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占卜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占卜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占卜 (占卜, 英語 : divination )은 未來의 일이나 감추어진 일을 알기 위해 占을 치는 것을 말한다. 무당이나 판수가 치는 點을 무꾸리 라고도 한다. 占을 치는 것을 배우는 學問은 復學 (卜學)이라고 부른다.

사람들이 行動의 選擇에 있어서, 卽 自身이 할 수 있는 方法으로써 到底히 어찌할 수 없을 때에 그 方法 以上의 方法을 얻어서 行動을 決定하려는 役割을 한다. 岐路(岐路)에 선 人間에게 갈 길을 가리키는 것이 占卜이라고 할 수 있다. 이때에 사람은 무꾸리를 통해서 지난 일을 알아 내고 앞으로 일어날 일을 豫測해 보려고 한다. 그러므로 占卜은 一種의 豫言 (豫言)的 要素를 지니고 있다.

이처럼 點은 超自然的인 方法으로 過去를 알아맞히거나, 앞날의 運數ㆍ吉凶 따위를 미리 判斷하는 일을 가리킨다고 할때 [1] [2] 豫言과는 달리 반드시 未來를 豫測하는 것이 주된 目的이 아니라 對象이 意圖하는 方向으로 이끄는 것을 주된 目的으로 하기에 豫言과 混同하는 것은 適切하지 않다.

歷史 [ 編輯 ]

占卜의 思想은 三國時代 에 이미 旺盛하였다. 新羅 昔脫解 (昔脫解)는 三日月型(三日月形)의 길지(吉地)를 發見하고 宅地를 삼았으며, 百濟 의자왕 (義慈王)은 秒만月(初滿月)을 占쳤으며 高句麗 의 醜男(楸南)은 先占(善占)하였으니 箱子 속에 든 쥐를 알아맞추었다.

記錄 [ 編輯 ]

東國歲時記 》·《 慵齋叢話 》 等에 점치는 風俗의 記錄이 여기저기 실려 있다. 거기에는 聽讒(聽讖)·三災法·五行占(五行占)·脈點(麥占)·달맞이 等의 點에 關한 風習이 실려 있다.

설날 아침에 五行占 을 쳐서 새해의 身數를 점친다. 나무에 · · · · 를 써서 長期 쪽같이 만든다. 그것을 一時에 던져 그것들이 넘어지고 엎어진 것을 보고 店肆(占辭)에 있는 말을 解釋, 理解한다.

或은 을 던져 새해의 吉凶을 점친다. 大槪 3番을 던져 짝을 짓고 3番 나온 卦(卦)로 요사(繇辭)에 맞춰서 決定한다. 例를 들면 도·도·도…건(乾)이면 아이가 어머니를 만남, 도·모·모…췌(萃)이면 가난한 사람이 寶物을 얻음 따위이다. 妖邪는 64卦 로 되어 있다.

占卜하는 사람의 名稱은 여러 가지이다. 朝鮮때에는 拍手·善射(禪師)라고도 하였다. 《慵齋叢話》에 따르면 광통교(廣通橋) 近處에 나이먹은 猛福(盲卜)인 김을부(金乙富)가 복서(卜筮)로 이름을 날렸던 模樣이다. 世人들이 그를 膳賜(禪師)라고 불렀다. 그런데 讀經을 하는 盲人들은 모두 削髮하고 복서를 業으로 삼았다. 그리고 복서에 쓰이는 占書(占書)에 唐나라 것과 本國의 것이 있었는데 唐나라 것이 더 效驗이 있었다고 한다. 오늘날에도 黨의 것이 쓰이고 있다. 그리고 點에 從事하는 者를 卜術者(卜術者)·福者(卜者)·술자(術者)라고 부르기도 했다.

方法 [ 編輯 ]

占卜에는 여러 方法이 있는데 몇 가지만을 例示해 본다.

陰晴(陰晴) [ 編輯 ]

  • 正月 上院일(上元日)에 맑으면 百科(百果)가 豐盛하다.
  • 2月에 비가 오면 그 해의 穀食은 豐盛하지 못하다. 3月 初사흘에 비가 내리면 누에에 좋다.
  • 3月 初사흘에 비가 많이 내리면 穀食이 貴하고 初八日에 비가 오면 그 해는 豐年이다.
  • 7月 立秋 에 비가 조금 오면 길(吉)하고 큰 비가 내리면 穀食이 傷한다.
  • 8月 사일(社日)에 비가 오면 다음 해에 豐年이다.
  • 9月 아흐레에 비가 오면 큰 收穫을 거둔다.
  • 10月 보름 날씨가 맑으면 겨울에 따뜻하다.

8絶後의 陰晴을 보고도 點을 친다. 立春 · 春分 · 立夏 · 하지 · 立秋 · 秋分 · 立冬 · 同志 가 8節後(八節候)이다. 이날의 날씨로 五穀 (五穀)과 災殃을 점친다. 하늘에 낀 구름 模樣이나 햇빛의 模樣이나 무지개 等에 依해서 다음 날의 日記 를 점치는 일도 있다. 이런 것을 '音淸潔(陰晴訣)'이라고 한다.

命運(命運) [ 編輯 ]

男女의 앞날의 運勢를 점치는 方法에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男女 使嗾 ·吉凶法(吉凶法)은 社主의 態勢 (太歲)와 月建(月建)과 一陣(日辰)과 時數(時數)의 順序로 合하여 본다. 態勢의 간수(干數)와 月建의 看守를 合하여 초분(初分)으로 하고, 月建과 일진의 看守를 合하여 中分(中分)으로 하며, 日刊(日干)과 時間의 數를 合하여 말分(末分)으로 삼는다. 그 셋을 合한 數를 祕訣에 맞추어서 거기에 있는 祕訣門을 解得하여 吉凶(吉凶)을 알아 낸다.

短詩(斷時) [ 編輯 ]

六壬短詩결法(六壬斷時訣法)은 點字(占者)의 生年 干支 (南間餘地)와 점치는 날짜의 日刊(日干)과 時間의 詩誌(時支)를 合하여 作卦(作卦)한다. 그 卦에 따라 缺文(訣文)을 解釋하여 判斷을 내린다.

몽참(夢讖) [ 編輯 ]

몽참은 꿈을 꾼 內容을 解釋하여 그 뜻을 알고 行動을 取하려는 것이다. 解夢 法에는 여러 種類가 있다. 天文日月星辰(天文日月星辰), 지리·山石(山石)·水木, 身體·薙髮(齒髮), 寬大(冠帶)·衣服, 宮室·玉宇(屋宇)·倉庫, 칼·北·쇠, 金은·주옥, 거울·비녀·빗 等等의 꿈을 꾸었을 때 무엇이 길(吉)이고 무엇이 흉(凶)이라는 것이 解夢法에 記錄되어 있다. 그 指示에 따라 行動하면 合法的이라는 것이다. 例를 들면 꿈에서 본 거울이 밝으면 길(吉)하고 흐리면 흉(凶)하다는 따위이다.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外部 링크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