剩餘價値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 剩餘價値說 에서 넘어옴)

剩餘價値 ( 獨逸語 : Mehrwert , 英語 : surplus value )는 勞動搾取 때문에 投入된 원 資本價値보다 그 價値가 增殖된 部分이다.

原材料 또는 生産手段과 勞動力의 結果로 하나의 商品이 誕生하고 그 商品은 利潤을 낸다. 그러나 이 資本主義 生還構造에서 '勞動力'은 不變하는 原材料 또는 生産手段과 달리 主觀的으로 測定할 수 없는 可變法則的인 價値이다. 이 때문에 可變價値(勞動力)를 증가시키므로 얻는 副次的인 資本의 增殖 現象 또는 그 增殖 된 資本을 '剩餘價値'라 한다. 마르크스주의 에서는 이 剩餘價値 構造를 共産主義 理論에 맞게 說明하여 剩餘價値論 을 내세웠고 이 剩餘價値論에서는 이러한 剩餘價値와 같은 資本主義 矛盾構造 때문에 資本主義 體制는 반드시 滅亡하여 社會主義 體制로 바뀐다고 主張하였다.

正常的인 經濟 行爲에서 附加價値 란 있을 수 있어도 '剩餘價値'란 있을 수 없다. 經濟 法則에서 資本의 움직임은 다른 한 사람이 얻으면 또 다른 한 사람은 잃게 되는 것이다. 특정한 時期 또는 特異 現象 때문에 일어나는 調節 不可能한 附加價値 는 經濟力의 原動力을 追加로 내어주는 役割밖에 할 수 없다는 制限點이 있지만 '剩餘價値'는 人爲的으로 調節 可能하며 또한 그 價値가 實存시켜 實體化시킬 수 있다. 그래서 正常的인 經濟 活動에 있어서 '剩餘價値'란 이야기될 수 없는 法則이다. 이 剩餘價値에서는 '勞動力'도 하나의 '價値'로 判斷한다. 利潤을 가져오는 '商品'을 만들 때는 勞動力(A)과 原材料 또는 生産手段인(P)가 들어간다. 生産手段은 不變價値이기 때문에 이 價値를 만들어내려면 또 다른 '資本'이 必要하다. 그 때문에 이 價値는 存在는 하지만 增大되는 利潤關係에서 實體가 없는 價値이다. 그러나 '勞動力(A)'는 다르다. 資本主義 構造에서는 資本家 에 依한 勞動力 調節이 可能하며, 勞動力을 올려 勞動搾取(A') 段階에 가면 일을 하는 '勞動者'의 境遇는 그만큼 時間을 잃으므로 그에 따른 補償으로 얻는 利得도 생길 것이라는 法則이 成立한다. 그러나 이 矛盾的인 構造에서 利得을 얻는 쪽은 生産手段과 勞動力 調節權을 가지고 있는 '資本家'이며 그 利潤은 後에 商品을 쥐고 있는 資本家 에게 돌아간다. 그리고 勞動搾取로 생겨난 利得이 바로 '剩餘價値(M)'이다.

이 '剩餘價値'는 資本家 에 依해 經濟力의 原動力이 되거나 私益追求로 變할 수 있다. 그러나 大部分 私益追求 目的으로 使用되며, 生産手段을 所有한 資本家 는 剩餘價値라는 效果를 더욱더 效果的으로 보기 위해서 勞動搾取(A')를 할 것이다. 第一 흔한 手段의 勞動搾取는 '低賃金'이다. 이는 늘어나는 商品 價値에 비해 적은 賃金을 줌으로써 그만큼 늘어나는 剩餘價値를 만들어낸다는 意義가 있다.

例를 들면 60의 勞動力과 40의 原材料로 100의 商品을 만든다. 이때 原材料는 實存하지만, 資本家가 함부로 그 價格을 변화시킬 權限이 없는 不變價値이기 때문에 商品을 팔아 얻는 利得인 100에서 原材料(P) 값인 40을 뺀 다음, 60이라는 勞動力은 可變價値이기 때문에 드는 資本의 費用이 無條件 60 未滿일 것이고, 結局 1에서 60사이라는 最終 利潤이 나온다. 그러나 60의 勞動力은 資本家 가 調節할 수 있으며 實際로 이 勞動力을 위해 投入되는 資本은 60 未滿이겠지만, 그 水準을 60을 超過하여 70으로 올릴 수 있다. 60보다 10이 더해진 數値는 그만큼 勞動者들의 負擔으로 가게 되는데 이 10의 數値는 賃金을 削減하거나, 定해진 時間을 超過하여 일을 시키는 等 여러 가지 負擔의 程度로 表現할 수 있다. 그리고 勞動者에게 들어간 10의 負擔은 資本主義 經濟 活動의 必然的인 法則性 때문에 10의 利益으로 資本家에게 다시 돌아온다. 그리고 그 10은 剩餘價値(M)李 되는 것이다.

같이 보기 [ 編輯 ]

外部 링크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