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이현주 (牧師)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이현주 (牧師)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이현주 (李賢周, 1944年 ~ )는 大韓民國의 監理敎 牧師 이다. 童話 作家이며 飜譯文學家이기도 하다. 號(號)는 冠玉(觀玉)이다. 本來 그의 스승인 무위당(无爲堂) 장일순 先生에게서 관옥木人(觀玉牧人)이라는 號를 받았으나, 現在는 主로 冠玉(觀玉)만을 쓰고 있다. 以外에도 스스로 지은 號 이오(二吾)가 있으며, 冊을 쓸 때에는 主로 "李 아무개"라는 筆名을 쓴다. 이름을 내세우지 않고 謙虛히 살겠다는 그의 意志에서 비롯된 筆名으로 보인다. 이는 그의 思想의 主要틀人 '世上일에 함부로 나서지 않는다는(不敢爲天下先)' 老將(老莊)思想에서 비롯된 것이기도 하다.

1944年 忠州 에서 出生하여 監理敎신학대學校 에 進學하였다. 神學校 在學時 변선환 博士에게 배웠으며, 卒業後 죽변敎會 等에서 牧會했다. 童話作家 李元壽 의 推薦으로 文壇에 나왔다. 基督敎敍懷, 크리스찬 아카데미 編輯記者를 歷任하고, 죽변敎會 牧師를 거쳐 作家, 飜譯文學家로 活動하면서 大學.敎會에서 講義도 하고 있다. 그는 東西洋과 儒佛仙 等 地域과 宗敎를 넘나들며, 이에 對한 省察의 過程과 結果를 글로 表現하여 이웃과 나누고 있다. 스승인 장일순 과 함께 問答形式의 路資 解說書人 《무위당 장일순의 老子이야기》를 썼으며, 長子 解說書人《李 아무개의 莊子散策》를 執筆했고, 大學, 重用 解說書人《이현주 牧師의 大學,重用읽기》, 金剛經 解說書人 《基督敎人이 읽는 金剛經》을 썼다. 以外에도 《길에서 주운 생각들》에서는 佛敎의 碧巖錄, 圓佛敎 의 經典인 大宗頃 等의 여러 東西洋 警句를 다루기도 했다. 最近에는, 論語를 쉽게 풀이한 짧은 分量의,《내 人生의 첫 苦戰 論語》를 펴냈다. 이렇듯 韓國 改新敎의 排他的, 保守的인 態度와 다른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1977年 문익환 牧師와 함께 改新敎 를 代表해 《 共同飜譯聖書 》飜譯에 參與했으며, 著書로는 예수 의 受難과 죽음을 詩的으로 表現함으로써 基督敎 平和主義 를 主張한《예수의 죽음》(샨티)等이 있다. 進步 敵人 神學雜誌《 基督敎 思想 》에 共同飜譯聖書를 城西飜譯本으로 한 聖書 默想을 連載할만큼 作家 로서 活潑히 活動하고 있으며,《풍경소리》라는 基督敎 雜誌를 發行하고 있다.

參考로, 소리꾼 장사익 의 8輯에 收錄된 《우리는 서로 만나 무얼 버릴까》는 이현주 牧師의 詩(詩)에 장사익이 曲을 붙인 노래다.

關聯 人物 [ 編輯 ]

  • 변선환 (監理敎신학대學校 學長)-이현주 牧師는 監理神學大學校 在學 時節 변선환 博士에게서 神學을 배웠다. 변선환 博士는 生前 "敎會 밖에도 救援이 있다."라는 發言때문에 韓國敎會史 最初의 宗敎裁判에 선 적이 있을 程度로 열린 姿勢로 보여준 神學者였다. 이현주 牧師의 열린 構圖의 態度는 이런 변선환 博士의 影響을 받았다.
  • 장일순 (民主化運動家)-장일순은 그의 스승이다. 이현주 牧師는 장일순 先生에게서 배우고, 號를 下賜받고, 함께 《무위당 장일순의 老子이야기》를 執筆하는 等 많은 影響을 받았다. 이현주 牧師의 初期 著作이 主로 基督敎 神學에만 焦點이 맞춰진 反面 後期로 갈수록 東洋思想, 特히 老子(老子)思想이 主를 이루고 있는 것으로 보아 아마 장일순의 影響을 받은 게 크지 않을까 싶다. 이현주 牧師는 장일순 先生을 일컬어, "父母없는 집안의 맏兄같은 분"이라고 했다.
  • 문익환 (牧師)-문익환 牧師와는 改新敎와 天主敎 統合의 《 共同飜譯聖書 》에 함께 參與해서 윤문 矯正委員을 맡았다. 이현주 牧師와의 對話 中, 문익환 牧師가 "어떻게 韓國에서는 舊敎가 新敎같고, 新敎가 舊敎같다"라고 했다는 逸話가 有名하다. 이는 當時 共同飜譯聖書에 包容的이던 舊敎(天主敎)에 비해 新敎(改新敎)의 非協調的인 姿勢를 빗댄 말이다.
  • 권정생 (童話作家)-권정생과도 生前에 交流가 깊었다. 권정생과 장일순과의 만남을 周旋한 것도 이현주 牧師다. 권정생은 이현주 牧師를 일컬어 "平和를 사랑하는 사람"이라고 했다. 둘은 童話作家로서 같이 童話를 엮어서 내기도 했다.
  • 法輪 (스님)-이현주 牧師와 함께 出版記念會를 열고, 부처님오신날에는 法輪스님이 이끄는 淨土會에 이현주 牧師를 招待해 講演을 듣는 자리를 마련하는 等 交流가 깊다. 스님은 이현주 牧師의 著書인 《基督敎人이 읽는 金剛經》의 序文을 써주기도 했다.
  • 이철수 (版畫家)-版畫家 이철수와도 매우 切親한 사이다. 그래서인지 둘의 思想은 相通하는 部分이 크다. 이철수는 이현주 牧師를 통해 장일순 先生을 뵙기도 했다.
  • 김재준 (牧師)-民主化運動家이며 韓國基督敎長老會와 한신대학교의 實質的 設立者 役割을 했던, 張公(長空)김재준 牧師와도 가까운 사이였다. 김재준 牧師는 이현주 牧師에게 冊을 膳物해주기도 하는 等 여러모로 그의 人格形成에 影響을 끼쳤다. 둘은 私的으로는 査頓 間이기도 하다.
  • 임락경 (牧師)-임락경 牧師와도 交流關係가 깊다. 80年代 軍部獨裁 時節, 임락경 牧師와 이현주 牧師는 民衆敎會系의 단골 講師였다고 한다. 이는 意識있고 抵抗的인 內容의 講演을 할 수 있으면서도, 그 當時 서슬퍼런 政府 監視網 下에서, 問題가 되지 않을 만큼의 線에서 이야기들을 에둘러서 잘 表現할 수 있었기 때문이라고 한다.
  • 이덕주(牧師)-이현주 牧師의 동생이다. 韓國敎會史學者이며, 監理敎신학대學校 에서 韓國 敎會史 敎授를 隱退하고 名譽敎授로 있다. 이덕주 牧師는 韓國 敎會史에서 獨步的이라 할 만큼 큰 影響力을 지닌 學者이다.

著書 [ 編輯 ]

  • 《너희가 나를 알게 되리라》
  • 《알게 뭐야》
  • 《날개 달린 아저씨》
  • 《사람의 길, 예수의 길》
  • 《한송이 이름없는 들꽃으로》
  • 《젊은 世代를 위한 神學講義1,2,3-예수의 삶과 길》/ 茶山글房 -改新敎 牧師이기 以前에 神學者인 이현주 牧師가 아버지가 子女들과 이야기하는 形式으로 神學을 說明한 이야기이다. 神學 은 어렵고8 信仰生活과 關聯이 없는 思辨的 學問 이라는 基督敎人 들과 一部 改新敎 牧師 들의 半(反)知性主義的人 偏見을 무너뜨린다.
  • 《길에서 주운 생각들》
  • 《무위당 장일순의 老子 이야기》,이현주 對談, 整理
  • 熊進偉人傳記《 간디 》/ 웅진출판 -어린이들과 靑少年 그리고 兒童文學 을 좋아하는 어른들을 위해 간디의 삶과 思想을 알기 쉽게 쓴 이야기. 사람을 所重하게 생각한 人間 간디에 集中한다.
  • 《예수와 만난 사람들》( 생활성서 )-예수의 죽음과 함께 이현주 牧師가 쓴 예수傳이다. 《예수의 죽음》李 예수의 受難傳承에 重點을 둔다면, 《예수와 만난 사람들》은 예수를 目擊한 人物들의 이야기에 重點을 둠으로써 信仰의 그리스도 곧 基督敎 敎義에 依해 神格化된 예수가 아닌 歷史的 예수 곧 人間으로서의 예수를 追求한다.
  • 《六寸兄》 (그림 박철민)
  • 《그러므로, 저는 當身입니다》
  • 《이 아무개의 莊子散策》
  • 《이현주 牧師의 大學 重用 읽기》
  • 《基督敎人이 읽는 金剛經》

어린이를 위해 쓴 冊 [ 編輯 ]

  • 바보溫達 (그림 김호민) / 外三寸 빨강 愛人 / 알게 뭐야 / 날개달린 아저씨 / 아기 도깨비와 오토帝國 / 살꽃 이야기 / 누가 바보일까요?

飜譯書 [ 編輯 ]

  • 《豫言者들》/ 아브라함 J. 헤셸 知音
  • 《平凡한 사람들을 爲해 간디가 解說한 바가바드 其他》
  • 《배움의 도》
  • 《모든것을 사랑에 걸어라》
  • 天路歷程
  • 《날개를 단 老子》 / 王弼, 小自由 等 선비들의 ‘老子’ 풀이 『날개를 단 老子』. ‘老子’에 對한 主席 가운데 時代를 뛰어넘는 卓越한 것들을 모아 엮은 超橫議 苦戰 <老子益>을 우리말로 編輯하여 옮긴 冊이다. <老子益>에 登場한 學者 中 王弼, 小自由와 編輯人 炒黃까지 8名의 註解를 담았다. 또한 牧師이지만 東西洋의 各種 經典과 苦戰을 넘나들며 글을 쓰는 便역者의 週(註)를 追加해 다양한 知識을 아울러 이 冊에 실린 글의 길잡이 役割을 해준다.
  • 《벌거벗은 只今》 리처드 露語 지음

家族 [ 編輯 ]

같이 보기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