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기백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이기백
出生 1924年 10月 21日 ( 1924-10-21 )
日帝强占期 朝鮮 平安北道 井州
死亡 2004年 6月 2日 ( 2004-06-02 ) (79歲)
性別 男性
國籍 大韓民國
學問的 活動
分野 歷史學
이기백
한글 表記 : 이기백
漢字 表記 : 李基白
改正 로마字 表記 : I Gibaek
매큔-라이샤워 表記 : I Kipaek
예일 表記 : I Kipayk
公式 로마字 表記: Lee Ki-baik

이기백 (李基白, 1924年 10月 21日 ~ 2004年 6月 2日 )은 大韓民國 의 歷史學者로 本貫은 驪州 이다. 韓國의 古代史에 對한 여러 業績을 남겼다.

生涯 [ 編輯 ]

밝맑 이찬갑 ( 1904年 ~ 1974年 )의 長男으로 平安北道 定州에서 出生했다. [1] 獨立運動家 이승훈 의 從曾孫이고, 國語學者 이기문 은 그의 동생이며, 小說家 이인성 ( 1953年 ~)은 그의 長男이다. 1941年 五山中學校 를 卒業했다. 이 學校는 民族代表 33人 의 한사람인 南崗 이승훈( 1864年 ~ 1930年 )이 設立한 學校로, 이기백은 南江과 같은 집안이기도 하다. 日帝强占期 末 日本 와세다 大學 史學科에 在學 中 日本軍에 徵集돼 滿洲 關東軍 에서 服務했으며, 途中에 解放을 맞았으나 蘇聯軍 에 捕虜가 됐다가 나중에 歸國했다. 1946年 서울大學校 文理大學 史學科에 入學해 1年 만에 卒業했으며 1958年 부터 1963年 까지 이화여자대학교 敎授를 지냈다. 以後 1963年 부터 1985年 까지 서강대학교 史學科 敎授로 在職하면서 東洋史의 전해종 , 西洋史의 길현모 , 차하순 等과 함께 ' 鉏강사학 '의 全盛時代를 열었다. 回甲을 넘긴 1985年 한림大學校 敎授로 옮겨 1995年 退職했고, 한림과학원 客員敎授와 이화여자대학교 史學科 夕座敎授를 歷任하기도 했다. 學士 出身이었으나 1985年 서강대에서 名譽 文學博士를 받았다. 學術院 著作賞, 인촌賞, 國民勳章 모란장, 韋菴 張志淵上, 용재學術賞 等을 受賞했다. 그리고 1987年부터는 이기백의 主導로 歷史學者들이 一般 大衆을 相對로 <韓國史 市民講座>와 같은 歷史 雜誌를 펴내기도 하였는데 처음에는 呼應이 좋았으나 가면 갈수록 收益이 줄어 들었다. 그러나 雜誌의 總編輯을 主導한 이기백의 努力 德分에 <韓國史 市民講座>는 이기백이 死亡한 後로도 꾸준히 發行하다가 2012年 50號를 마지막으로 끝을 맺었다.

學問 [ 編輯 ]

大韓民國의 初期 史學界에 影響을 미쳤으며, 民族史學을 開拓하고, 그 韓國史의 大衆化에 힘썼다는 評價를 받는다. 解放 以後 韓國 歷史學, 特히 古代史學을 代表한다. 主要 著書로 《 한국사신론 》(1967年) 等이 있다. 이와 비슷한 著書로 한영우의 <다시찾는 우리歷史>, 변태섭의 <韓國史通論>等이 있는데 이 세卷의 冊은 現在까지도 歷史敎育科 學生이 任用考試를 準備하려면 적어도 한番쯤은 읽어야하는 冊으로 擧論되고 있다. 이병도 의 弟子이나 韓國史를 보는 觀點이 다르다. 이것은 이병도 의 《 국사대관 》과는 다른 時點에서 보는 著書 《 한국사신론 》에서 볼 수 있다. 韓國實證私學을 代表하는 이기백은 1962年 《局社新論》에 이어 이의 全面改正版인 《한국사신론》을 1967年 일조각 에서 出版하면서 韓國 史學界에서 確固한 位置를 確保했다. 이밖에도 歷史 論文集《民族과 歷史》,《新羅政治社會史 硏究》,《考慮兵制史》,《韓國 私學의 方向》,《新羅思想社 硏究》,《韓國思想의 再構成》外에 受賞集《演士收錄》(硏史隨錄)이 있다. 그리고 <民族과 歷史>의 <民族文化의 傳統과 繼承>이 敎科書에 실려있어서 적지 않은 學生들이 記憶하고 있다. 內容은 西歐化된 우리 社會에서 外來文化를 主體的으로 受容해야 하고 傳統文化를 繼承 發展 해야하며 이는 國粹主義나 排他主義가 될수 없을 뿐만 아니라 오히려 外國의 先進 文化 攝取의 原動力이 될 것이라는 內容이며 傳統文化中에서 우리가 保存하고 發展 繼承할 傳統과 因習을 區分하여야 한다는 內容이다.

그의 墓碑에는 다음과 같은 글句가 적혀있다.

民族에 對한 사랑과 眞理에 對한 믿음은 둘이 아니라 하나다.

著書 [ 編輯 ]

  • 《局社新論》, 태성사, 1961
  • 《한국사신론》, 일조각, 1967
  • 《考慮兵制史硏究》, 일조각, 1968
  • 《民族과 歷史》, 일조각, 1971
  • 《新羅政治社會史硏究》, 일조각, 1974
  • 《韓國古代史론》, 探究當, 1975
  • 《韓國史學의 方向》(이기백 便), 일조각, 1978
  • 《高麗光宗硏究》(이기백 便), 일조각, 1981
  • 《韓國史講座 1 : 古代便》(이기동 共著), 일조각, 1982
  • 《新羅思想史硏究》, 일조각, 1986年
  • 《高麗貴族社會의 形成》, 일조각, 1990 [1]
  • 《史料로 본 韓國文化史 :高麗篇》, 일지사, 1990
  • 《韓國史의 再構成》, 일조각, 1991
  • 《우리 歷史의 여러 모습》, 일조각, 1996
  • 《韓國古代政治社會史硏究》, 일조각, 1996
  • 《韓國史를 보는 눈》, 일조각, 1996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韓國日報” . 2007年 10月 14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08年 10月 5日에 確認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