賜死되면서 金悌男의 아들이자 精神翁主의 사위인 김규 또한 連坐되어 死亡하였고, 男便 서경주와 媤아버지인 徐渻 또한 붙잡혀 供招를 받았다. 精神翁主는 이때 金悌男의 孫子인 김천석을 連坐되지 않게 숨겨주었다. [2]

1624年(仁祖 2年), 精神翁主는 人組 에게 正門(呈文)을 올렸는데, 李适의 亂 當時 管餉使 남이웅이 翁主 所有의 黃海道 鳳山 (鳳山) 農場의 穀食 200席을 쓴 일 때문이었다. 仁祖는 戶曹의 請을 받아들여 逆賊의 집에게서 穀食값을 갚도록 하고 叛亂軍에게서 籍沒한 집 두채를 精神翁主에게 내려주었다. [3] 仁祖實錄의 史觀은 이날 精神翁主와 서경주 夫婦의 行跡을 批判하였다.

 
籍沒(籍沒)韓 奴婢 10具(口)를 능원군 (綾原君) 이보(李?)에게 내리고,
籍沒한 집 2具(區)를 精神翁主(貞愼翁主)에게 내리라고 命하였다.
이에 앞서 逆賊 李适의 變亂 때 管餉使 남이웅(南以雄)李 軍餉(軍餉)李 모자라서
翁主의 鳳山 (鳳山) 農場의 穀食 2百餘 席을 가져다 썼는데
이때에 이르러 翁主가 正門(呈文)하자, 好調가 逆賊의 집으로 그 穀食 값을 갚기를 請하니,
上( 人組 )이 允許한 것이다.
精神翁主의 駙馬(駙馬)는 達成位(達城尉) 서경주(徐景?)인데,
나라의 일이 急한 것은 생각하지 않고 郡守로 徵發되어 쓰인 것을 갚기를 要求하며
마치 장사꾼이 값을 따지는 것같이 하였으므로, 市의(時議)가 鄙陋하게 여겼다.

? 《 仁祖實錄 》 6卷,
仁祖 2年(1624年 名 天界(天啓) 4年) 6月 1日 (癸未)

1643年(仁祖 21年) 9月, 男便 서경주와 死別하였다.

1647年(仁祖 25年) 4月, 精神翁主는 아들 서정리(徐貞履)가 充員 縣監으로 勤務하자 그 任所에 가서 아들을 만나고 싶어하였다. 仁祖는 精神翁主에게 王子의 例에 맞게 末(馬)을 支給하고 內衣로 하여금 藥을 持參하여 遂行하게 하였다. [4] 하지만 肝원에서 守令은 春分 後에 家族을 데려갈 수 없고, 翁主가 아들을 보러 가는데에 말을 支給하는것은 일의 體貌를 보아 맞지 않는다고 名을 거둘것을 請하자 다시 받아들였다.

死亡 [ 編輯 ]

1653年(孝宗 4年) 2月 14日, 졸하였다. 孝宗은 精神翁主에게 支給하던 祿俸을 3年間 그대로 支給하라고 命하였다.

家族 關係 [ 編輯 ]

各州 [ 編輯 ]

  1. 《서경주 墓誌銘》
  2. 國朝寶鑑 》 第34卷, 仁祖朝 1
  3. 仁祖實錄 》 6卷, 仁祖 2年(1624年 名 天界(天啓) 4年) 6月 1日 (癸未)
    능원군 이보에게 奴婢 10具를 주고 精神翁主에게 집 2채를 하사하다
  4. 承政院日記 》 97冊 (脫抄本 5冊) 仁祖 25年(1647年 靑 脣齒 4年) 4月 22日 (癸巳)
    아들의 任所에 가는 精神翁主에게 말 (馬) 을 支給하고 內衣가 藥을 가지고 遂行하도록 하라는 全校
  5. 연흥府院君 金霽南 (延興府院君 金悌男, 1562 ~ 1613)의 次男
  6. 縣監(縣監) 이유원(李幼源)의 아들
  7. 工曹參議(工曺參判) 심종직(沈宗直)의 아들
  8. 同副承旨(同副承旨 ) 권확(權?, 1568 ∼ 1638)의 아들
  9. 무산군 의 外6代孫