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禹니쉬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禹니쉬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禹니쉬 (Unish)는 世宗大學校 世界語硏究所에서 約 7年 間의 製作期間을 거쳐 2001年 6月 1日 發表한 大韓民國 最初의 國際語 (Auxlang)이다. 禹니쉬는 世界 를 뜻하는 英語 낱말 유니버설(Universal)에서 由來된 言語 名으로, 現在 地球 床에서 쓰이고 있는 主要 言語 16種을 比較·分析하여, 共通된 單語, 짧고 簡潔한 單語및 表現을 간추리는 式으로 만들어진 言語이다. 發表 當時에는 言論을 통하여 널리 알려졌으나, 一回性 關心에 그쳐 以後 相當 期間 홈페이지가 閉鎖되었다. 그러나 2012年 秒에 홈페이지를 再開하여 우니쉬를 다시 볼 수 있게 되었다. 한便 2003年에는 인터넷 人工語 포털 사이트인 랑메이커(langmaker)의 人氣 順位 리스트에서 47位를 記錄하였다. 世宗大學校에서는 禹니쉬 關聯 學科目이 開設되기도 하였다. 한便 中國語로 우니쉬를 指稱하는 表記는 万??(萬國語)로 日本語의 境遇 ウニシュ로 確定됐다.

言語學的 特性 [ 編輯 ]

分類 [ 編輯 ]

禹니쉬는 人工言語로 어느 單一 特定 民族語와 直結되지는 않는다. 發音과 文法體系는 披陳어 體系에 基盤을 두고 있으며, 語彙는 主要 15個 言語(14個 自然言語: 英語, 스페인語, 포르투갈語, 이탈리아語, 프랑스語, 獨逸語, 러시아語, 韓國語, 中國語, 日本語, 아랍語; 1個 人工言語: 에스페란토어)에서 選定하였다. 類型論 上으로는 前置詞와 形容詞가 修飾하는 名詞 앞에 位置하는 構造이며, 語順은 “主語-動詞-目的語/보어” 順序이다. 이러한 順序는 平敍文뿐 아니라 疑問文에서도 그대로 維持된다. 새로운 語彙는 위에 提示된 15個 言語의 語彙 中에서 ‘共通性’, ‘簡潔性’, ‘多樣性’, ‘明瞭性’, 發音의 容易性’, ‘文化的 聯關性’, ‘複合性’의 7가지 原則에 依해 選定, 借用, 形成된다.

發音 [ 編輯 ]

우니쉬의 發音 體系는 흔히 使用되고 發音하기 쉬운 22個의 子音, 5個의 모음, 2個의 半母音으로 構成된다.

母音 [ 編輯 ]

우니쉬의 母音은 旣存 自然言語와 피진語에서 가장 흔히 使用되는 5個 모음([i, e, a, o, u])과, 더 精巧한 發音을 위해 2個의 半母音([y, w])를 使用한다. 모음/반모음과 綴字와의 對應 關係는 다음과 같다.

綴字 發音
i i
e e
a a
o o
u u
y y
w w

子音 [ 編輯 ]

禹니쉬는 旣存 自然言語에서 흔히 나타나는, 發音하기 쉬운 子音들을 使用한다. 例를 들어 치음인 [θ]와 [ð]는 大體로 發音하기 어렵고 그만큼 익히기가 어렵기 때문에 禹니쉬에서는 이들 子音을 使用하지 않는다. 또한 아래에 提示된 대로 綴字와 發音이 最大限 一對一로 對應되도록 設計함으로써 英語 알파벳에 對한 基本 知識만 갖추어도 쉽게 發音을 쉽게 익힐 수 있도록 하였다.

綴字 發音
b b
c s
ch t?
d d
f f
g ?
h h
j d?
k k
l l
m m
n n
ng ŋ
p p
q kw
r r
s s
sh ?
t t
v v
x ks
z z

文字體系 [ 編輯 ]

禹니쉬 文字는 總 26個 文字 體系로 現代 英語 알파벳을 基盤으로 한다. 우니쉬의 大文字와 小文字는 아래와 같다.

大文字,小文字 [ 編輯 ]

大文字 小文字 이름 發音
A a e? [a]
B b biː [b]
C c siː [s]
D d diː [d]
E e [e]
F f ?f [f]
G g d?iː [?]
H h e?t? [h]
I i a? [i]
J j d?e? [d?]
K k ke? [k]
L l ?l [l]
M m ?m [m]
N n ?n [n]
O o o? [o]
P p piː [p]
Q q kjuː [kw]
R r ?? / ?ː [r]
S s ?s [s]
T t tiː [t]
U u juː [u]
V v viː [v]
W w ?d?bljuː [w]
X x ?ks [ks]
Y y wa? [y]
Z z z?d / ziː [z]

文法 [ 編輯 ]

禹니쉬 文法은 “簡潔性”, “論理性”, “規則性”의 基本 原則下에 構成되었다. 例를 들어 主語에 對應하는 動詞의 形態는 主語의 數(段數/複數)나 人稱(1/2/3人稱)에 關係없이 恒常 同一하다.

平敍文과 疑問文 [ 編輯 ]

禹니쉬 文章은 主語, 動詞, 目的語/보어 順序로 構成된다. 이러한 語順은 平敍文과 疑問文에 同一하게 適用되며, 平敍文은 마침標로 標示하고 下降 抑揚으로 끝나는 反面에 疑問文은 疑問符號로 標示하고 上昇 抑揚으로 끝난다.


[平敍文]

Tim lov beisbol game .
love baseball game
"Tim loves the baseball game."

[疑問文]

Tim lov beisbol game?
love baseball game
"Does Tim love the baseball game?"

同一 語順의 規則 때문에 疑問死(who, when, where, what, how 等)가 나타나는 疑問文에서도 疑問詞가 文章 앞으로 移動하지 않고 元來의 位置에 나타난다.

Sarah lov wu? / cf. Wu lov Sarah?
love who who love
"Who does Sarah love?" / "Who loves Sarah?"

受動文 [ 編輯 ]

受動文은, 能動文의 目的語를 主語로 놓고, 能動文의 動詞 바로 앞에 ‘es’라는 動詞를 添加하여 만든다. 行爲者를 明示할 때는 前置詞 ‘de’를 使用한다.

Mi lov Susan . / Susan es lov (de mi) .
I love be love by me
"I love Susan." / "Susan is loved (by me)."

人稱代名詞 [ 編輯 ]

우니쉬의 代名詞 體系는 아래 表와 같이 性(gender)의 區別이 없고, 各 代名詞의 複數型은 普通名詞의 境遇와 마찬가지로 名士斷水型에 複數接尾辭 ‘-s’를 붙여서 만든다. 3人稱 斷水型의 境遇에도 한 가지 形態만 存在하므로 指示對象物의 性別은 文脈을 통해서만 알 수 있다.

斷水 復讐
1人稱 mi mi s
2人稱 de de s
3人稱 le le s

語彙 [ 編輯 ]

世宗大 硏究팀의 主張에 따르면 現在 禹니쉬 語彙는 9,600個 以上 構築되었으며 따라서 日常 對話에는 充分한 語彙量이 確保되어 있다. 또한 다양한 分野와 脈絡에서 使用될 수 있도록 繼續해서 새로운 語彙가 開發되고 있다. 禹니쉬 語彙는 15個 言語의 語彙 中에서 ‘共通性’, ‘簡潔性’, ‘多樣性’, ‘明瞭性’, 發音의 容易性’, ‘文化的 聯關性’, ‘複合性’의 7代 原則에 따라 選定된다.

禹니쉬 語彙 選定의 첫 番째 原則은 ‘共通性’이다. 禹니쉬는 여러 言語에서 많이 使用되는 語彙, 世界 共通的으로 使用되는 語彙, 또한 日常生活을 통해 익숙해진 語彙들을 優先的으로 選擇한다. 두 番째 原則은 “簡潔性”이다. 單語의 길이가 짧고 綴字 數가 적은 것을 優先的으로 選擇하며 語根만으로 語彙 意味가 傳達되면 語根만으로 語彙를 만들기도 한다 (예: mathmatics→math). 세 番째 原則은 “多樣性”이다. 可能한 다양한 言語에서 語彙를 選擇함으로써 語彙 分布가 特定 言語에 치우치지 않도록 하고, 同時에 다양한 言語의 語彙 中 簡潔한 것을 選擇할 수 있어 簡潔性度 維持하도록 한다 (예: path→gil [韓國語]; autumn→aki [日本語]) 네 番째 原則은 “明瞭性”이다. 禹니쉬는 길이가 짧은 語彙를 選好하되 語彙의 發音이 너무 單純하여 다른 語彙와 混同을 일으킬 可能性이 있는 語彙는 아무리 簡潔하더라도 選擇하지 않는다. 다섯 番째 原則은 “發音의 容易性”이다. 禹니쉬는 發音이 容易한 ‘子音+모음+자음+모음(CVCV)’으로 構成된 語彙를 選擇한다. 여섯 番째 原則은 “文化的 聯關性”이다. 語彙의 意味가 文化的으로 特定 言語와 聯關되어 있을 境遇에는 그 語彙를 選擇한다. 禹니쉬 語彙 選定의 마지막 原則은 “複合性”이다. 禹니쉬는 合成을 통해 새로운 語彙를 만들기 때문에 쉽게 語彙가 擴張된다 (예: dictionary→motbuk; mot=word, buk=book).

텍스트 예 [ 編輯 ]

다음은 “이솝寓話”의 一部로 英語텍스트와 禹니쉬 飜譯文을 함께 提示한다.

英語 [ 編輯 ]

The Geese and the Cranes

Some geese and cranes were feeding together in the same field, when a bird-catcher suddenly came to them. Since the cranes were slim and light, they could fly right off and escape the bird-catcher’s nets. The geese, however, weighed down by their fat, could not take off so easily and were all captured.

禹니쉬 [ 編輯 ]

Guss e krans

Som guss e krans esed fiding junt in same fild, wen tori-kachor sudnli komed to les. Koz krans esed slim e lite, les kaned flai skoro e eskaped tori-kachor’s nets. But guss non kaned eskap izli e al es kaptur koz les es overpeso.

같이 보기 [ 編輯 ]

外部 링크 [ 編輯 ]